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과서:카자흐스탄:Всемирная история 11, 1945-2014гг. (세계사 11 1945-2014년)

Cefia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1. 목차

  • 제1장. 20세기 후반 - 21세기 초 유럽과 아메리카 국가
    • 1-2. 마셜플랜과 유럽 전후 복구에 있어서 플랜의 역할 3
    • 3-5. 영국 9
    • 6-8. 프랑스 24
    • 9-11. 독일 36
    • 12-13. 이탈리아 53
    • 14. 스페인 66
    • 15-18. 소련과 구소련 국가 75
    • 19-24. 중부와 동남부 유럽 국가 91
    • 25-27. 미합중국 106
    • 28. 캐나다 121
    • 29-30. 중남미 국가 128
  • 제2장. 20세기 후반 - 21세기 초 아시아와 아프리카 국가
    • 31. 식민제도의 몰락 140
    • 32-33. 일본 147
    • 34-35. 터키 152
    • 36-37. 중앙아시아 구소련 국가 160
    • 38. 아프가니스탄 169
    • 39. 이란 173
    • 40-41. 중국 179
    • 42. 몽골 189
    • 43. 코리아 194
    • 44. 인도차이나 국가 198
    • 45.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206
    • 46-47. 인도 215
    • 48. 파키스탄 228
    • 49-50. 이스라엘 239
    • 51-52. 아시아의 아랍 국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주요 발전 경향 244
    • 53-54. 아프리카의 아랍 국가 253
    • 55. 열대와 남아프리카 국가 271
  • 제3장. 20세기 후반 - 21세기 초 국제관계
    • 56. 전후 시기에 국제관계 279
    • 57. 20세기 60년대 - 80년대 국제관계 291
    • 58. 20세기후반 국제 긴장의 완화 와 고조 298
    • 59. 20세기 말 국제관계 304
    • 60. 유럽의 통합 307
    • 61. 20세기 말 21세기 초 국제관계 315
  • 제4장. 20세기 후반 과학과 문화
    • 62-63. 20세기 후반 - 21세기 초 과학과 문화의 발전 321
  • 맺는 말 337
  • 연표 341
  • 용어 사전 348
  • 추천도서

2. 한국 관련 내용

  • p.140

식민주의로 인해 아시아는 가장 큰 피해를 입었다. 인도, 세일론, 버마, 인도네시아, 중국, 북한, 베트남, 라오스, 캄보디아, 파키스탄, 시리아와 이라크는 독립 발전의 길로 들어섰다.

  • p.144

신흥산업국은 홍콩, 싱가포르, 대만, 남한, 인도네시아, 태국, 터키다. 이 국가는 정책에서 민간자본 유치, 민간 부문의 확대로 국가 부문의 축소를 지향하고 있다. 산업의 활발한 발전, 수출 지향적인 과학 집중 산업의 발달이 특징적이다.

  • p.145

소규모와 중규모 “호랑이”(싱가포르, 홍콩, 대만, 남한, 태국, 터키, 말레이시아)와 대규모 “용”(중국, 인도, 인도네시아, 나이지리아, 파키스탄)이 있다.

  • p.148

한국전쟁을 위해 필요한 미국 수주는 일본의 산업 능력의 빠른 회복을 가능하게 하였다.

  • p.149

일본은 장악했던 지역인 대만, 한국(코리아), 태평양의 섬의 포기가 조건이었던 포츠담 합의에 동의하였다.

  • p.187

일부 아시아 국가 SCO 구성원으로 활동의 의지를 표명하였다(인도, 파키스탄, 남한).

  • p.192

어려운 경제 상황을 고려하여 일본, 미국, 독일, 중국, 대한민국 그리고 IBRD, IMF, 아시아개발은행과 같은 국제기구는 무상 금융지원을 하고 있다.

  • p.194-198

몽골은 일본, 대한민국, 싱가포르와의 관계를 안정적으로 발전시키고 있다.

