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과서:카메룬:An Illustrated History

Cefia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1. 목차

  • A 섹션 : 1884년 이후 카메룬
    • 1 장 : 독일 병합 직전의 카메룬
    • 2 장 : 침투, 확장, 합병(1885 ~ 1916)
    • 3 장 : 카메룬과 일차세계대전, 대전의 여파
    • 4 장 : 위임통치하의 영국령 카메룬(1922 ~ 1945)
    • 5 장 : 위임통치하의 프랑스령 카메룬(1922 ~ 1935)
    • 6 장 : 카메룬과 이차세계대전
    • 7 장 : 국제연합 신탁통치 하의 카메룬
    • 8 장 : 국제연합 신탁통치 하의 영국령 카메룬(1945 ~ 1954)
    • 9 장 : 영국령 카메룬(1054 ~ 1961)
    • 10 장 : 영국령 카메룬의 재통합 개념 : 국민투표 133
    • 11 장 : 국제연합 신탁통치 하의 프랑스령 카메룬(1939 ~ 1957)
    • 12 장 : 아마두 아히조 지도하의 프랑스령 카메룬(1958 ~ 60)
    • 13 장 : 카메룬 인민연맹(U.P.C)
    • 14 장 : 카메룬연방공화국(1961 ~ 1972)
    • 15 장 : 카메룬 서부주
    • 16 장 : 카메룬의 일당체제 수립
    • 17 장 : 일원체제 하의 카메룬(1972 ~ 1982)
    • 18 장 : 폴 비야 하의 카메룬(1982 ~ 현재)
    • 19 장 : 카메룬의 경제위기
    • 20 장 : 카메룬의 다당제 재도입
    • 21 장 : 카메룬 내 영어사용자 문제
    • 22 장 : 카메룬의 대외정책(1982 ~ 현재)
  • B 섹션 : 1884년 이후 아프리카(카메룬 제외)
    • 23 장 : 19세기 중엽까지 유럽의 아프리카 쟁탈전 및 아프리카 식민지화
    • 24 장 : 베를린 서아프리카 회의(1884년 12월 ~ 1885년 1월)
    • 25 장 : 유럽의 침투와 식민지화에 대한 아프리카의 대응
    • 26 장 : 유럽 식민지와 유럽 식민지 정책
    • 27 장 : 일차세계대전과 이의 아프리카에 대한 영향
    • 28 장 : 아프리카 민족주의의 발생 초기와 범아프리카주의의 탄생
    • 29 장 : 이차세계대전과 이의 아프리카에 대한 영향
    • 30 장 : 영국령 서아프리카의 탈식민지화 과정(1945 ~ 1960)
    • 31 장 : 프랑스령 서아프리카의 탈식민지화 과정
    • 32 장 : 알제리 혁명(1945 ~ 1962)
    • 33 장 : 동아프리카 민족주의(1945 ~ 63), 케냐의 독립투쟁(마우마우 봉기)
    • 34 장 : 벨기에령 콩고의 민족족주의 성장/콩고 위기
    • 35 장 : 포르투갈령 아프리카의 탈식민지화 과정(모잠비크, 앙골라) 1960 ~ 75
    • 36 장 : 남부 아프리카의 해방전쟁
    • 37 장 : 인종범죄/ 남부 아프리카의 소수 인종 정부
    • 38 장 : 독립 이후 아프리카 - 정치정 불안정
    • 39 장 : 아프리카 외교, 지역 기구들
  • C 섹션 : 1848년 이후 세계
    • 40 장 : 1848 ~ 49년 유럽의 혁명
    • 41 장 : 1848 ~ 1870년 유럽의 국가건설 노력(이탈리아 사례연구)
    • 42 장 : 1848 ~ 1870년 유럽의 국가건설 노력(독일 사례연구)
    • 43 장 : 일차세계대전(1914 ~ 1918)
    • 44 장 : 파리강화회의(1919 ~ 1920)
    • 45 장 : 1920년대와 1930년대 유럽의 전체주의 발흥
    • 46 장 : 이차세계대전(1939 ~ 1945)
    • 47 장 : 1945 ~ 1980년 사이의 유럽
    • 48 장 : 냉전(1940 ~ 61)
    • 49 장 : 미국(1900 ~ 1980)
    • 50 장 : 중동(1900 ~ 1980)
    • 51 장 : 아시아(1900 ~ 1980)
    • 52 장 : 국제외교와 국제기구
    • 53 장 : 국제적으로 중요한 현 이슈

2. 한국 관련 내용

p. 455 : 한국전쟁(1950 ~ 53)
1950년에 공산국인 북한이 자본주의국인 남한을 침략했다. 이 전쟁도 냉전 충돌이 되었다. 미국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에 이 충돌을 보고했다. 1950년 유엔은 북한의 침략을 규탄하고 유엔 총회는 평화를 위한 통합결의를 통과시켰다. 16개국이 평화유지군 창설 요구에 응하였다. 1950년 9월에 유엔이 개입하여 미군에 참여하였으며 38도선을 넘어 북한군을 밀어붙였다. 트루먼 대통령은 남북한을 통일하여 단일 민주국가를 수립하기 위해 북한으로 침입을 명령했다. 유엔군이 압록강에 다다르자 중국군 수십 만 명이 개입했다. 1951년 4월에 맥아더 장군은 중국에 원자폭탄 사용을 제안했다. 이는 소련을 전쟁으로 끌어들일 수 있다는 우려로 이 제안은 거부되었다. 맥아더는 매슈 리지웨이 장군으로 교체되었다. 1953년 6월 북한민은 38도 경계선을 넘도록 강요받았다. 1953년 7월 소련은 평화회담을 받아들이도록 북한을 설득했다. 반면에, 미국은 남한이 협상하도록 설득했다. 평화회담은 북한의 수도인 판문점에서 개최되었다. 한반도는 분단된 채로 남았다.

p. 475 : B- 한국전쟁(1950 ~ 53)
1950년 공산국 북한이 자본주의국 남한을 침략했다. 미국은 이 충돌에서 다음과 같은 역할을 수행했다.

