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K:2.3.3 도시의 기능

CefiaWiki
Ksnet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6년 8월 21일 (일) 12:13 판 (판 1개를 가져왔습니다: 해외한국학지원데이터반입 (한국학교재개발))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한국의 지리: 2. 인구와 거주 공간 > 3. 도시 > 3) 도시의 기능


3) 도시의 기능

한국의 도시는 대부분 행정중심지로 성장해 왔으며, 주변지역에 각종 서비스를 제공하는 중심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대다수의 도시는 행정과 상업기능이 탁월한 소비도시 내지 교역도시로 발전하여 왔으나, 1970년대 이후 공업기능의 비중이 크게 높아졌다. 공업 발달에 따른 도시 성장은 이촌향도의 인구이동으로 급속한 성장을 보이며 대도시로 성장해, 서비스를 제공하는 중심지 기능과 더불어 특화된 기능을 보유한 경우가 나타난다.

도시별로 산업 부문별 종사자수에 대한 표준점수를 계산하여 도시의 특화 기능을 주요 산업을 대상으로 보면(표 2-3 참조), 제조업은 구미시와 창원시, 김해시 등 남동임해공업지역의 도시와 수도권지역의 도시에서 높게 나타나고, 특히 화성시가 높은 특화도를 보이는데 화학, 기계, 자동차 공장의 입지에 기인한다. 생산자 서비스에 포함되는 사업서비스업의 경우 서울특별시와 과천시, 그리고 수원시와 대전시가 높게 나타나 행정중심지와 연계하여 특화된 것으로 나타나며, 금융․보험업은 특화도가 다른 업종에 비해 두드러지지는 않지만, 서울특별시와 더불어 지방 중심도시에서 비교적 높게 나타나 이들이 지역 서비스 중심지로 역할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표 2-3. 한국 도시의 기능 분류 주: 주요 산업부문만을 선별하였음. 출처: 국토지리정보원, 2010
구분 1 < Z < 2 2 < Z < 3 3 < Z
제조업 아산시, 시흥시, 김포시, 구미시, 양주시, 양산시, 포천시, 거제시, 안산시, 김해시, 창원시, 안성시, 평택시, 파주시, 이천시, 광주시 화성시  
사업서비스업 성남시, 안양시, 포항시, 청주시 수원시, 대전광역시 과천시, 서울특별시
금융․보험업 순천시, 서울특별시, 제주시, 통영시, 구리시, 문경시, 목포시, 마산시, 강릉시, 안동시, 전주시, 충주시, 서귀포시, 진주시
도․소매업 목포시, 구리시, 속초시, 서귀포시, 순천시, 서울특별시, 영주시, 제천시, 안동시, 전주시 하남시  
음식․숙박업 제주시, 계룡시, 보령시, 춘천시, 강릉시, 동해시, 목포시, 태백시, 진해시, 경주시 서귀포시, 속초시


소비자 서비스인 도․소매업은 서울특별시와 인접 하남시 그리고 지방 중심도시들에서 높은 특화도를 보여, 서울의 넓은 배후지역과 더불어 지방의 인접 배후지역의 중심지 분포가 드러나며, 음식․숙박업은 관광지인 서귀포시와 속초시에서 매우 높은 특화도를 보이고, 기타 제주시, 춘천시, 동해시, 진해시, 경주시 등의 관광지가 특화된 도시로 나타난다.

도시의 기능 분류를 주요 산업부문을 중심으로 보다 가시적으로 단순화한 삼각좌표로 보면, 도시 전체의 제조업 평균은 약 48%, 도소매업 평균은 약 35%였으나, 사업서비스·금융업 등의 평균은 약 17%로 낮은 편이다. 그러나 주요 대도시들은 생산자 서비스 기능이 높은 비중을 차지해 대도시에서의 주도적인 서비스산업화를 파악할 수 있다.

그림 2-15. 한국 도시의 기능 분류

그러나 서울특별시, 부산광역시 외 대도시들은 도시의 기능 비중이 평균점에 근접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는 도시가 성장하면 여러 기능들이 서로 균형을 맞춰가는 경향을 보였다. 그런 면에서 대도시들은 일반적으로 복합기능을 가진 도시로 성장함을 보여주고, 오히려 단순기능으로 특화된 경우는 중소도시에서 나타나는데, 화성시의 제조업, 제주, 서귀포시의 도․소매업, 과천시의 생산자서비스가 이러한 모습을 보여준다.

한국의 도시는 중심지 기능의 도시 체계와 산업화와 더불어 이촌향도에 따른 차별적 도시 성장이 이루어졌다. 그러나 근래 들어 제조업이 세계화되어가는 경제 변화와 더불어 저렴한 생산비와 해외시장 확대를 위해 외국으로 이전하며 제조업 비중이 낮아지며 도시의 성장 동력이 약화되고 있으며, 새로이 중요하게 등장한 생산자 서비스는 교통․통신의 발달과 더불어 고급인력, 대면 접촉의 업무수행 특성으로 서울특별시와 대도시를 중심으로 집중하는데 기존 제조업에 비해 수도권 편중도가 더욱 심하며 제조업의 일자리 감소를 수적으로 대신하지는 못하는 모습이다. 제조업의 해외 그리고 국내에서의 대도시 주변지역으로의 이전으로 기존의 대도시는 생산도시에서 소매업과 교육시설 그리고 주거용 아파트가 중심인 소비도시로 변모하고 있다. 생산자 서비스의 수위도시 집중으로 점차 더 종주도시로 그리고 기존 산업도시였던 대도시들이 소비자 서비스 중심의 소비도시로 변모해가는 모습이 최근의 한국 도시화의 특성이라 하겠다.

영문

3) Urban featur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