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과서:독일:Exploring History 2 (역사 탐험)"의 두 판 사이의 차이

Cefia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3. 간략 분석)
(4. 검토 의견)
 
106번째 줄: 106번째 줄:
 
| p. 130 || (지도)한국전쟁: 동해의 일본해 표기 || 일본해를 ‘동해’로 표기하거나 최소한 ‘동해(일본해)’로 수정해야 함 || A1
 
| p. 130 || (지도)한국전쟁: 동해의 일본해 표기 || 일본해를 ‘동해’로 표기하거나 최소한 ‘동해(일본해)’로 수정해야 함 || A1
 
|-
 
|-
| p. 131 || 약간의 변경이 있긴 했지만 국경은 38도선에서 재설정되었고, 4킬로미터 넓이의 비무장지대 설치에 대한 합의가 이루어졌다.|| 38선을 휴전선으로 수정함 || C3
 
 
|}
 
|}
  

2016년 12월 16일 (금) 18:04 기준 최신판

1. 목차

  • 1. 바이마르 공화국
  • 2. 제3제국
  • 3. 냉전과 독일의 분단, 1945년-1949년
  • 4. 유럽 내의 두 독일
  • 5. 초강대국의 경쟁
  • 6. 미래에 대한 일별: 21세기의 도전과제

2. 한국 관련 내용

p. 74 M1 (지도): 1949년 이후의 동-서 갈등(The East-West Conflict) -한국은 미국 및 동맹국으로 표시되어 있으며, 남북한 분단선 위에 냉전 충돌(cold war conflicts)로 표시됨.

p. 75 연합국의 협력과 경쟁(Allied Cooperation and Rivalry) 냉전은, 한국(1950년-1953년)과 베트남(1962년-1975년)에서와 같이, 실제 군사충돌로 쉽게 발전할 수 있다.

p. 128 연대표: 1950년 - 한국전쟁

p. 129 표: 냉전과 데탕트(긴장완화)시기 사이의 소련과 미국의 관계

p. 130

냉전이 계속되다 - 한국전쟁, 1950년-1953년 분쟁의 원인(Origins of the Conflict) 1940년대 말경에 미국과 소련은 예전의 동맹국 관계에서 벗어나 세계에 대한 자국의 세력권(spheres of influence)을 확보하려고 시도하는 경쟁국이 되었다. 미국은 공산주의의 추후 팽창을 제한하기 위해 1947년에 트루먼 대통령이 도입한 “봉쇄(containment)"정책(트루먼 독트린)을 추구했다. 마오쩌둥이 이끄는 중국 공산주의자들은 중화인민공화국(People's Republic of China)을 설립했고, 미국은 이에 대한 승인을 거부했다. 한편, 소련은 필요하다면 무력적인 수단을 쓰더라도 모든 공산주의 국가들을 규합해서 소련 블록(Soviet bloc)을 결성하고자 했다. 서구열강들은 특히 두 초강대국이 핵무기를 갖게 된 1949년 이후 들어서 공산주의자들이 전 세계적으로 공세를 펼칠지 않을까 우려했다. 그로부터 1년 뒤, 한국에서의 분쟁이 악화되었다.

p. 130

전개(Development) 일본은 히로시마와 나가사키에 원자탄이 투하되고 나서 1945년 9월 2일에 항복했다. 초강대국들이 한국을 임시로 분할하는데 동의함에 따라 북쪽은 소련의 점령 하에 들어갔고 남쪽은 미국의 점령 하에 들어갔다. 분계선은 위도 38도선에 위치했다. 두 점령세력은 각각의 점령 지역에 영향력을 행사했고 전쟁으로 상대를 위협했다. 한국은 미국과 소련이 군대를 철수시킨 이후에도 계속 분단된 채로 남았다. 한국 전역에서 실시하기로 했던 선거는 남한에서만 치러졌다. 이승만(Syngman Rhee)이 미국의 강력한 지원에 힘입어 대한민국(Republic of Korea)의 대통령이 되었다. 이승만 독재정권은 지주와 군부세력의 지지를 받았다. 북쪽에서는 공산주의자인 김일성(Kim Il Sung)이 이끄는 조선민주인민공화국(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이 설립되었다. 소련과 중국의 지원을 받고 있던 북한 정부는, 남한과 마찬가지로, 한국 전역에 대한 통치권을 요구했다. 1950년 6월, 북한군의 공격이 시작되었고 수일 내에 대부분의 남한 지역이 점령되었다. 많은 서방국가들은 이 같은 침략행위를 소련(Moscow)이 사주한 것으로 보았으며 이를 공산주의자들의 침략행위에 대한 증거로 간주했다. 유엔 안전보장이사회는 침략을 비난했고 미국의 지휘 하에 유엔군을 한국에 파견했다.

