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과서:르완다:SENIOR SECONDARY HISTORY STUDENTS BOOK GRADE 5

CefiaWiki
Bibary2000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6년 2월 19일 (금) 19:55 판 (새 문서: == 1. 목차== *1. 비엔나 회의와 유럽의 재배치 *2. 이탈리아와 독일의 통일 *3. 동유럽 문제 *4. 제 1차 세계 대전 *5. 양 대전 사이 시기 *6. 제 2...)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1. 목차

  • 1. 비엔나 회의와 유럽의 재배치
  • 2. 이탈리아와 독일의 통일
  • 3. 동유럽 문제
  • 4. 제 1차 세계 대전
  • 5. 양 대전 사이 시기
  • 6. 제 2차 세계 대전
  • 7. 세계대전 이후의 시대
  • 8. 강대국의 출현

2. 한국 관련 내용

pp. 115-118: 한국전쟁
한반도
한반도는 2차 세계대전의 격전지 중 하나였다. 당시 한국은 일본의 식민지였으며 두 강대국이 한반도의 해방에 관심을 두고 있었다. 1948년 한반도는 미국과 소련에 의해 식민지에서 해방되었다. 하지만 두 강대국은 저마다 다른 의도가 있었다.
한반도의 북쪽은 소련에 의해 해방되었고 그들은 해방 이후 공산주의 사상과 신념을 강조, 김일성이 정부를 이끌도록 지시했다. 미국에 의해 해방된 남한은 자본주의 제도를 채택했고 이승만이 초대 대통령으로 선출되었다. UN은 한반도의 중립성을 위해 두 강대국의 철수를 원했다. 하지만 한반도의 지리적, 자원적 특성상 두 강대국은 한반도의 전권 통제를 원했고 1949년에 이르러서는 미국과 소련 양국 모두 철수를 거부했다. 이는 이듬해 6월 25일 한반도를 3년간의 전쟁에 빠트렸고 이는 1953년 한반도가 휴전선을 경계로 남한, 북한으로 나뉘면서야 멈추게 되었다.

