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과서:룩셈부르크:Géographie 2de :Sociétés et développement durable

Cefia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1. 목차

  • 제1장. 개발에서 지속가능한 개발로 – 12~13
    • 수업 1. 불평등하고 불균형적인 개발 – 16~17
      • 예시 1. 동아시아의 불균등한 개발을 보여주는 지표는 무엇인가? - 18~19
      • 예시 2. 지중해를 둘러싼 남과 북의 불균형을 보여주는 것은 무엇인가? - 20~21
    • 수업 2. 2050년 90억 인구의 새로운 수요 – 24~25
      • 예시 3. 중국의 인구 정책은 성장의 동력인가, 걸림돌인가? - 26~27
      • 예시 4. 이집트의 인구 증가는 개발에의 걸림돌인가? - 28~29
    • 수업 3. 지속가능한 개발 방식 실행하기 – 32~33
      • 예시 5. 유럽연합은 왜 지속가능한 개발의 실험실인가? - 34~35
      • 예시 6. 가봉의 산림 관리는 지속가능한가? - 36~37
      • 예시 7. 호주가 지속가능한 관광산업을 개발하는 이유는? - 38~39
  • 제2장. 인간의 먹고 살기 – 50~51
    • 사례 연구 1. 브라질, 세계의 새로운 농장? - 52~57
    • 사례 연구 2. 세네갈 : 식량 불안을 퇴치하는 방법은 무엇인가? - 60~65
    • 수업 1. 인구의 증가, 생산물의 증가 – 72~73
    • 수업 2. 식량 안보 보장 – 76~77
    • 수업 3. 지속가능한 농사를 개발하다 – 78~79
  • 제3장. 물, 필수적 자원 – 88~89
    • 사례 연구 1. 미국 남서부의 물 관리를 고민하다 – 90~95
    • 사례 연구 2. 물 : 중동이 갈망하는 자원 – 98~103
    • 수업 1. 물의 분포와 불평등한 접근 – 110~111
    • 수업 2. 물, 관리해야 하는 자원 – 112~113
    • 수업 3. 탐욕의 대상이 된 자원 관리 – 114~115
    • 사례 연구 요약. 남아프리카공화국은 어떻게 지속가능한 물 관리를 보장하는가? - 116~117
  • 제4장. 에너지 쟁점 – 126~127
    • 사례 연구 1. 중국은 늘어나는 에너지 수요를 어떻게 감당하고 있는가? - 128~133
    • 사례 연구 2. 미국의 에너지 안보를 지속가능하게 보장할 수 있을까? - 136~141
    • 수업 1. 에너지 수요와 자원 관리 – 148~149
    • 수업 2. 환경의 영향과 지정학적 갈등 – 150~151
    • 사례 연구 요약. 카타르는 어떻게 그 방대한 에너지 자원을 관리하는가? - 152~153
    • 수업 3. 미래를 위해 어떤 에너지를 선택해야 하는가? - 154~155
    • 사례 연구 요약. 덴마크는 어떻게 지속가능한 에너지를 사용하는 모범 국가가 되었는가? - 156~157
  • 제5장. 도시와 지속가능한 개발 – 166~167
    • 사례 연구 1. 런던, 지속가능한 도시인가? - 168~173
    • 사례 연구 2. 라고스 : 도시의 폭발적 확장에 대응하다 – 176~179
    • 사례 연구 3. 쿠알라룸푸르 : 성장 중인 거대도시를 지속가능한 방식으로 정비하기 – 182~185
    • 수업 1. 도시의 성장과 그 결과 – 192~193
    • 수업 2. 교통과 이동성 – 194~195
    • 사례 연구 요약. 보고타의 교통 정책이 혁신적인 이유는? - 196~197
    • 수업 3. 지속가능하도록 도시를 정비하기 – 198~199
    • 사례 연구 요약. 밴쿠버는 어떻게 지속가능한 도시가 되었나? - 200~201
  • 제6장. 극 지역, 지구의 “새로운 국경” - 212~213
    • 사례 연구 1. 캐나다 북부 (The North), 새로운 국경인가? - 214~218
    • 사례 연구 2. 그린란드, 독립을 추구하는 북극지방 – 222~225
    • 수업 1. 북극, 통합의 길로 나아가는 논쟁적 공간 – 232~233
    • 수업 2. 북극, 탐욕의 공간 – 234~235
    • 수업 3. 북극, 세계적 균형을 찾기 위한 쟁점 – 236~237
    • 사례 연구 요약. 대서양을 지속가능하도록 보존하기 위한 방법은 무엇인가? - 238~239
  • 제7장. 연안 지역, 탐나는 공간 – 246~247
    • 사례 연구 1. 싱가포르 개발은 연안지역의 지속가능한 개발과 양립될 수 있는가? - 248~253
    • 사례 연구 2. 모로코의 대서양 연안 : 긴장 속의 연안 지역 – 256~259
    • 수업 1. 인간과 경제 활동의 연안 지역 집중 현상 – 266~267
    • 수업 2. 연안 공간의 경쟁 – 268~269
    • 수업 3. 연안 지역을 지속가능하도록 정비하기 – 270~271
    • 사례 연구 요약. 레위니옹 섬의 지속가능한 개발 시행 방법은? – 272~273
  • 제8장. 중대한 위험에 노출된 공간 – 280~281
    • 사례 연구 1. 일본 : 후쿠시마 이후의 위험성 대비하기 – 282~285
    • 사례 연구 2. 터키 : 신흥 국가의 위험 대비하기 – 288~291
    • 수업 1. 다양한 위험 대처 방식 – 298~299
    • 수업 2. 사회의 각기 다른 취약성 – 300~301
    • 사례 연구 요약. 태풍 샌디가 보여주는 서로 다른 위험 대처 방식 – 302~303
    • 수업 3. 위험에 대한 서로 다른 적응과 예방 – 304~305
    • 다방면의 사례 연구 1. 인도 개발에 있어 물과 녹색혁명이 중요한 쟁점인 이유는 무엇일까? - 314~317
    • 다방면의 사례 연구 2. 북극의 에너지 자원 : 러시아의 새로운 쟁점? - 320~323
    • 다방면의 사례 연구 3. 타일랜드 연안, 탐나면서도 위험한 지역인가? - 326~329