한국(코리아) 1945년 8월에 소련군은 일본 식민 지배자들을 강타시키고 한국민족을 해방시켰다. 전후 한반도는 38선으로 나뉘어졌고 38선은 일시적 국경이었다. 소련과 미국은 지정한 지역에서 일본군을 무장해제하고 한국(코리아)의 민주주의 발전을 보장했어야 했다. 1945년 모스크바에 있었던 소련, 미국, 영국 외무장관회의에서 한국문제에 대한 미래에 한국이 단일민주국가가 될 것이라는 동일한 의견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이 회의의 내용은 실행되지 않았다. 1948년 8월 15일 미군 통제 하에 있었던 남한에서 대한민국 설립이 선언되었다. 같은 해 북쪽에서 김일성(1948-1994)을 대표로 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설립되었다. 남한 정치 경제 발전의 특징. 미국의 지원 하에 형성된 국가에서 40년 동안 독제체제가 유지되었고 XX세기 80년대에 들어서야 민간정부가 형성되었다. 북한과 전쟁후 1953년 남한은 미국과 공동안보에 관한 협정을 체결했다. 정치적인 불안정에도 불구하고 남한의 경제성장은 매우 빨랐다. 초기에 미국의 자본을 기본으로 하고 60년대 말부터 일본 자본을 기초로 삼아서 남한은 선진국이 되었다. 미국전문가들의 도움을 받아 획기적인 농업개혁이 이루어졌다. 남한에는 1100명 이상의 미국 기업인들이 있었다. 또한 350명의 여러 미국 기업 대표들이 기술전문가로 활동하고 있었다. 농산물 잉여 공급을 제외한 미국의 총 경제 지원규모는 13억1백만 달러였다. 1960년 대 초에 미국과 남한은 미국 독점 기업들의 이익을 보장하는 특별 협정을 체결했다. 남한의 미국기업들이 모든 세금을 면제 받았다. 외국의 재정지원을 기반으로 하여 한국은 수출 지향적 경제발전 방법을 택했다. 외국자본 유치를 위해 한국정부는 투자에 대한 특혜를 제공했다. 차관 덕분에 새로운 기계를 구입할 수 있었다. 중공업 분야가 발전하기 시작했고 제품생산이 증가했다. 60-70년대 농민들은 곡식 의무 징수에서 벗어났고 농민들을 위해 은행 대출 이자율이 정해졌다. 대부분의 농민은 자본을 기반으로 설립된 협동조합에 가입했다. 80년대 말부터 남한은 국내 저축을 이용하기 시작했다. 산업의 집중화로 인해 대규모 다분야 기업 즉 재벌이 생겼다. 이와 같은 재벌은 약 50개고 그 중 혼다 (한국기업으로 잘 못 표시), 삼성, LG, 대우와 같은 기업들은 세계100대 다국적기업 리스트에 들어간다. 한국(코리아)은 역동적으로 발전하고 있는 산업 국가이고 소위 신흥공업국 중 선두적인 지위를 차지하고 있다. 북한의 발전 방향. 1947년부터 소련의 적극적인 지원 하에 북한에는 근본적인 민주주의 변화가 있었다. 지주들에게 몰수한 땅을 농민들에게 분배했다. 산업과 교통은 국민의 소유가 되었다. 사회주의 국가들이 북한에 제공한 총 원조액은 30억 루블을 넘어섰다. 1957년부터 북한은 국가경제 발전계획에 따라 움직였다. 1972년에 새로운 헌법이 채택되었고 대통령제가 도입되었다. 김일성은 첫 대통령이 되었다. 1975년 3월에 최고인민회의는 국민에게 부담이 되는 모든 세금을 철폐하였다. 가공품, 직물, 신발에 대한 가격은 인하되었다. 60-80년대 김일성이 지휘하는 북한정부는 주체사상을 유지하였고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 대외정치의 독립성; - 경제활동에서 자신의 능력만을 믿는 것; - 자국 군대만으로 이루어진 국방. 수십 년 동안 김씨의 가족이 북한 정권을 장악했다. 김일성은 47년 동안 정권을 유지하고 있었다. 김일성은 1994년 82세의 나이에 세상을 떠났다. 그의 아들인 김정일이 아버지 정권 당시부터 정치활동을 시작하였다. 김정일은 노동당 당원, 중앙위원회 서기, 군사위원회 위원이 되었다. 김일성의 후계자인 장남인 김정일은 1942년 2월 16일 태어났다. 1950-1953년 한국전쟁 당시 가족은 중국으로 이송되었고 그 곳에서 김정일은 초등학교를 졸업하였다. 그 후 평양 근교 군사학교에 입학하였다. 1960년대 초 김정일은 김일성 평양국립대학교의 학생이었다. 대학교 졸업 후 노동당 중앙위원회에서 근무하였다. 1970년대 국가 최고 당 지도부에 속하였다. 1991년부터 국군 최고 사령관, 1992년 4월 20일 육군 원수로 임명되었다. 김정일은 북한의 영웅이다. 2000년 5월 김정일은 최초의 해외 방문을 중국으로 하였다. 2001-2002년 철갑 객차로 러시아를 방문하고 러시아연방 지도부와 만남을 가졌다. 21세기 초 남한과의 관계가 활성화되었다. 2013년 김정일의 아들인 김정은이 새로운 지도자가 되었다. 경제정책은 중앙기획을 기반으로 한다. 도덕적 정치적 자극은 중요한 비중을 차지한다. 국민 식량과 소비재의 정기적 공급 체제가 유지된다. 농업에 종사하는 노동력은 약 40%다. 농업에서도 장기 침체가 이어지고 있다. 1984년에서 1996년까지 곡식 생산량은 천만톤에서 2백50만톤으로 줄어들었다. 북한 정부는 국제사회 원조를 요청하게 되었다. 북한의 주요 공여국은 미국, 중국, EU국가와 대한민국이다.

