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과서:노르웨이:Portal, nyere historie

Cefia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1. 목차

  • 파트1 산업과 민주주의
  • 1 산업 혁명
  • 2 정치적 혁명
  • 3 노르웨이 독립의 길
  • 4 1814년
  • 파트 2 유럽이 지배하는 세계 1715 – 1914
  • 5 근대 산업사회의 형성
  • 6 대중정치와 국가
  • 7 제국주의와 식민지
  • 파트 3 노르웨이의 근대화
  • 8 노르웨이의 근대화
  • 9 노르웨이의 통신기술과 문화
  • 10 노르웨이 민주화 초기
  • 파트4 재앙의 시기, 1914 – 1945
  • 11 거대한 전쟁
  • 12 노르웨이 - <중립의 동맹국들>
  • 13 소련과 세계의 공산주의
  • 14 불균형의 세계
  • 15 파시즘과 나치즘
  • 16 노르웨이의 위기와 계급 투쟁
  • 17 제 2차 세계대전
  • 18 노르웨이 점령기
  • 파트 5 전쟁 후 시기
  • 19 제국주의의 확산
  • 20 둘로 나뉘어진 세계
  • 21 노르웨이의 전후시기와 사회민주주의
  • 22 성장비판과 노르웨이의 석유모험
  • 23 노르웨이의 자유주의의와 호황기
  • 파트6 세계의 시대
  • 24 부유함과 가난함
  • 25 인간과 환경
  • 26 세계화된 세상에서의 평화와 갈등
  • 27 중동의 발화점
  • 28 조감도 관점에서의 역사


2. 한국 관련 내용

pp.326-327 한국전쟁 1950년까지 미국과 소련은 무엇보다 유럽에 영향을 미치기 위해 싸웠다. 하지만 1949년 마오쩌둥이 중국에서 정권을 잡았을 때 동과 서의 균형은 아시아의 혼란이 되었다. 1년 후 이웃나라 한국에서는 전쟁이 발발했다. 중국과 소련은 한 쪽을 지원했고 미국과 서양은 다른 쪽을 지원했다. 그리하여 냉전의 주무대는 유럽에서 아시아로 옮겨갔다. 유럽에서의 갈등은 제 2차 세계대전에 뿌리를 두고 있었다. 일본이 항복했을 때 한국은 38선을 기준으로 2개로 나뉘어졌고 북은 소련의 점령 하에, 남은 미국의 점령하에 있었다. 북에선 공산주의 국가가 들어섰고 남에는 자본주의가 시작되었다. 1950년 6월 북한의 군대는 남한을 공격했다. 트루먼 대통령은 UN 안전보장의사회에서 남한에게 군사적 원조 할 것을 요청했다. 소련은 공산주의 중국이 아닌 대만이 안전보장의사회에 의석을 차지하고 있다는 이유로 UN을 보이콧했기 때문에 투표를 막지 못했다. 그리하여 미국과 다른 서양의 군대가 UN의 깃발 하에 중국으로부터 엄청난 군사적 원조를 받은 북한군과 싸웠다. 전쟁은 3년간 지속되었고 국가의 대부분은 파괴되었으며 민간인들은 엄청난 고통에 시달렸다. 총 민간인과 군인 3백5천 - 4백만이 희생되었다. 전쟁은 전쟁 발발 전과 같은 상황의 휴전협정으로 끝났다. 한국은 38선을 기준으로 여전히 둘로 나뉘어져 있다. 국경선은 거의 변화가 없었다.

p. 327 한국전쟁 이후 동아시아 UN군이 북한군을 검문하고 있다. 1950년

p. 328 하지만 한국전쟁은 세계 사회에 큰 영향을 주었다. 유럽에 대한 갈등이었던 냉전은 세계적 갈등으로 확산되었다. 미국의 정치 리더들은 소련이 북한 공격의 배후에 있다고 확신했다는 점과 연결되어 있다. 한국전쟁은 스탈린이 공산주의의 확산을 위해 군사력을 사용했다는 증거로서 해석되고 있다. 잇따라 미국은 지구의 다양한 국가들과 함께 군사적 동맹을 맺었고 이는 확장하는 소련에 대항하기 위한 군사적 동맹의 벽을 건설하는 일이었다. 갈등 심화의 또 다른 결과는 거대한 군비 경쟁이었다.

p. 394 경제 위기와 성장 1948 한국은 북한과 남한, 2개의 국가로 나뉘어졌다. 1957 가나는 사하라 이남의 식민지에서 최초로 독립했고 대략 남한과 같은 생활수준을 유지했었다. 1990 남한은 생활수준은 가나보다 적어도 5배 이상 높았다.

p. 396 평균 연봉, 수명 그리고 교육 한국 1인당 GNP 17 971, 기대수명 77, 읽고 쓸 수 있는 성인 97.9%

p. 397 동아시아에서 유교의 역할에 대해 설명하며 자료사진으로 언급. 충성심과 순종을 강조하는 유교적 사고방식을 일반적으로 설명하며 이러한 사고방식이 산업화에 미친 영향을 서술하고 있다. 특히 중국의 예를 기술하고 있지만 사진은 한국의 사진이 실렸다. 남한의 공장에서의 아침운동 1990년의 사진. 금성 전자의 고용자들은 매일 아침 공장 주변에서 공통의 체육을 하고 있다. 우리는 이 관습을 동아시아의 대다수의 노동 현장에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규율과 책임감의 영향으로 볼 수 있다.