2. 한국 관련 내용

12쪽. (지도) 1. 세계 부의 불평등
2013년 한국의 일인당 구매력 GDP는 1만~4만 달러에 해당함.

15쪽. (지도) 1. 세계의 발전
2012년 한국의 인간개발지수는 0.8~0.955 사이임.

18쪽. (좌측 지도) 1. 동아시아의 부
한국의 2012년 일인당 구매력 GDP는 1만~4만 달러이며, 같은 해 국가 GDP는 1조 달러 이상임.

19쪽. (지도) 4. 동아시아의 빈곤
2012년 한국에서 하루 1.25달러 미만으로 생활하는 인구는 0~10% 사이임.

23쪽. (지도) 1. 다양한 인구 증가 속도
한국의 1990~2010년 사이 인구 자연증가율은 0~1 사이임.

31쪽. (지도) 2. 지속가능한 개발의 전 지구적 전파를 향하여
2010년 한국에서 ‘보호되고 있는 육지 및 해양 공간의 면적’은 5~10%임.

42쪽. (지도) 1. 세계의 인구 증가
2010~2015년 사이 한국의 연간 인구증가율은 0~1% 사이임.

43쪽. (하단 지도)
한국은 2011년 전체 GDP가운데 7~10%를 보건비로 지출함.

50쪽. (지도) 1. 세계의 농업
2014년 한국의 ‘전체 경제 활동 인구 가운데 농업 활동 인구’는 0.1~5% 사이임.
68쪽. (좌측 하단 지도) 1. 새로운 형태의 영양불균형 : 비만
2009년 한국의 비만 인구 비율은 1.1~10%임.

69쪽. (지도) 2. 세계의 식품 접근권
20009년 한국인의 하루 영양 섭취량은 2,800~3,350kcal임.

70쪽. (지도) 지배적인 두 농업 모델
남한은 주로 ‘현대적이고 상업적인 농업’이 이루어지고 있음. 북한은 ‘전통적이고 생계형 농업’이 이루어지고 있음.

71쪽. (지도) 새로운 농업 해결방안을 찾아서
한국은 ‘공정무역’ 제품을 구매하고 있음.

80쪽. (지도) 1. 세계의 두 영양 불균형 형태
2013년 한국의 영양실조 비율은 0~5%이며, 2009년 비만 인구는 5백만 명 가량임.

