"GK:2.3.2 도시 체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Cefia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잔글 (판 1개를 가져왔습니다: 해외한국학지원데이터반입 (한국학교재개발))
 
(차이 없음)

2016년 8월 21일 (일) 12:13 기준 최신판


 한국의 지리: 2. 인구와 거주 공간 > 3. 도시 > 2) 도시 체계


2) 도시 체계

도시 체계는 과거 거리 제약에 따라 독자적인 지방 중심 대도시를 중심으로 배후지역을 가지는 형태의 도시 체계가 형성되었으나, 점차 교통과 통신의 발달로 기존의 계층적 도시 체계는 약화되고 수도권 중심의 구도로 변화하는 모습을 보인다. 특히 한국의 도시 성장이 산업화와 함께 공업도시로 급격한 성장을 이룩하였다면, 경제 구조가 서비스산업으로 재편되며 더욱 거리 장애가 그 중요성이 비교적 약화되며, 수도권의 경우 점차 생산자 서비스와 고급 소비자 서비스를 위시로 한 고부가가치 서비스산업화로 성장을 보이지만, 지방 대도시의 경우 이들 첨단서비스업의 성장이 상대적으로 미약해 점차 지방 대도시로서의 위상을 잃어가고 있는 모습이다.

그림 2-14. 시기별 도시 인구 순위 변화

도시를 규모 순위로 보면, 1970년에는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전주, 마산, 목포, 수원, 울산 등의 순으로, 인천이 서울과 인접한 대도시인 것을 제외하면 대도시가 독자적인 배후지를 가지며 국토 전역에 분포하는 도시 체계를 보인다. 이러한 모습과 비교하여 1990년과 2010년의 상황을 보면, 서울은 다른 도시에 비해 더 빠른 성장을 보이고, 1990년에는 인천, 광주, 대전의 대도시가 빠른 성장을 보이고, 울산, 부천, 성남, 수원 등이 새로이 대도시로 등장하고 있다. 이들은 산업화와 함께 등장한 울산, 부천, 수원의 공업도시, 그리고 서울의 인구를 분담하는 역할을 담당한 성남 그리고 수원의 경우 공업화와 인구 유입을 동시에 담당하는 역할을 하며 성장을 하였다. 전통 중심 도시로 역할했던 충주, 청주, 공주 등은 철도 교통 성장으로 발달한 대전, 천안 등의 도시에 밀려 성장을 하지 못하고, 수도권에 인접한 도시들은 아산, 천안 등은 교통·통신의 발달로 과밀화된 수도권으로부터 이주하는 기업과 이주인구에 의해 성장을 보이고 있다.

2010년에는 대도시의 순위 변동이 나타나 대구가 인천, 광주가 대전에 추월당하고, 울산, 수원, 창원, 성남, 고양, 용인 등의 도시들이 새로이 대도시로 등장하고 있다. 광역대도시의 순위 변동은 수도권 지역의 지속적인 성장을 반영하고 대전의 경우 교통의 발달로 서울의 행정 기능 일부와 연구 기능이 성장하며 나타난 모습이다.

표 2-2. 중심성 지수로 본 중심지 체계 중심성 지수는 입지계수와 시설수로 계산한 값임 (출처: 국토지리정보원, 2010)
계층 중심성 지수 해당 도시
I 100 이상 서울특별시
II 36.16 부산광역시
III 23.4-12.87 대구광역시, 인천광역시, 광주광역시, 대전광역시
IV 8.92-3.37 울산광역시, 수원시, 성남시, 부천시, 청주시, 전주시, 안양시, 고양시, 포항시, 창원시, 안산시, 천안시, 마산시, 제주시, 진주시, 구미시, 평택시
V 3.11 이하 용인시, 김해시, 원주시, 의정부시, 목포시, 춘천시, 강릉시, 여수시, 경주시, 순천시, 시흥시, 익산시, 군산시, 화성시, 충주시, 남양주시, 양산시, 안동시, 광명시, 거제시, 경산시, 파주시, 군포시, 이천시, 구리시, 아산시, 김포시, 제천시, 통영시, 포천시, 서산시, 광주시, 광양시, 김천시, 논산시, 영주시, 속초시, 진해시, 공주시, 동해시, 안성시, 사천시, 정읍시, 양주시, 보령시, 서귀포시, 밀양시, 상주시, 오산시, 영천시, 남원시, 하남시, 나주시, 문경시, 김제시, 삼척시, 동두천시, 의왕시, 태백시, 과천시, 계룡시

한국의 정주체계는 서울이 제일의 종주도시로, 제2의 도시 부산보다 2배 이상의 인구를 가지고, 한국 전체를 배후지로 삼는 최상위 중심지이다. 수위도시 서울의 과도한 성장으로 업무 중심지로 성장하고, 지방 대도시들은 중심 도시로 배후 지역을 가지고, 소도시들은 다음의 하위 도시로, 수도, 광역 대도시, 도시의 중심지형 도시 체계를 형성하고 있다.

중심성 지수로 본 도시 체계는 서울, 부산, 선두 광역시 4곳, 울산과 서울 주변의 6개 도시와 지방 중심 도시, 그리고 소 지역 단위 중심 도시들이 구분된다(표 2-2 참조).

한국의 도시체계는 서울 수위의 종주도시와 중심지체계가 혼합된 형태로 나타나며, 교통·통신의 발달과 더불어 접근성이 좋아지며 계층적 도시체계보다는 기능적 연계가 더욱 중요시되고 있다.

영문

2) Urban struc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