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과서:미국:Traditions & encounters :A brief global history. volume 1,To 1500

Cefia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1. 목차

  • 1부.초기복합사회, 3500-500 B.C.E.
    • 1.복합사회의 성립
    • 2.초기 아프리카 사회와 반투 이주자
    • 3.남아시아와 동아시아의 초기 사회
    • 4.아메리카와 오세아니아의 초기사회
  • 2부.고대사회의 형성, 500 B.C.E. – 500 C.E.
    • 5.페르시아의 여러 제국
    • 6.중국의 통일
    • 7.인도의 국가, 사회, 그리고 구원
    • 8.그리스와 로마의 지중해 사회
    • 9.실크로드의 문화 상호 교류
  • 3부.후기 고대, 500-1000 C.E.
    • 10.비잔틴의 기독교 공동체(commonwealth)
    • 11.확장되는 이슬람 영역
    • 12.동아시아에서 재등장한 제국
    • 13.인도와 인도양 분지
  • 4부.상호문화교류시대, 1000-1500 C.E.
    • 14.유목민 제국과 유라시아의 통합
    • 15.사하라 남쪽의 국가와 사회
    • 16.중세의 기독교 서유럽
    • 17.멀리 떨어진 세계: 아메리카와 오세아니아
    • 18.뻗어나감: 상호문화교류

2. 한국 관련 내용

p. 108
한 나라의 제국적 팽창 한무제는 국내에서 권력과 권위의 중앙화를 공격적으로 추구하면서, 마찬가지로 적극적인 제국 팽창의 외교정책을 추구했다. 그는 북 베트남과 북부 한국을 침공하여 이들을 한 나라에 복속시켰으며, 두 나라를 중국 사회의 궤도 안으로 끌어들였다. 한 무제는 두 나라를 중국식 정부를 통해 다스렸으며, 한 나라 군대를 따라 유교적 가치가 새 식민지로 들어왔다. 이후 여러 세기 동안 베트남과 한국 북부의 교육제도는 거의 전적으로 유교의 영향을 받았다.


p. 109

  • 접촉 탐구

한 나라의 대외 영향 한 왕조 때 한의 황제들은 성공적으로 동쪽과 중앙아시아의 강대한 지역으로 넓혔으며, 여기에는 근대 중국의 대부분 지역은 물론이고, 한국, 베트남, 중앙아시아 사막까지 포함된다. 이러한 영향력은 어떤 방식으로 권역내 여러 민족 간의 상호작용을 촉진했는가?


p. 128
…대승불교(마하야나 불교)는 중앙아시아, 중국, 일본 한국에도 급속하게 전파되었다. 보다 엄격한 소승불교(테라바다 불교)는 사라지지 않았지만, 1세기 이후 세계의 불교 대부분은 대승불교를 신봉했다.


p.217
군사적 팽창 강력하고 역동적인 당 왕조는 건국 후 군사력을 행사하기 시작했다. 북쪽으로는 만주를 제국 통치 아래 두었으며, 한국의 신라 왕국이 당의 황제를 상전으로 인정하도록 만들었다. 남으로는 당나라 군대가 베트남의 북부를 점령하였다.


pp. 226-228

  • 동아시아에 대한 중국의 영향

비잔틴과 이슬람 지배 지역(dar al-Islam)의 사회와 마찬가지로 후기고전시대 중국의 사회도 이웃 나라의 발전에 영향을 주었다. 중국의 군대는 정기적으로 한국과 베트남을 침공했으며, 중국의 상인들은 한국과 베트남 뿐 아니라 일본과도 통상 관계를 이룩했다. 중국의 가치체계와 문화전통과 마찬가지로 중국의 정부와 행정 기술은 세 나라의 공공 생활 형성에 기여를 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세 나라는 중국에 흡수되지 않았고, 세 나라 모두 뚜렷한 정체성을 유지했다. 그럼에도 그들은 중국의 전범에서 깊은 영향을 받아 중국의 주위를 도는 더 큰 동아시아 사회에 참여하는 사회를 건설했다.