84쪽. (좌측 상단 지도) 동아시아와 남아시아의 영양 상황
2010년 한국의 전체 인구 가운데 영양실조 인구 비율은 0~5%이며, 북한은 30~38%임.
(우측 상단 지도) 동아시아와 남아시아의 영양 상황
한국은 ‘영양실조 인구의 비율이 낮음’에 해당하며 북한은 ‘영양실조 인구의 비율이 높음’에 속함.

88쪽. (지도) 1. 세계의 강수량
한국의 연평균 강수량은 500~2000mm임.

106쪽. (좌측 지도) 세계의 물 접근
2010년 한국의 ‘물 접근 가능 인구’는 95~100%임.

107쪽. (지도) 세계의 물 사용 가능성
한국의 2011년 ‘재생가능한 물 자원’은 매해 일인당 1000~1700㎥로, ‘물 스트레스’ 상황임.

108쪽. (지도) 물 수요와 관리
‘전체 물 채취 중 농업 용수 채취 비율 (2010~2011)’의 경우 한국은 25~50% 사이이며 북한은 50~75%에 해당함.

109쪽. (지도) 물 관련 위협과 긴장 상황
한국의 ‘2011년 물 의존 지수’는 0~25%이며, 2014년 대구에서 ‘물 관련 국제회의’가 개최되었다고 표시됨.

111쪽. (지도) 3. 수인성 질병과 깨끗한 물 접근권
‘2011년 정수를 이용하지 못하는 인구의 비율’의 경우 한국은 0~20%이며, 2010~2012년 사이 콜레라 발병 건수는 50명 미만임.

126쪽. (지도) 1. 세계 에너지 수요 변화
1990~2011년 사이 한국의 연평균 에너지 소비 증가율은 5~10%임. 북한의 연평균 에너지 소비 증가율은 –3.4~0%임.

144쪽. (좌측 지도) 1. 화석에너지의 불균등한 영향력
‘2009년 에너지 소비 중 화석 에너지의 비율’을 나타낸 지도에서 한국은 ‘데이터 없음’으로, 북한은 70~90%로 표시됨.

145쪽. (지도) 2. 세계의 에너지 소비
한국의 ‘2012년 일인당 1차 에너지 소비’는 ‘6~18 석유환산톤(TOE)’이며 북한은 0.1~1.5 TOE로 표현됨.

146쪽. (지도) 에너지의 지정학적 쟁점
한국은 ‘탄화수소 수입국’임.

147쪽. (지도) 또 다른 에너지 해결 방안을 찾아서
한국은 ‘2012년 전체 에너지 생산 가운데 원자력 에너지의 비율이 15% 이상인 국가’ 중 한 곳이며 ‘2011년 전체 전력 생산 가운데 재생 가능한 에너지의 비율’이 0~1%임.

166쪽. (지도) 1. 점점 더 도시화되어 가는 세계
한국의 ‘2010~2015년 사이 도시 인구 증가율’은 0~1% 사이임.

188쪽. (지도) 1. 세계의 판자촌
한국의 ‘판자촌(무허가 거주시설)에 사는 도시 인구 비율’은 21~45%임.

189쪽. (지도) 2. 불균등한 도시화
2012년 한국의 도시화 비율은 70~90%이고 2014년 한국 주거 밀집 지역에 거주하는 인구 규모는 1천 5백만 명임.

190쪽. (지도) 세계의 도시 교통
2011년 한국에서 자동차 사용 인구의 비율은 인구 천 명 당 100~400대에 해당하며, 서울은 ‘WHO가 정한 기준보다 평균 2.5배 이상 대기오염이 심각한 대도시’임.

191쪽. (지도) 도시의 새로운 해결방안에 대한 모색
한국에서 ‘세계 도시 기후 협약’에 서명한 도시는 2~4곳임.

246쪽. (지도) 1. 연안, 인구가 조밀한 지역
한국은 서해안 지역을 중심으로 2010년 평방킬로미터 당 200명이 넘는 인구가 살고 있거나 50~200명이 거주하는 지역이 혼재되어 있음.

252쪽. (하단 지도) 11. 동아시아 연안의 지속가능한 관리에 대한 싱가포르의 역할
한국은 “PEMSEA” 연안통합관리 회원국이며 “PEMSEA” 연안통합관리가 정합 지속가능한 개발 프로젝트를 시행하고 있음.

262쪽. (좌측 지도) 1. 서로 다른 연안 집중 수준
한국은 해안에서 100km 미만 거리에 살고 있는 인구의 비율이 75~100%임.