p. 131 육지와 바다에서 실시된 반격으로 인해 북한군은 38선 이북으로 후퇴했다. 소련은 미국이 외국의 내정에 간섭하고 있다고 비난했다. 미군이 북한군을 중국국경까지 몰아내자, 중국의 “지원병(volunteers)"이 - 중국은 개전의 위험을 원치 않았다 - 전쟁에 참전했고 전선은 거의 원위치로 되돌아갈 수밖에 없었다. 전투는 여기서 교착상태로 끝났다. 세계는 또 다시 세계대전으로 치달을 것 같은 위기에 처했다. 트루먼 대통령은 1951년 소련 조종사들이 중국공군을 지원하자 이로 인해 전쟁이 고조되지 않을까 우려했다. 미국의 맥아더 장군은 중국에 대한 핵공격을 공개적으로 요구했지만, 트루먼은 이 거침없는 장군을 교체시켰다. 평화를 이룰 수 있는 몇몇 기회들이 지나갔다. 전쟁은 계속되었고 1953년에 이르러 마침내 휴전이 조인되었다. 약간의 변경이 있긴 했지만 국경은 38도선에서 재설정되었고, 4킬로미터 넓이의 비무장지대 설치에 대한 합의가 이루어졌다. 평화조약을 위한 협상은 1954년에 실패로 돌아갔다.

p. 131 결과(Results) 오늘날까지 한국은 분단된 국가로 남아있다. 약 2백만 명이 전쟁에서 목숨을 잃었다. 전쟁은 또 다른 면에서 광범위한 영향을 미쳤다. 미국이 공산주의의 정권장악을 방지하기 위해 일본과 서독 두 나라에서의 비무장 정책을 포기했던 것이다. 초강대국들은 서로에 대해 한층 더 의심을 품게 되었다. 미국은 소련의 세력권 주위에 군사기지를 설치했고 1955년까지 43개 국가들과 군사조약을 맺었다. 소련은 1953년 6월 17일의 동독 시위와 1956년 10월의 헝가리 폭동을 무자비하게 진압하면서 계속해서 자국이 장악하고 있는 지역 내의 세력권을 유지했다.

p. 130 M1 (지도): 한국전쟁, 1950년-1953년 동해의 (일본해) 표기

p. 131 M2 (그림): “한국에서의 대학살(Massacre in Korea)”이라는 제목의 파블로 피카소 작품(1951년)이 실려 있음

p. 132 M3 (그림): “한국에서 손을 떼라”는 제목의 한국전쟁에 대한 소련의 풍자화(caricature, 1953년)가 실려 있음.

p. 132 M4 : 당시 기록 속의 한국전쟁(The Korean War in Contemporary Accounts) a) 미국의 대통령인 해리 트루먼은 이렇게 진술한다: “우리 세대 들어 강한 나라가 약한 나라를 공격한 경우가 이번이 처음은 아니었다. 만주, 에티오피아, 오스트리아를 포함해서 앞서 일어났던 몇몇 사례들이 떠올랐다. 나는 민주주의가 조치를 취하는데 실패할 때마다 침략국들이 어떻게 고무되었는지를 상기했다. 한국에서 공산주의는 히틀러, 무솔리니, 일본이 했던 것처럼 행동하고 있었다. [...] 만약 이러한 상황을 문제 삼지 않고 넘어간다면, 이는 비슷한 사건들이 제2차 세계대전을 초래한 것과 마찬가지로 세 번째 세계대전을 의미하게 될 것이다.” 해리 트루먼, 1956, 「시련과 희망의 시대, 1946년-1953년」, 뉴욕, 351쪽