질문과 과제 1. 몇년도에 D*pRK가 설립되었습니까? 2. D*pRK가 언제 대통령 공화국이 되었습니까? 3. 1950-1953년 한국전쟁의 원인에 대해 말해보세요. 4. D*pRK의 최초 대통령이 누구였습니까? 5. 현재 D*pRK 지도자의 이름이 무엇입니까?

  • p.290-291

한국전쟁 1950-1953. 두 지역의 가장 잔인하고 오랜 대립은 한반도 전쟁이었다. 포츠담 합의에 따하 한반도는 38선을 기준으로 일시적으로 2개 지역으로 나뉘었다. 미국은 남쪽을, 소련은 북쪽을 차지하였다. 두 강국은 통일을 허락하지 않아 1948년 두 개의 국가 설립이 선언되었다. 이승만을 수장으로 서울을 수도로 하는 대한민국과 김일성을 수장으로 평양을 수도로 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설립되었다. 소련은 중국에서 민중혁명이 성공한 극동 지역에 긍정적 상황을 이용하여 한국(코리아) 전체를 장악하려고 하였다. 이와 같은 목적으로 D*pRK는 급하게 무장하였고 1937년에 강제이주를 당한 많은 중앙아시아와 카자흐스탄의 고려인 전문가가 도착하였다. 모스크바와의 합의하에 1950년 6월 25일 D*pRK는 남한에 맞선 전쟁을 전개하였다. 같은 날 UN 안보리 회의에서 D*pRK의 공격을 반대하고 중단을 요구하는 결의안이 채택되었다. 그 후 더 강한 조치는 남한을 지원하기 위한 UN군 소집이었다. 이는 1950년 2월부터 8월까지 소련이 중국 대표가 장제스 대표단 대신 참여하는 것을 반대하여 UN에 출석하지 않아 가능한 일이었다. 미국과 동맹국은 군을 소집하는 동안 북한은 부산을 제외한 거의 모든 남쪽의 지역을 차지하였다. 1950년 9월 15일 UN군은 인천에서 상륙하였다. UN군은 북한군을 단절시키기 위해 빠르게 동진하였다. 도시와 통신을 공격하기 위해 수백대의 전투기가 사용되었다. 북한군은 빠르게 후퇴하였다. 10월 UN군은 평양을 차지하고 중국 국경까지 다다랐다. 소련은 이와 같은 상황을 예상하지 못하였다. 스탈린은 중국의 참전을 원하였다. 소련의 입장을 고려하여 마오는 북한에 지원군을 파견하였다. 11월 말 수십만명의 중국 지원군이 참전하고 미군을 군사 분계선까지 내몰았다. 1951년 1월 전선이 어느 정도 안정화되었다. 일부 지역에서 위반, 공격의 시도가 있었지만 양쪽 다 선을 넘지 못하고 있었다.

4. 한국전쟁의 원인과 전개상황에 대해 말해보세요.

  • p.342
  • 연표
    • 1950 - 1953 한국전쟁
    • 1954 - 한국(코리아)과 인도차이나 문제의 평화적 해결을 위한 소련, 중국, 미국, 프랑스, 영국과 다른 국가 제네바 외교장관회의.
  • p.344
    • 2006년 2월 - 북한: 미사일 실험.
    • 2006년 10월 - 북한의 핵시설 실험.

3. 간략 분석

11학년이 사용하는 세계사 교과서로서 한국관련 내용은 독립적인 단원으로 등장한다. KOREA를 별도의 단원으로 서술하고 있으며, 남한과 북한의 정치, 역사, 경제적인 측면에서 서술하고 있다. 다만 한국경제 발전의 원동력을 미국과 일본의 원조와 자본으로 기술하고 있는 부분은 시정이 요구된다. 또한 한국의 경제 발전과 정치 변화의 서술이 외국의 원조에 의해 이루어졌다는 부분이 자주 등장하고 있어 시정이 요구된다.


4. 검토 의견

페이지 한국 관련 기술 내용 검토 의견 개선 과제 코드
p. 194 <대한민국> 초기에 미국의 자본을 기본으로 하고 60년대 말부터 일본 자본을 기초로 삼아서 남한은 선진국이 되었다. “한국의 경제 발전의 요인은 정부주도의 수출산업의 안정적 확대와 한국 국민이 가진 근면성에서 찾을 수 있다.” C3
지도부록 <지도 : 아시아의 사회주의국가들> - 판믄전으로 표기함 ‘판문점’으로 수정해야 함 B
- 개선 과제 코드 -
개선 과제 유형
A: 동해·독도 표기 수정 필요 B: 단순표기 C: 내용 수정 필요 D: 내용 증·신설 필요 E: 기타
A1: 동해 표기 A2: 독도 표기 C1: 통계 C2: 과거 사실 C3: 객관적 기술 D1: 증설 필요 D2: 신설 필요



연계 정보

관계 대상 문서 설명
isRelatedTo 교육제도:카자흐스탄 카자흐스탄 교육과정, 2016년 조사 보고
isReviewOf 교과서 서지사항 분석대상 교과서 서지사항
isPartOf 종합분석:카자흐스탄 2016년 카자흐스탄 보고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