한국전쟁의 요인
한국 전쟁은 한반도의 해방 당시 직접적 개입을 했던 두 강대국의 이데올로기적 차이에서 발생한 것이다. 미국은 남한에 자본주의를 가져왔고 소련은 북에 공산주의를 불러왔다. 이 두 사상은 이렇게 첨예하게 대립했던 적이 없었다. 북한은 통일을 원했으나 공산주의의 틀 안에서의 통일이었다. 이러한 대립은 결국 전쟁을 일으켰고 국가적 문제는 이후 냉전의 시초가 되었다.
독립의 염원도 한국 전쟁의 요인 중 하나이다. 남한과 북한 모두 두 강대국이 UN의 의지를 존중해 반도에서 철수하기를 원했으나 강대국들은 이를 원하지 않았으며 전쟁을 불러일으켰다.
소련이 북한의 김일성에게 비밀리에 지원한 자원은 그가 이승만 정권의 전복과 통일이라는 염원을 가지고 남침을 하도록 부추겼다. 하지만 이는 오산이었는데 이승만은 미국의 지원을 받고 있었기 때문이다. 미국은 단순히 군사와 군수물자만이 아닌 전략적 요인들까지 지원했고 단순히 내전으로 끝났을 전쟁은 초강대국들의 전쟁터가 되었다. 당시 한반도의 지도자들의 책임을 들 수도 있을 것이다. 이승만과 김일성 둘 다 통일 한국의 주인이 되고 싶어 했고 온갖 유언비어를 퍼뜨렸다. 1950년에 이르러서 둘은 이미 마주앉을 수 없는 사이였다. 이러한 혼란과 불신 속에 북은 1950년 6월 남한을 침공했고 한국전쟁의 시작을 알렸다.
UNO의 취약함 역시 한국전쟁의 이유 중 하나다. 한국을 원했던 두 강대국은 모두 UNO에서 강한 영향력을 발휘하는 구성원이었고 48년 UNO가 양국의 철수를 권했을 때도 무시할 수 있었다. 인내심의 한계에 달한 한국인들은 1950년 양 주둔군을 공격하기에 이르렀다. 강대국들이 한반도에서의 전쟁을 준비한다는 것을 UNO에서 알게 된 이후에도 이 기구는 아무런 행동도 하지 않았으며 1953년에 이르러서야 한반도를 둘로 나누어 휴전을 꾀한다는 정책을 내놓았을 뿐이었다.
1948~1949년 행해진 투표는 한국 전쟁의 직접적 원인이다. 1949년 통일의 여부를 가리는 투표가 계획되었다. 북의 김일성은 통일 한국에 집착했다. 투표에서 패한 이후 그는 곧바로 통일 한국을 바란다는 핑계로 남침을 감행했다. 그가 남침으로 내세운 가장 큰 이유 중 하나는 1949년 계획대로 투표가 행해지지 않았다는 것이었다.
한국전쟁은 또한 이승만의 대북 도발을 이유로 들 수 있다. 강대국들이 한반도에서 나가자 남한의 지도자는 불안감을 느꼈다. 그는 북한에 대한 도발을 통해 북한이 남한을 침공을 유도했고, 미국의 군대를 불러와 그들을 통한 통일을 계획했다. 도발에 넘어간 북한은 남한을 침범했고 이는 결국 전쟁으로 연결되었다.
1948~1949년 베를린 봉쇄의 실패는 스탈린이 북을 사주해 남한을 공격하게 만들었다. 이는 미국, 영국, 프랑스를 한반도에서 몰아내 그들을 벌주는 데에 있었다. 그들이 실패하면 스탈린 자신이 한반도를 지원, 미국에 대한 처벌의 의미로 반도에 공산주의를 퍼뜨릴 수 있었기 때문이다. 결국 이러한 와중에 한국전쟁은 발발했다.
또 일본 동시 점거의 실패는 소련이 한국으로 눈을 돌리게 하였다. 미국이 1945년 포츠담 협정에 따라 한반도를 점거했던 것처럼 소련 자신들도 한반도를 점거하려 했으나 이미 미국이 소련에 통보하지 않은 채 한반도를 점거하고 있었다. 이는 소련을 화나게 하였고 그들은 북한을 지원함으로 미국에 복수하려 했다.
1950년 중국 백서의 발표 역시 미국이 전쟁을 선택하게 하였다. 백서의 발표에 따르면 중국은 미국이 남한과 대만의 지원을 그만 두길 원했고 이는 김일성이 남한을 침공해 통일 한국을 세울 계기가 될 수 있었다. 하지만 이 발표는 도리어 미국이 남한을 더더욱 지원하게 하였고 결국 전쟁으로 이어졌다. 남북한의 다른 개발도 역시 한 몫 했다. 남한은 북한에 비해 훨씬 더 개발된 상태였다. 당시 남한은 미국이 자본주의의 지붕 하에 소개한 큰 자원을 만끽하는 중이었다. 이는 남한의 개발을 촉진했고 1950년 남한은 북한과 비교하여 큰 성장을 이룬 상태였다. 북의 지도자들은 남침을 통해 남한의 경제개발, 특히 서울의 그것에 손을 대고 싶어 했다.