b) 마오쩌둥이 1950년 10월, 한국에 중국군을 파견하기로 결정하다: “우리는 지원병이라는 이름으로 중국군[sic] 일부를 한국에 파견하기로 결정했다. [...] 한국이 미국에게 완전히 점령되고 한국의 혁명세력이 크게 패배한다면, 미국의 침략자들은 더욱 걷잡을 수 없어질 것이고, 그러한 상황은 동구권 전체에 불리해질 것이다. [...] 그동안에 우리 군대는 소련 무기들이 도착하기를 기다렸다가 그 무기로 무장할 것이다. 그리고 나서야 반격을 개시할 것이다. [...] 적군은 이제 막 훈련을 시작한 우리 공군이 1951년 2월에 3백대의 전투기를 이끌고 참전할 수 있을 때까지 제공권을 장악할 것이다.” “1959년 10월 2일, 마오쩌둥이 스탈린에게 보낸 전보”, 장과 첸(편집), 「중국 공산주의 외교정책」, 162-163쪽

p. 132 M5 : 한국전쟁에 대한 흐루시초프의 회고 1971년에 흐루시초프는 다음과 같이 회고한다: “북한은 이승만의 압제 아래에 있던 그의 동포들에게 도움의 손길을 뻗고자 했다. 스탈린은 김일성에게 이에 대해 신중히 생각하라고 설득했다. [...] 김일성은 모든 일을 준비해놓고 다시 모스크바를 찾았다. [...] 스탈린은 미심쩍어했다. 그는 미국이 개입할까봐 걱정했지만, 우리의 생각은 전쟁이 신속하게 치러진다면 - 그리고 김일성은 신속하게 승리할 수 있을 것이라고 확신했다 - 미국의 개입을 피할 수 있을 것이라는 쪽으로 기울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스탈린은 마오쩌둥에게 김일성의 제안에 대한 의견을 구하기로 결정했다. 전쟁은 스탈린의 생각이 아니라 김일성의 생각이었음을 강조하고 싶다. 김일성이 전쟁을 주창했던 당사자였다. 물론, 스탈린이 그를 단념시키려고 애를 쓰지는 않았다. [...] 마오쩌둥의 대답도 긍정적이었다. 그는 김일성의 제안을 승인했고, 전쟁은 한국인들이 스스로 결정해야 할 내부문제이므로 미국이 개입하지 않을 것이라는 의견을 내놓았다.” N.S. 흐루시초프, 「흐루시초프 회고록」, E. 크랜크쇼 편집(1971년), E.G. 레이너, 「냉전」, 1992, 런던 등. 27쪽에 인용

p. 133 M6 : 이상적인 미국 빌 클린턴은 2000년에 한국전쟁 발발 50주년을 맞아 워싱턴 D.C.의 한국전쟁 기념관에서 다음과 같은 연설을 했다: “ [...] 공산국가들의 지도자들은 미국이 남한 편에 설 것이라고 믿지 않았다. 어찌 되었건, 미국은 또 한 번의 전쟁을 원치 않았다. 2차 세계대전의 혈흔이 아직 마르지 않은 상태였다. 아무도 더 이상의 (전시)배급을 원치 않았고 더 이상 웨스턴 유니온의 사환이 육군성에서 온 전보를 들고 달려가기를 원치 않았다. 미국은 가정을 이루기를 원했고, 창에 붙어있는 전사자 가족을 표시하는 금성장(gold star)이 아니라 우등생에게 주어지는 성적표의 금별(gold star)을 원했다. 그러나 해리 트루먼은 집에서 그 뉴스를 들었던 순간부터, 그 전해 크리스마스 이후 처음 미주리로 가는 여행 중에, 이때가 중대한 고비임을 깨달았다. 침략행위가 자유세계로부터 아무런 저항을 받지 않고 한국에서 승리를 거두게 된다면, 어떠한 약소국도 다시는 침략에 저항할 용기를 내지 못할 것이다. 그는 단지 나치의 침략이 공산주의의 침략으로 대체되는 것을 보기 위해 미국의 병사들이 나치와 싸우다 전사한 것이 아니었음을 알고 있었다. 그러므로 한국은 단지 지도상의 선(line)에 불과한 것이 아니었다. 한국은 미국이 냉전에 대해 한계를 설정했던 장소였고, 당시 새로 창설된 유엔에서 전 세계 국가들이 무력침공을 다 함께 저지하기 위해 무력을 사용하기로 처음 투표한 장소였다. [...] 한국에게 전쟁이 최악의 상태였음은 의심할 여지가 없지만 한국에게 있어서 미국은 또한 최선의 상태였다.