p. 399 예를 들어 최근 한국에서는 큰 양의 외국 자본의 투자를 위해 개방정책을 펴고 있음을 언급. 동아시아에서 미국의 역할에 대해 설명하는 부분. 남한의 농지개혁은 일본에서 미국이 행한 것과 유사함을 기술.

p. 400 냉전 상황은 미국이 동아시아 정책을 행하는데 중요한 키였음을 설명하는 부분. 이와 같은 동기는 특히 한국에서 두드러졌다. 1950년에서 1953년까지의 한국 전쟁 이후 소련과 중국은 북한 체제를 지원했다. 이들은 북한에 기술을 무료로 제공하고 가격이나 질 그 어떤 것으로도 경쟁이 불가능한 수준의 북한의 물건들을 수입했다. 이 상황에서 미국은 한국이 친미적인 사회모델로 성공할 수 있도록 영향을 미치게 했다. 이는 공산주의 중국과의 대조를 이루었던 대만에 관한 정책에서도 같았다. 미국은 일본에게 그랬던 것처럼 대만과 남한에 민주주의와 인권을 도입하기 위해 압력을 행사했다. 특히 1950년부터 1960년대의 남한의 정부는 억압을 행사하고 있었다. (중략) 냉전은 동아시아에서 자본주의적인 산업화를 이루기 위한 미국의 동기와 관련된 것만은 아니었다. 대만, 남한, 홍콩의 사람들은 국가 비상사태에 대한 위기감과 함께 살아야 했다. 그들이 자본주의나 산업화에 성공하지 못하면 공산주의의 권력에 당할 것이라는 공포에 떨었다. 그리하여 전제적인 정치적 리더를 받아들이게 되었고 국가의 목적은 말하자면 경제성장이라는 것에 우선 순위를 두었다. 예를 들어 일본, 한국, 대만의 시민들은 냉전 시대의 빡빡한 시기에서 자본주의를 밀어낼 역량이 없었다.

p. 401 사진설명 남한 서울에서의 민주화 운동에서 불타는 여인과 전투경찰 1988년의 사진. 남한에서 학생들과 노동자들은 큰 민주화 시위를 했고 때로는 경찰과 시위자들 사이의 폭력적인 투쟁으로 발전하기도 했다.


3. 간략 분석

이 책은 중등과정용 역사 교과서로 산업혁명을 시작으로 제1, 2차 세계대전, 냉전시대를 지나 세계화 시대인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세계의 역사를 담고 있으며 이같은 세계사적인 맥락에서 오늘날의 노르웨이가 어떻게 형성되었는지 소개하고 있다. 이 책에서 한국은 냉전시기 한국전쟁이 발발하였고 이후 급속한 경제성장을 이룩한 국가로 기술된다.


4. 검토 의견

페이지 한국 관련 기술 내용 검토 의견 개선 과제 코드
p. 327 한국은 38선을 기준으로 여전히 둘로 나뉘어져 있다. 38선을 휴전선으로 수정함 C3
p. 397 <사진> 남한의 공장에서 아침운동

Nor 397.jpg

1990년대 금성전자의 노동자들이 아침운동을 하는 사진을 수록하였음. 그러나 이 사진은 2015년 오늘날 한국의 모습은 아니며 한국이 여전히 제조업 중심 국가로 오해할 여지가 큼. 따라서 최근 한국의 모습을 보여줄 수 있는 사진으로 교체하고 오늘날의 한국을 추가로 서술하는 것이 필요함 C2
p. 401 <사진> 남한의 서울에서 민주화운동으로 불타는 여인과 전투경찰

Nor 401.jpg

과거 폭력적인 시위를 통하여 민주화를 획득한 경험이 있으나 이것만 강조될 때 오늘날의 한국의 발전된 모습에 대한 잘못된 이해를 초래할 수 있음. 따라서 오늘날 한국의 모습을 반영한 사진으로 교체하고, 한국은 짧지만 치열한 민주화과정을 거쳐 경제성장과 민주화를 동시에 정착시켰다는 서술을 추가할 필요가 있음 C2
- 개선 과제 코드 -
개선 과제 유형
A: 동해·독도 표기 수정 필요 B: 단순표기 C: 내용 수정 필요 D: 내용 증·신설 필요 E: 기타
A1: 동해 표기 A2: 독도 표기 C1: 통계 C2: 과거 사실 C3: 객관적 기술 D1: 증설 필요 D2: 신설 필요

연계 정보

관계 대상 문서 설명
isRelatedTo 교육제도:노르웨이 노르웨이 교육과정, 2014년 조사 보고
isReviewOf 교과서 서지사항 분석대상 교과서 서지사항
isPartOf 종합분석:노르웨이 2014년 노르웨이 보고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