한국전쟁의 영향
한국전쟁은 당시 UN 사무총장 트리그붸리의 사임을 불러왔는데 그의 사임의 큰 요인 중 하나는 미국의 비난이었다. 그는 이후 1960년대 카탕가의 분리 독립 당시 사망했다. 2대 총장으로 다그 함마르셸드가 임명되었다. 한국전쟁은 또한 1953년부터 1959년까지 냉전에 긴장감을 고조시켰다. 미국과 소련은 한국전쟁에서 모두 큰 손해를 입었고 아무런 이득도 얻지 못했다. 미국은 한국전쟁을 통해 강대국이라는 이름에 상처를 입었다. 북한에 정신적, 물질적, 재정적 지원을 아끼지 않은 소련과 달리 미국은 이를 포함해 자국 병사들을 암살하려는 시도마저 했다. 미군의 현장 사령관 더글러스 맥아더에게는 소련보다 우월한 군사력이 있었다. 북한은 동남아에 자리하던 무력을 움직일 수 있었고 중국과 함께 동남아조약기구를 창설하기도 했다. 중국과 북한은 함께 미국에 대적했고 1963년, 초강대국 미국은 외교전에서 패배했다. 한국전쟁은 트루먼 독트린이 제창하던 공산주의 전파의 제재를 완전히 무너뜨렸다. 트루먼 대통령은 러시아의 공산주의를 통제하려 했고 다른 공산국가와 미국의 친분을 다지려 했다. 이는 특히 동남아에 집중된 노력이었다. 하지만 미국은 소련 이외의 다른 공산주의 국가에서도 지지를 받지 못했다.
한국전쟁은 또한 1945년의 중-소 분쟁에 어느 정도 영향을 끼치기도 했다. 한국전쟁 초기 소련은 중국에 전쟁비용 지원을 약속하며 북한을 도울 것을 부탁했다. 하지만 일 년 후 러시아는 중국에 자금 낭비 의혹을 제기했으며 다른 공산국가에의 지원을 차단했다. 중국은 난처한 처지에 처했다. 북한의 공산당 동지들을 저버릴 수는 없었지만, 자금상의 여유가 완전히 사라졌기 때문이다. 중국은 국고를 개방하여 전쟁을 지원할 수밖에 없었으며 전쟁이 끝났을 때에는 중국과 러시아의 친분은 이미 없어진 후였다.
한국전쟁의 극심한 파괴는 한반도의 경제 붕괴로 이어졌다. 특히 영향을 받은 곳은 북한이었으며 이는 현재 북한의 퇴보한 경제 상황의 요인 중 하나이다. 전쟁은 또한 이웃 나라 독일, 프랑스 등의 난민 증가를 일으켰다. 많은 수의 노숙자들이 이웃 나라로 피난을 떠났고 UN 고등 난민위원회의 보고에 따르면 약 520만 명의 난민이 전쟁의 여파로 탄생했다고 한다. 이는 난민들의 피난처를 위해 사용할 국채의 증가를 뜻했다. 한국전쟁은 미국 정계에도 영향을 끼쳤는데 트루먼 경의 정책의 인기도 하락을 가져왔고 이어진 대선에서 드와이트 아이젠하워를 상대로 패배를 불러왔다. 이것은 트루먼이 인기를 잃었기 때문이다. 북한은 성공적으로 남한을 침공했다. 중국은 맥아더의 침략으로부터 북한을 지켜냈으며 미군의 아시아 주둔을 반대한다는 뜻을 미 정부에 강력히 비칠 수 있었다. 또한, 서구권에 자신들의 무력을 과시하는 것을 떠나 중국은 아시아의 공산당 동지들에게 입지를 다질 수 있었다.

3. 간략 분석

이 교과서는 고등학교 2학년용 세계사 교과서로 제1,2차 세계대전과 이후의 국제사회 정세에 관한 내용을 주요하게 다루고 있다. 한국에 관해서는 세계대전 이후의 시대를 다루는 제7장에서 한국전쟁을 중심으로 언급되고 있다. 한국전쟁 발발 직전의 한반도 정세, 한국전쟁의 요인과 전개과정, 한국전쟁의 영향에 관해 비교적 자세하게 서술하고 있다.


4. 검토 의견

페이지 한국 관련 기술 내용 검토 의견 개선 과제 코드
- - - -
- 개선 과제 코드 -
개선 과제 유형
A: 동해·독도 표기 수정 필요 B: 단순표기 C: 내용 수정 필요 D: 내용 증·신설 필요 E: 기타
A1: 동해 표기 A2: 독도 표기 C1: 통계 C2: 과거 사실 C3: 객관적 기술 D1: 증설 필요 D2: 신설 필요


연계 정보

관계 대상 문서 설명
isRelatedTo 교육제도:르완다 르완다 교육과정, 2015년 조사 보고
isReviewOf 교과서목록:르완다 르완다 사회과 교과서 목록
isPartOf 종합분석:르완다 2015년 르완다 보고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