p. 133 M7 (사진): 워싱턴 D.C.의 한국전쟁 기념관, 1955년 사진

p. 133 과제(Tasks) 1. 전쟁이 어떻게 전개되었는지를 제시하라. (M1) 2. 피카소의 그림을 분석하라. 그는 무엇을 고발하고자 하는가? (M2) 3. “한국에서 손을 떼라”라는 제목의 풍자화를 분석하라. (M3) 4. 트루먼이 만주, 에티오피아, 오스트리아를 언급한 이유를 설명하라. (M4a) 5. “지원병”이라는 단어를 설명하라. 6. 전쟁에 대한 흐루시초프의 인식과 클린턴의 인식을 비교하라. (M5, M6) 7. 클린턴이 한국전쟁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에 대해 의견을 말하라. (M6) 8. 한국의 상황과 독일의 상황을 비교하라. 9. 오늘날 한국의 상황에 대해 알아보라.

p. 151 6. 21세기의 도전과제 새로운 강대국의 등장(The Rise of New Powers) 1991년에 소련이 붕괴함으로써 민주주의가 전 세계적으로 승리를 거둘 것이라는 큰 희망이 떠올랐다. 그러나 새로운 지역 강대국들이 등장했지만, 그 모두 다 민주주의를 따르지는 않았다. 중국, 인도, 브라질, 러시아, 한국(South Korea)은 번영을 이루었고 국가의 영향력이 증대되었다.

3. 간략 분석

중등과정에서 사용하는 이중 언어 수업용 역사교과서로 독일어가 아니라 영어로 된 책이다. 바이마르공화국에서 21세기까지의 역사를 수록한 책으로 한국 관련 내용으로는 한국전쟁이 많은 비중을 차지한다. 동서갈등의 국제정세 속에서 한국에서의 전쟁 발발과 전개 및 결과에 이르기까지 기술하고 있다. 특히 피카소의 그림, 한국전쟁을 소재로 한 풍자화와 기록 및 사진들을 함께 수록하여 전쟁을 구체적으로 묘사하였다. 한국전쟁 이후의 전세계 상황을 언급한 부분에서, 냉전 이후 번영을 이루었고 국가의 영향력이 증대된 국가로 한국이 언급된 것은 주목할 만하다. 한국 관련 내용 중 수정할 부분은 ‘동해’의 ‘일본해’ 표기이다. 한국전쟁의 전개 과정을 표시한 지도에서 동해를 일본해로 표시하고 있어, ‘일본해’를 ‘동해’로 수정하거나 최소한 ‘동해(일본해)’로 수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4. 검토 의견

페이지 한국 관련 기술 내용 검토 의견 개선 과제 코드
p. 130 (지도)한국전쟁: 동해의 일본해 표기 일본해를 ‘동해’로 표기하거나 최소한 ‘동해(일본해)’로 수정해야 함 A1
- 개선 과제 코드 -
개선 과제 유형
A: 동해·독도 표기 수정 필요 B: 단순표기 C: 내용 수정 필요 D: 내용 증·신설 필요 E: 기타
A1: 동해 표기 A2: 독도 표기 C1: 통계 C2: 과거 사실 C3: 객관적 기술 D1: 증설 필요 D2: 신설 필요

연계 정보

관계 대상 문서 설명
isRelatedTo 교육제도:독일 독일 교육과정, 2016년 조사 보고
isReviewOf 교과서목록:독일 독일 사회과 교과서 목록
isPartOf 종합분석:독일:2016 2016년 독일 보고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