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과서:영국:GCSE History AQA B: Modern World History: The Revision Guide(CGP-2009)

Cefia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1. 목차

  • Section 1 – 제1차 세계대전의 원인
  • 유럽의 열강 1900 1
  • 긴장 고조 1900-1914 2
  • 발칸 반도의 사태 3
  • 전쟁의 발발 4
  • 복습 5
  • Section 2 - 화해와 국제연맹
  • 평화협정 6
  • 베르사유 조약 7
  • 조약에 대한 반응 8
  • 국제연맹 9
  • 국제연맹의 문제 10
  • 대공황의 영향 11
  • 만주위기 12
  • 이탈리아의 아비시니아 침공 13
  • 국제연맹의 실패 14
  • 복습 15
  • Section 3 – 제2차 세계대전의 원인
  • 히틀러의 외교 정책 16
  • 라인 지방과 오스트리아 17
  • 체코와 뮌헨 1938 18
  • 폴란드와 전쟁의 발발 19
  • 복습 20
  • Section 4 – 냉전의 원인
  • 제2차 세계대전 21
  • 전후 시대의 계획 22
  • 긴장 고조 23
  • 미국의 영향과 베를린 봉쇄 24
  • 한국전쟁 25
  • 복습 26
  • Section 5 – 냉전 위기 1955-1970
  • 헝가리 동란과 베를린 장벽 27
  • 쿠바 미사일 위기 28
  • 군비 경쟁과 프라하의 봄 29
  • 복습 30
  • Section 6 – 냉전의 종결
  • 데탕트와 아프가니스탄 전쟁 31
  • 새로운 냉전 32
  • 구 소련군 철수 33
  • 구소련의 종말 34
  • 복습 35
  • 2부: 심화 학습
  • Section 7 – 러시아 1914-1924
  • 차르(황제) 하의 러시아 36
  • 러시아 혁명 초읽기 37
  • 볼셰비키 당 38
  • 임시 정부 39
  • 볼셰비키 당의 집권 40
  • 1918 – 독일 전쟁의 종결 41
  • 내전 1918-1921 42
  • 신 경제정책 44
  • 복습 45
  • Section 8 – 바이마르 독일
  • 바이마르 공화국 46
  • 불안의 시기 47
  • 슈트레제만과 독일 재건 48
  • 나치당의 기원 49
  • 복습 50
  • Section 9 – 미국 1919-1929
  • 제1차 세계대전에 대한 미국의 반응 51
  • 고립주의의 확대 52
  • 1920년대의 번영 53
  • 1920년대의 빈곤 54
  • 1920년대의 불관용 55
  • 금주법과 조직범죄 56
  • 사회개발 57
  • 월가의 붕괴 58
  • 복습 59
  • Section 10 – 구소련 1924-1941
  • 권력 투쟁 60
  • 테러와 숙청 61
  • 독재자 스탈린 62
  • 경제 개발 5개년 계획 63
  • 집산화 64
  • 집산화의 결과 65
  • 복습 66
  • Section 11 – 히틀러의 독일
  • 나치당의 부상 67
  • 히틀러의 집권 69
  • 나치당의 통제방식 70
  • 나치당 집권 하의 국가 성장 71
  • 청소년과 여성 72
  • 박해 73
  • 복습 74
  • Section 12 – 미국 1929-1941
  • 월가 붕괴의 영향 75
  • 루즈벨트 대통령의 당선 76
  • 뉴딜 정책 77
  • TVA와 2번째 뉴딜 정책 78
  • 뉴딜 정책에 대한 반대 79
  • 뉴딜 정책은 얼마나 성공적이었나? 80
  • 복습 81
  • Section 13 – 미국 내 인종관계 1955-1968
  • 전후 시민권 82
  • 비폭력 시위와 교육 83
  • 버스 보이콧과 인종 차별 철폐 여행 84
  • 1960년대 시민권 투쟁 85
  • 비폭력주의와의 단절 86
  • 복습 87
  • 시험에 대하여
  • 역사 공부방법 88
  • 자료 다루기 89
  • 시험 에세이 기술 90
  • 색인 91

2. 한국관련 내용

p. 25 한국 전쟁

1949년 마오쩌둥이 중국에 공산당을 창립하면서 미국은 아시아에 대한 공산주의의 위협을 우려하게 되었다. 1950년 한국 전쟁 발발 공산주의 북한은 통일이라는 명목으로 한국과의 전쟁을 시작했다. 이는 서방국가에 대한 공산주의의 직접적 도전으로 받아들여졌다. 미국과 서방국가들은 유엔을 대표해 공산주의의 확대를 막기 위해 한국전에 개입했다.

유엔의 목표는 공산주의 북한의 공격에 대한 저항 1) 유엔은 북한을 즉각 공격하라는 명령을 내렸고, 유엔군은 인천에 상륙하여 1950년 9월에 북한군을 38선까지 몰아냈다. 2) 트루먼 대통령은 유엔군사령부인 맥아더 장군에게 북한을 침략하는 것을 승인했다. 유엔군의 대부분은 미국인이었다. 3) 서방국의 침략을 두려워한 중국에게 트루먼 대통령의 명령은 위협이 되었다. 4) 1950년 10월 중국은 북한과 함께 유엔군을 몰아낸 공격에 동참했고 1951년 1월 서울(한국의 수도)을 점령했다. 유엔의 반격으로 서울을 탈환했고 북한군을 다시 원래의 경계선까지 몰아내는데 성공했다. 5) 맥아더 장군은 중국을 공격하길 원했지만 트루먼 대통령이 반대했다. 트루먼과의 논쟁 끝에 맥아더 장군은 해고되었다. 6) 트루먼 대통령은 평화를 원하여 1953년에 정전을 선언했다.

1953년 스탈린 사망 1) 스탈린의 사망은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다. 그는 1920년대 이래로 구소련의 지도자였다. 2) 스탈린에 대해 비판적이었던 새 지도자 흐루시초프 하에 구소련 정책이 바뀌는 것처럼 보였다. 3) 흐루시초프는 자본주의와 공산주의 국가들 간의 평화적인 공존을 옹호했다. 4) 그는 미국에게 우호적인 신호를 보냈다. 예를 들어, 1955년 제네바정상회담에서 미국의 아이젠하워 대통령과 회담을 가졌다. 또한, 일부 수감자들을 석방하고 구소련 내 검열을 완화했다. 5) 1955년 구소련은 오스트리아국가조약을 체결했다. 이로 인해 연합군이 점령하고 있던 오스트리아의 일부 지역에서 프랑스, 영국, 미국, 구소련 군을 모두 철수하게 되었다. 그 결과 오스트리아는 독립적이며 중립적인 국가가 되었다(NATO나 바르샤바협정에 동참하지 않았다). 6) 스탈린보다 덜 가혹했던 흐루시초프의 정책이 시행되던 이 시기를 냉전의 ‘해빙기’라 부른다.

상당히 치열했던 아시아의 냉전 한국 전쟁은 자칫 세계전쟁으로 번질 수도 있었던 위험한 순간이었다. 유엔의 공격과 중국의 반격에 대한 이유를 정확히 인지하라.


연계 정보

관계 대상 문서 설명
 ? 교육제도:영국 영국 교육과정, 2014년 조사 보고
isPartOf 교과서목록:영국 영국 사회과 교과서 목록
 ? 종합분석:영국 2014년 영국 보고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