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분석:우크라이나

Cefia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1. 분석 대상 교과서 목록

교과서명 교과목명 출판년도 출판사 사용학년 수집연도 분석연도 번역문
& 검토의견
1 Всесвітня історія :Довідник + тести 역사 2013 Kamyanets-Podilsky :Abetka - 2014 2015 보기
2 Географія материків і океанів 7 지리 2011 Kiev :Osvita 7 2014 2015 보기
3 Географія 10 지리 2010 Kiev :Heneza 10 2014 2015 보기
4 Світова економіка 경제 2010 Kiev :Center of Educational Literature 경제학전공 대학생 2014 2015 보기
5 Історія світової культури 역사 2010 Kiev :Center of Educational Literature 대학생, 교사 2014 2015 보기

2. 한국 관련 내용 분석

본 글에서 살펴볼 2014년에 수집된 우크라이나 교과서들은 총 5권의 교과서이고, 2권의 지리, 1권의 역사 1권의 경제, 그리고 나머지 한권은 문화사과 관련되어 있다. 교과서의 목록에서도 보듯이, 실제 초중고를 대상으로 하는 교과서는 2번[1]과 3번[2] 교과서이고 나머지 1번[3], 4번[4]은 대학생과 교사를 대상으로 하는 교과서들이다. 5번[5]은 문화사를 다루는 교과서이다. 전 학년을 대상으로 하는 1번 교과서와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4번 교과서의 경우, 우크라이나에서의 한국관련 내용의 검토를 통해 우크라이나의 교과서 집필 방향을 가늠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비록 본 사업실에서 대상으로 하는 분석의 범위를 벗어나고 있다 하더라도 우크라이나 학생들에게 한국에 대한 정보가 어떠한 방법으로 전달되는지 짐작하게 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2010년부터 2013년에 출판된 교과서들로서 비교적 최근의 자료이고, 최근의 우크라이나의 상황을 상기할 때, 당분간 이 교과서들이 그대로 사용될 것으로 짐작해도 무방할 것으로 보인다. 본 글에서는 5번 문화사의 내용이 담긴 교과서를 제외하고 4권의 교과서를 중심으로 한국관련 내용을 살펴보고자 한다.

가. 역사

본 글에서 살펴볼 우크라이나의 역사교과서 중 1번 교과서의 경우, 전 학년을 대상으로 하고 있고, 전 세계의 역사를 총 망라한 교사 학습서의 성격이 매우 강한 교재로 간주할 수 있다. 목차에서 보듯이, 고대부터 현대까지의 시간적인 범위와 공간적인 범위까지 매우 넓게 퍼져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안타깝게도 한국관련 내용은 그 방대한 양에 비해 매우 협소하고, 미비하다. 다시 말하면, 고대부터 현대까지의 세계사적 흐름 속에서 한국은 전혀 그 빛을 발하지 못한다고 할 수 있다.
이 교과서에서 한국관련 내용은 중세의 중국과 일본의 역사에서 언급되는 정도이고, 근대에 들어서도 일제의 제국주의 팽창에 따른 여러 가지 사건에서 한국이 일부 언급되는 정도이다. 뿐만 아니라, 한국전쟁에 관련한 기술에서도 한국의 입장이 아닌 이데올로기의 충돌로 인한 전쟁 상황의 발생에 대한 논의에서만 한국이 언급될 뿐, 한국에 대한 독립적인 서술이나 한국의 입장에서의 서술은 전혀 찾아볼 수 없다.
다시 말해, 이 교과서에서의 한국에 대한 서술을 통해 볼 때, 한국은 전 세계사적 흐름에서 나타나는 제국주의의 식민지 팽창정책과 이데올로기의 충돌에서 발생할 수 있는 한국인의 의도와는 상관없는 전쟁의 소용돌이에 빠진 아시아의 작은 국가로만 인식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 p. 618

냉전시기 동안 초강대국 사이의 대립은 연쇄적으로 지역갈등을 유발시켰다. 그 중 가장 위험한 충돌은 한반도에서 있었다

앞서 언급했듯이, 우크라이나 교과서에서 한국은 이데올로기의 충돌에 따른 지역갈등적 양상을 띠는 것으로 묘사되어 있다. 하필이면, 그 충돌이 바로 한반도에서 일어난 것이다. 여느 교과서에서 볼 수 있었던 한국인들에 대한 한국전쟁으로 인한 고통, 또는 역사적 슬픔에 대해서 이 교과서에서는 다소 냉소적이다. 단지 한국전쟁이 냉전으로 인한 지역갈등의 하나의 양상으로 나타났다는 것이 전부이다.
이번에 수집된 교과서 들 중 유일하게 한국전쟁에 대해 언급하는 1번 교과서의 경우, 한국전쟁에 대한 평가 또한 미국과 소련에서 그 원인을 찾고 있다. 한국전쟁의 원인은 바로 미국과 소련의 충돌이 따른 것이라고 서술된다는 점이 특징적이다.