263쪽. (지도) 2. 연안에 집중되어 있는 인구와 경제활동
서울은 ‘인구 천만 명 규모의 연안 도시’이며 인천, 부산, 울산 등은 1~5백만 규모의 연안 도시임. 3천만 TEU 규모의 부산항 및 1~2천만 TEU 규모의 항구가 세 곳 있음.

264쪽. (지도) 연안의 갈등
2010년 한국에서는 50만 톤 규모의 양식이 이루어지고 대한해협 부근은 ‘배타적경제수역을 둘러싼 논쟁 지역이자 갈등 지역’으로 표현됨. 한반도의 전 해안은 ‘어업 지역’임.

265쪽. (지도) 연안에 대한 새로운 해결 방안 모색
한반도의 전 해안은 ‘매우 오염된 연안’으로 표시되며, 서울은 ‘지속가능한 개발 프로그램의 수혜를 받고 있는 국제적 항구’로 표시됨.

270쪽. (지도) 참고 B. 세계의 습지 보호
2014년 한국에서 ‘람사르 습지 협약’에 의해 보호되고 있는 지역은 5~15곳임.

280쪽. (지도) 1. 1993~2013년 사이 자연 재해로 인한 희생자
이 기간 동안 한국의 인구 10만 명 당 자연재해로 인한 희생자 (사망, 부상, 이재민) 수가 1천 명 미만임.

294쪽. (지도) 1. 세계의 기술적 위험
한국은 ‘최소 1기 이상의 원자력 발전소가 있는 국가’임.

295쪽. (지도) 2. 자연적 위험성에 대한 불균등한 노출 정도
한국은 전체 인구 가운데 14~17%가 자연 재해에 노출되어 있다고 표현됨.

296쪽. (지도) 재해에 대한 취약성의 불균등함
한국의 취약성 지수는 27~37임.

297쪽. (지도) 위험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 모색
다양한 위험성의 예방 : 한국의 ‘위험 관리 효율성 지수’는 45~64임.

336쪽. (지도) 지형도
동해가 ‘일본해’로 표기됨.

336쪽. (지도) 2. 세계의 인구
2014년, 한국에는 인구 50만 명 이상의 도시가 많으며, 서울은 인구 1,000~3,700만 규모의 대도시임.

Ⅵ쪽. (상단 지도) 4. 세계의 부
한국의 2013년 구매력 기준 GDP는 1~4만 달러임.
(하단 지도) 세계의 개발
2012년 한국의 인간개발지수는 0.8~0.955임.

3. 간략 분석

Hachette 출판사의 2014년 고등학교 1학년 지리 교과서. 한국을 주체로 한 서술은 없으나 여러가지 주제조를 통해 한국의 발전된 모습과 선진국 수준의 면모를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환경적 측면에서 서울은 ‘WHO가 정한 기준보다 평균 2.5배 이상 대기오염이 심각한 대도시'로 표현되며 한반도의 전 해안은 ‘매우 오염된 연안’으로 표시되는 특징이 있다.

4. 검토 의견

페이지 한국 관련 기술 내용 검토 의견 개선 과제 코드
188p 한국의 '판자촌에 사는 도시 인구 비율'이 21~45%에 해당하는 것으로 표시됨 '동'이상 행정구역 거주 인구 대비 판자집 및 비닐하우스 거주 인구는 약 0.06명이므로 표시를 삭제해야 함. (북한과 혼동했을 가능성이 있음) C1
265p 서울은'지속가능한 개발 프로그램의 수혜를 받고 있는 국제적 항구'로 표시됨 서울은 항구가 아니므로 삭제해야 함 C3
336p 동해가 일본해로 표기됨 동해로 표기하거나 최소한 병기해야 함 A1
- 개선 과제 코드 -
개선 과제 유형
A: 동해·독도 표기 수정 필요 B: 단순표기 C: 내용 수정 필요 D: 내용 증·신설 필요 E: 기타
A1: 동해 표기 A2: 독도 표기 C1: 통계 C2: 과거 사실 C3: 객관적 기술 D1: 증설 필요 D2: 신설 필요



연계 정보

관계 대상 문서 설명
isRelatedTo 교육제도:룩셈부르크 룩셈부르크 교육과정, 2015년 조사 보고
isReviewOf 교과서 서지사항 분석대상 교과서 서지사항
isPartOf 종합분석:룩셈부르크 2015년 룩셈부르크 보고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