  • 접촉 탐구

중국의 후기 고전시대는 아시아와 그 너머의 사회와 집중적인 문화 교류를 이룩한 시기였다. 이 교류는 어떤 방식으로 한국, 베트남, 일본의 다른 동아시아 사회의 장기적 발전에 영향을 미쳤는가?

  • 한국과 베트남

당 왕조 시대 중국의 제국 군대는 진과 한 왕조의 전철을 따라 한국과 베트남에서 대규모 세력확장 전쟁을 벌였다. 두 나라는 중국의 제국주의적 팽창에 상이하게 대응했지만, 두 나라 모두 중국의 정치적 문화적 전통을 차용하여 두 나라 사회에 사용했다.

신라왕조 7세기, 당의 군대는 토착 신라 왕조가 궐기하기 전까지 한국의 큰 부분을 정복했다. 당과 신라 당국은 장기적이고 값비싼 대결을 피하길 원했기 때문에 정치적인 타협을 했다. 중국군이 한국에서 철수하고, 신라 왕은 당의 황제를 그의 상전으로 인정한다는 것이었다.

이에 따라 한국은 중국과 조공관계에 들어갔다. 신라왕의 사신은 정기적으로 중국 황제에게 선물을 보내고, 고두(叩頭)를 했지만, 이러한 양보는 한국에 큰 혜택을 주었다. 중국의 우위를 인정하는 대가로 한국은 중국에 보낸 조공물 보다 더 값진 선물을 받았다. 더욱이, 조공 관계는 한국 상인들이 중국과 교역할 문호를 열어 놓았다.

한국에 대한 중국의 영향 한편, 조공관계로 한국에 대한 중국의 정치적 문화적 영향의 전파가 쉬워졌다. 한국의 통치자는 중국의 방식에 따라 그들의 조정을 꾸몄으며, 신라의 왕들은 금성(Kumsong)에 당의 수도 장안을 본 딴 새 수도를 건설하기도 했다. 한국의 학자들이 중국의 사상과 문학을 공부하기 위해 중국으로 갔으며, 중국 전적의 사본을 한국으로 가져왔다. 그들의 노력으로 한국의 엘리트들은 유교전통에 관심을 갖게 되었고, 불교의 중국교파가 폭 넓은 대중적 관심을 끌게 되었다.

중국과 한국은 여러 점에서 다르다. 아마도 가장 뚜렷한 것은 중국 보다 한국에서는 귀족과 왕가가 더 사회적으로 지배적이라는 점일 것이다. 한국의 왕실은 중국식 학교와 유교식 과거제도를 후원했지만, 한국에서는 능력에 바탕을 둔 관료제도가 확립된 적이 없으며, 지배층이 정치적 실권을 단단히 쥐고 있었다. 그럼에도, 강력한 이웃과 광범한 거래를 함으로써 한국은 중국의 정치적 문화적 전통의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없었다.

중국과 베트남 중국과 베트남의 관계는 한국과의 관계보다 훨씬 팽팽했다. 당의 병력이 중국인이 南越이라 부르던 지역으로 진공하였을 때 홍하 일대에 살고 있던 越族은 맹렬하게 저항했다. 당의 군사력은 곧 越의 마을과 도시들을 장악했고, 월을 중국 사회에 흡수하기 위한 노력을 시작했다. 월은 중국의 학교와 행정 기술은 물론 농법과 관개 제도까지 쾌히 받아들였다. 한국과 마찬가지로 월의 엘리트들은 유교 경전을 공부하고 중국식 교육에 바탕을 둔 시험을 치렀으며, 월의 상인들은 그들의 물건을 중국에 팔았다. 베트남 당국자들은 중국 조정과 조공관계를 맺기까지 하였다. 그러나 월은 그들을 지배하려는 중국을 미워하여 당의 당국에 잇달아 반란을 일으켰다. 10세기 초 당 왕조가 멸망하자 월은 독립을 얻었으며, 이후 중국의 남진 제국확장 노력에 성공적으로 저항했다.

