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분석:키르기스스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Cefia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분석대상 교과서 목록==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background:white;" |- !style="background-color:#F8E0EC;" | !! style="background-color:#F8E0EC;" | '''...)
 
(3. 한국 관련 기술 개선 과제)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17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분석대상 교과서 목록==
+
==1. 분석 대상 교과서 목록==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background:white;"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background:white;"
 
|-
 
|-
!style="background-color:#F8E0EC;" |  !! style="background-color:#F8E0EC;" | '''교과서명''' !! style="background-color:#F8E0EC;" | '''저자''' !! style="background-color:#F8E0EC;" |'''사용학년''' !! style="background-color:#F8E0EC;" |'''출판사''' !! style="background-color:#F8E0EC;" |'''출판년도''' !! style="background-color:#F8E0EC;" |'''등록번호'''
+
!style="background-color:#F8E0EC;" |  !! style="background-color:#F8E0EC;" | '''교과서명''' !! style="background-color:#F8E0EC;" | '''교과목명''' !! style="background-color:#F8E0EC;" |'''출판년도''' !! style="background-color:#F8E0EC;" |'''출판사''' !! style="background-color:#F8E0EC;" |'''사용학년''' !! style="background-color:#F8E0EC;" |'''수집연도''' !! style="background-color:#F8E0EC;" |'''분석연도''' !! style="background-color:#F8E0EC;" |'''번역문 <br>& 검토의견'''
 +
 
 +
|-
 +
| 1 ||  [http://lib.aks.ac.kr/DLiWeb20/components/searchir/detail/detail.aspx?cid=514194 История Древного мира 5 (고대세계사 5)] || 역사 || 2006 || Просвещение || 5학년 || || 2014 || [[교과서:키르기스스탄:История Древного мира 5 (고대세계사 5) | 보기]]
 +
|-
 +
| 2 || [http://lib.aks.ac.kr/DLiWeb20/components/searchir/detail/detail.aspx?cid=514195 История Средних веков 6 (중세사 6)] || 역사 || 2012 || Просвещение || 6학년 || || 2014 || [[교과서:키르기스스탄:История Средних веков 6 (중세사 6) | 보기]]
 +
|-
 +
| 3 || [http://lib.aks.ac.kr/DLiWeb20/components/searchir/detail/detail.aspx?cid=514206 Начальный курс географии 6 (기초 지리 6)] || 지리 || 2006 || ДРОФА || 6학년 || || 2014 || [[교과서:키르기스스탄:Начальный курс географии 6 (기초 지리 6) |보기]]
 +
|-
 +
| 4 || [http://lib.aks.ac.kr/DLiWeb20/components/searchir/detail/detail.aspx?cid=514207 География материков и океанов 7 (지리 : 대륙과 해양 7)] || 지리 || 2013 || ДРОФА || 7학년 || || 2014 || [[교과서:키르기스스탄:География материков и океанов 7 (지리 : 대륙과 해양 7) | 보기]]
 +
|-
 +
| 5 || [http://lib.aks.ac.kr/DLiWeb20/components/searchir/detail/detail.aspx?cid=456471 География, Кыргызской республики 8-9 (키르기스 공화국 지리 8-9)] || 지리 || 2002 || Мектеп || 8-9학년 || || 2014 || [[교과서:키르기스스탄:География, Кыргызской республики 8-9 (키르기스 공화국 지리 8-9) | 보기]]
 +
|-
 +
| 6 || [http://lib.aks.ac.kr/DLiWeb20/components/searchir/detail/detail.aspx?cid=514197 Новейшая история зарубежных стран 9 класса (해외의 최신역사 9)] || 역사 || 2006 || Центр гуманитарного образования || 9학년 || || 2014 || [[교과서:키르기스스탄:Новейшая история зарубежных стран 9 класса (해외의 최신역사 9) | 보기]]
 +
|-
 +
| 7 || [http://lib.aks.ac.kr/DLiWeb20/components/searchir/detail/detail.aspx?cid=514383 География 10 (지리 10)] || 지리 || 2012 || Просвещение || 10학년 || || 2014 || [[교과서:키르기스스탄:География 10 (지리 10) | 보기]]
 +
|-
 +
| 8 || [http://lib.aks.ac.kr/DLiWeb20/components/searchir/detail/detail.aspx?cid=514203 История Кыргызстана ХХ-ХХІ вв. 9 класса (20-21세기 키르기스스탄 역사 9)] || 역사 || 2006 || Китеп компани || 9학년 || || 2014 || [[교과서:키르기스스탄:История Кыргызстана ХХ-ХХІ вв. 9 класса (20-21세기 키르기스스탄 역사 9) | 보기]]
 +
|-
 +
| 9 || [http://lib.aks.ac.kr/DLiWeb20/components/searchir/detail/detail.aspx?cid=514204 История : С дровнейших времён до конца XIX века (역사 : 고대부터 19세기 말까지)] || 역사 || 2012 || Инсанат || 10학년 || || 2014 || [[교과서:키르기스스탄: История : С дровнейших времён до конца XIX века (역사 : 고대부터 19세기 말까지) | 보기]]
 +
|-
 +
| 10 || [http://lib.aks.ac.kr/DLiWeb20/components/searchir/detail/detail.aspx?cid=514205  История  Кыргызстана 11 : основные вехи (키르기스스탄 역사 중요시기 11)] || 역사 || 2012 || Инсанат || 11학년 || || 2014 || [[교과서:키르기스스탄:История  Кыргызстана 11 : основные вехи (키르기스스탄 역사 중요시기 11) | 보기]] 
 