  • p. 617

미국은 1950년 한반도에서 전쟁이 발생한 이후 처음으로 군사력을 사용하였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 한반도의 북쪽은 소련이, 남쪽은 미국이 차지하고 있었다. ……<중략>……한국전쟁에는 미국과 소련이 관여했으며(굵은 글씨는 필자의 것), 한반도에서 벌어진 이 전쟁은 냉전시기에 발생한 가장 잔인한 전쟁이었다.

미국과 소련은 한국전쟁을 원하지 않았는데 김일성이 한반도를 공산화하기 위해 전쟁을 시작했다는 식의 서술이 다른 교과서에서 주로 나오고 있다. 이에 비해, 우크라이나 교과서에서는 미국과 소련의 충돌에 의해 한국전쟁이 발생했다고 적고 있다. 한국전쟁을 냉전의 직접적인 결과물로 간주하고 있는 것이다.

나. 경제

2번, 3번, 4번 교과서에 한국에 대한 일반 지리적 소개와 더불어 한국 경제 발전에 대한 서술이 발견된다. 그러나 한국의 독립적 단원에서의 서술이라기 보다는 목차에서 보듯이, 주제별 서술에서 한국이 언급되는 정도이다. 동아시아 경제에 한국이 포함되어 서술되고 있고, 독립적으로 서술되는 국가는 없다. 따라서 한국에 대한 서술의 증보가 요구되는 부분이기는 하지만, 독립적인 단원이나 절에서 한국 경제에 관련한 서술을 신설하는 것은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또한 주목할 것은 경제 지리를 서술하는 교과서, 즉 2번, 3번, 4번 교과서에서 공통적으로 한국에 대한 서술은 신흥 개발도상국의 수준에 머물러 있으며, 70-80년대의 급속한 경제발전을 이룩한 동아시아의 국가 정도로 서술되고 있다. 이는 한국 경제 발전의 원동력과 성과에 대한 지속적인 자료제공을 통해 보다 올바르고 긍정적으로 서술될 수 있도록 요구해야 하는 부분이라 판단된다.

다. 지리

우크라이나 교과서에서의 한국관련 자연적 지리의 내용은 독립적으로 나타나지 않는다. 일본에 대한 설명이나, 중국에 대한 설명, 그리고 동아시아에 대한 설명에 포함되어 인구, 도시화 등이 표시되어 있고, 극동아시아로 분류하고 있으며, APEC회원국임을 나타내는 정도로 서술되고 있다.

라. 문화

한국의 문화에 대한 서술은 발견되지 않는다.

마. 기타

해당사항이 없다.

3. 한국 관련 기술 개선 과제

개선 과제 코드 설명 발견건수 해당 교과서 미션 코드
A1 동해 표기 1 Географія материків і океанів 7 (지리 : 대륙과 해양 7) T01A02
T01A03
T04A01
T03A04
T02A05
C1 통계 1 Географія 10(지리 10학년) T01A02
T01A03
T04A01
T03A04
T02A05
C2 과거 사실 1 Всесвітня історія :Довідник (세계사 : 전체학년사용, 복습서) T01A02
T01A03
T04A01
T03A04
T02A05
C3 객관적사실개선 1 Світова економіка (세계경제) T01A02
T01A03
T04A01
T03A04
T02A05
D1 증설필요 1 Географія материків і океанів 7 (지리 : 대륙과 해양 7) T01A02
T01A03
T04A01
T03A04
T02A05
D2 신설필요 3 Всесвітня історія :Довідник (세계사 : 전체학년사용, 복습서)
Географія 10(지리 10학년)
Світова економіка (세계경제)
T01A02
T01A03
T04A01
T03A04
T02A05

연계 정보

관계 대상 문서 설명
isRelatedTo 교육제도:우크라이나 우크라이나 교육과정, 2015년 조사 보고
isReviewOf 교과서목록:우크라이나 우크라이나 사회과 교과서 목록
Draws 미션:우크라이나 한국바로알리기 미션
  1. Географія материків і океанів 7 (지리 : 대륙과 해양 7)
  2. Географія 10(지리 10학년)
  3. Всесвітня історія :Довідник (세계사 : 전체학년사용, 복습서)
  4. Світова економіка (세계경제)
  5. Історія світової культури (세계문화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