한국과 마찬가지로 베트남은 여러 면에서 중국과 달랐다. 불교를 믿는 신도가 많았지만, 많은 베트남인은 중국의 문화전통 보다는 자신들의 토착종교를 고수하려 했다. 베트남 사회와 경제에서는 중국에서 보다 여성이 훨씬 더 중요한 역할을 했다. 동남아시아의 여성들은 여러 세기 동안 지방과 지역 시장을 지배했으며, 중국처럼 경직된 가부장 사회에서는 여성에게 막혀있는 사업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그럼에도 중국의 전통은 이 남쪽 나라에도 자리를 잡았다. 한국처럼 베트남도 중국의 정치적 문화적 영향을 받아들여 중국을 중심으로 한 보다 큰 동아시아 사회의 발전을 반영하였다.


p. 231
요약 중국에서 다시 확립된 중앙집권적 제국 통치는 동아시아 전체와 동반구 대부분에 심대한 영향을 미쳤다. 수와 당의 왕조가 중국 전역에 권위를 확립하자 그들은 동아시아 전체의 정치적 문제를 지도하는 강력한 국가를 세웠다. 당의 군대는 한국, 베트남, 중앙아시아에 대한 중국의 영향력을 확장했다. 당의 군대는 일본을 침공하지는 않았지만, 중국의 우수한 정치 조직에 매료된 일본의 지배자들은 당의 전범을 모방했다. 또한 수와 당 왕조는 급속한 경제 발전을 위한 강력한 정치적 기반을 마련했다. 후기 고전시대 중국 사회는 번영을 누렸는데, 부분적으로는 기술적 산업적 혁신에 힘입은 것이었다. 당 송의 번영은 동아시아 전역의 상업을 크게 증진하여 중국의 이웃 나라 모두에게 영향을 주었다. 중국의 비단, 도자기, 칠기는 동남아시아에서 동아프리카에 이르는 지역의 무역상들이 모두 탐내는 상품이었다. 종이, 인쇄술, 화약, 나침반 등 중국의 발명품은 실크로드와 해로를 타고 전파되어 동반구의 모든 사회에서 자리를 잡게 되었다. 후기 고전시대는 상업과 기술의 시대일 뿐 아니라 종교의 시대였다. 네스토리아 기독교, 조로아스터교, 마니교, 회교가 모두 당 왕조의 중국에서 공동체로 자리 잡았으며, 불교는 동아시아 전체에서 가장 널리 보급된 신앙이 되었다. 후기 고전시대 중국의 사회 조직과 경제적 역동성은 일찍이 볼 수 없었던 규모로 동반구의 모든 사람들의 교류를 촉진했다.


3. 간략 분석

중등학생 대상의 세계사 교과서로서 1,2권으로 나누어져 있으며 제1권은 1500년까지를 다루고 있다. 크게 4부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대 주제는 1부. 초기복합사회, 2부. 고대사회의 형성, 3부. 후기 고대, 4부. 상호문화교류로 이루어져 있다. 한국관련 내용은 ‘3부. 후기 고대’의 ‘12장. 동아시아에서 재등장한 제국’의 중국이 동아시아에 미친 영향 부분에서 주로 나타난다. 신라왕조 7세기, 당의 군대는 토착 신라 왕조가 궐기하기 전까지 한국의 큰 부분을 정복했고, 당과 신라 당국은 장기적이고 값비싼 대결을 피하길 원했기 때문에 정치적인 타협을 하여 한국은 중국과 조공관계에 들어갔다고 표현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한국관련 내용은 중국의 지배를 받아 정치‧문화적으로 받은 국가 중 하나로 묘사되고 있고 그 밖의 한국관련 별도의 내용은 나타나지 않는다.

4. 검토 의견

페이지 한국 관련 기술 내용 검토 의견 개선 과제 코드
- 개선 과제 코드 -
개선 과제 유형
A: 동해·독도 표기 수정 필요 B: 단순표기 C: 내용 수정 필요 D: 내용 증·신설 필요 E: 기타
A1: 동해 표기 A2: 독도 표기 C1: 통계 C2: 과거 사실 C3: 객관적 기술 D1: 증설 필요 D2: 신설 필요

연계 정보

관계 대상 문서 설명
isRelatedTo 교육제도:미국 미국 교육과정, 2016년 조사 보고
isReviewOf 교과서 서지사항 분석대상 교과서 서지사항
isPartOf 종합분석:미국 2016년 미국 보고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