  • 1) 북한 침입 이후 유엔에 이 문제를 제기한 나라는 미국이다.
  • 2) 미국의 영향 하에 유엔 총회는 평화를 위한 통합결의를 통과시켜 유엔이 평화유지기구로서의 이미지를 유지하기 위해 군사적 개입을 허용했다.
  • 3) 미국은 분쟁에 참여할 병사를 제공하도록 16개국을 설득했다. 일부에게 재정지원을 약속했다. 미국은 대규모 병사를 제공했다.
  • 4) 미국은 유엔군이 사용할 대량의 군사장비를 제공했다.
  • 5) 유엔군의 지휘관은 미군장교였다.(맥아더 장군)
  • 6) 미국 군사관료가 전쟁 전략을 작성했다.
  • 7) 중국군이 유엔군에 맞서 싸우게 되어 맥아더 장군이 중국에 핵폭탄을 사용하지고 제안했을 때 미국은 맥아더 장군을 해임했다. 맥아더는 리지웨이 장군으로 교체되었다.
  • 8) 미국의 개입은 약소국과 국가 독립을 보호하는 기구로서 유엔의 신뢰성을 주었다.
  • 9) 미국의 영향을 통해, 유엔과 소력, 남한과 북한은 판문점 평화협정에 서명하여 1953년 전쟁은 종결되었다.

p. 522 : 안전보장이사회
이 결의안은 한국전쟁 같은 유엔의 신뢰성을 위협하는 어떤 위기에도 유엔 총회가 개입할 수 있도록 허용한다.

p. 523 : 사무총장
2005년 이후부터 반기문(한국)

p.526 : 유엔의 성공사례
B- 1950년대 3) 1951년부터 1953년 사이에 유엔은 직접 군사개입을 통해 공산국 북한이 자본주의국 남한을 점령하지 못하게 했다.

p.528 : 평화유지 임무
I- 한국전쟁(1950 ~ 1953) 1950년 6월 25일 공산국 북한은 자본주의국 남한을 공격했다. 유엔은 다음과 같이 대응했다.

  • 유엔은 북한의 침략을 규탄하고 38도선을 넘어 철수할 것을 요구했다.
  • 미국 맥아더 장군이 지휘하는 16개국으로 이루어진 유엔군이 결성되었다.(20,000)
  • 1950년 유엔 총회는 거부권을 행사할 수도 있었을 소련이 없을 때 평화를 위한 통합결의를 통과시켰다. 이 결의안은 모든 유엔 회원국에게 특히 세계평화가 위협받을 경우 거부권에 상관없이 침략에 대항하는 행동을 취할 것을 요구했다.
  • 1950년 9월에 유엔군은 북한군에 대항하여 전쟁에 돌입했고, 북한군을 패퇴시켜 38도선을 넘어 물러나게 했다.
  • 미군이 이끄는 유엔군이 압록강 근처에 다다르자 북한에 참가한 중국군 수십 만 명과 유엔군은 싸웠다. 중국은 미국이 공산주의 중국을 파괴할 기회로 활용하려고 한다고 두려워했다.
  • 유엔은 전쟁을 종결시킨 1953년 판문점 평화협정을 감독했다. 남한은 북한의 점령에서 보호되었다.


3. 간략 분석

이 교과서는 영어권 과정의 역사교과서로(사용학년 파악불가) 카메룬과 아프리카의 근현대사를 다루고 있다. 한국에 관해서는 한국전쟁에 관해 언급하고 있다.


4. 검토 의견

페이지 한국 관련 기술 내용 검토 의견 개선 과제 코드
p. 455 1950년 9월에 유엔이 개입하여 미군에 참여하였으며 38도선을 넘어 북한군을 밀어붙였다. 1950년 전쟁이 발발하자 6월 27일 유엔은 필요한 원조를 한국에 제공하겠다는 권고문을 채택하였다. 유엔의 개입시기는 1950년 6월로 보는 것이 바람직하다. C3
p. 455 평화회담은 북한의 수도인 판문점에서 개최되었다. 판문점이 북한의 수도로 설명된 것은 수정되어야 하며, 당시의 회담은 평화회담보다는 '휴전회담'으로 보아야 한다. C3
p. 493~ 51장. 아시아(1900-1980)
a. 중국
b. 일본
1900년에서 1980년 사이의 아시아를 다룬 장에서 "한국"도 하나의 소절로 신설될 수 있는 가능성을 타진할 필요가 있음 D2


- 개선 과제 코드 -
개선 과제 유형
A: 동해·독도 표기 수정 필요 B: 단순표기 C: 내용 수정 필요 D: 내용 증·신설 필요 E: 기타
A1: 동해 표기 A2: 독도 표기 C1: 통계 C2: 과거 사실 C3: 객관적 기술 D1: 증설 필요 D2: 신설 필요

연계 정보

관계 대상 문서 설명
isRelatedTo 교육제도:카메룬 카메룬 교육과정, 2014년 조사 보고
isReviewOf 교과서목록:카메룬 카메룬 사회과 교과서 목록
isPartOf 종합분석:카메룬 2014년 카메룬 보고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