|-
 
|-
| 1 ||  Всемирная история (세계사)
+
| 11 || [http://lib.aks.ac.kr/DLiWeb20/components/searchir/detail/detail.aspx?cid=446399 Всеобщая история. Новейшая история 11 (최신역사 11)] || 역사 || 2010 || Просвещение|| 11학년 || || 2014 || [[교과서:키르기스스탄:Всеобщая история. Новейшая история 11 (최신역사 11) | 보기]]
|| Р. Р. Каирбекова, С. В. Тимченко
+
|| 11학년
+
|| Мектеп
+
|| 2014
+
||[http://lib.aks.ac.kr/DLiWeb20/components/searchir/detail/detail.aspx?cid=511771 92005855]
+
 
|-
 
|-
| 2 ||  География : Современного мира (지리 : 현대세계)
+
| 12 || [http://lib.aks.ac.kr/DLiWeb20/components/searchir/detail/detail.aspx?cid=514922 Литература часть 1 (문학 1권)] || 기타 || 2012 || Просвещение || 10학년 || || 2014 || [[교과서:키르기스스탄:Литература часть 1 (문학 1권) | 보기]] 
|| Т. О. Увалиев, Е. А. Ахметов, К. М. Ахметов
+
|| 11학년
+
|| Мектеп
+
|| 2011
+
|| [http://lib.aks.ac.kr/DLiWeb20/components/searchir/detail/detail.aspx?cid=511789 92005857]
+
 
|-
 
|-
| 3 ||  География : Региональный обзор мира
+
| 13 || [http://lib.aks.ac.kr/DLiWeb20/components/searchir/detail/detail.aspx?cid=514947 Литература часть 2 (문학 2권)] || 기타 || 2012 || Просвещение || 10학년 || || 2014 || [[교과서:키르기스스탄:Литература часть 2 (문학 2권) | 보기]] 
(지리 : 세계지역개관)
+
|| А. С. Бейсенова, К. Д. Каймулдинова,
+
С. А. Абилмажинова, Ж. А. Достай
+
|| 11학년
+
|| Мектеп
+
|| 2011
+
||[http://lib.aks.ac.kr/DLiWeb20/components/searchir/detail/detail.aspx?cid=511772 92005856]
+
 
|}
 
|}
==한국관련 내용 분석==
 
  
위 교과서 목록에서 다루어지고 있는 한국관련 내용은 여느 CIS 국가들에 비해 많은 편에 속한다. 그러나 내용면에서 보면, 한국의 고대, 중세사는 거의 전무하며, 주로 일제강점기가 한국전쟁, 그리고 그 이후의 정치적 발전 과정들에 매우 집중되어 있다는 것이 특징적이다. 역사교과서들의 경우도 한국에 대한 근대사에 대한 서술은 많지 않고, 지리 교과서의 경우는 더욱 그러하다.
+
==2. 한국 관련 내용 분석==
 +
키르기스스탄의 인문사회계통 쉬콜라 교과서에 나타나는 한국관련 정보는 상당히 제한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것은 키르기스스탄 역사 및 지리학 교과서를 제외한 대부분의 교과서는 구소련 시기의 교과서와 그 맥을 그대로 잇고 있는 것과도 관계가 있다. 따라서 일반적인 인문사회계통 교과서의 동아시아 지역에 대한 내용은 구소련의 ‘동아시아학’의 수준을 반영하고 있는 편이다. 이로 인해 현재 각 쉬콜라에서 사용하고 있는 교과서 내의 ‘동아시아학’ 내용 중, ‘중국학’과 ‘일본학’에 비해 상당한 열세에 놓여 있던 ‘한국학’의 현실이 인문사회계통 여러 종류의 교과서를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렇지만 비교적 최근에 기술된 교과서에는 한국의 정치, 사회경제적 위상 및 그 관련 내용이 비교적 잘 소개되고 있어, 그나마 다행이라는 생각이 든다.<br>살펴본 쉬콜라 교과서 내의 전체적인 한국관련 역사, 정치, 경제, 사회 및 문화상에 대한
 +
서술 내용은 대략 다음의 같이 파악이 된다.<br>첫째, 한국 고대사나 중세사에 대한 내용은 거의 전무한 편이다.<br>둘째, 한국의 근대화 과정에 대한 내용도 아주 소략한 편이다.<br>셋째, 한국의 경제발전상, 민주화 등에 대한 내용은 다소 소개되어 있지만 충분치는 않다.<br>넷째, 한국의 전통문화 및 현대 문화에 대한 소개는 거의 없다.<br>다섯째, ’한국전쟁’에 대한 기술 및 이해도는 높은 편이지만, 이것은 상대적으로 이 문제에 집중하여 한국을 너무 각인 시켜가는 경향이 있다.<br>여섯째, 남북 분단상황에 대한 기술은 부족하다. 그리고 통일에 대한 전망이나 관련 내용은 전혀 없다.<br>일곱째, 북한의 실상에 대한 기술 및 이해도는 아주 낮은 편이다.<br>여덟째, 키르기스스탄의 역사, 지리학 내용 중에 이 지역에 거주 하고 있는 ‘고려인’에 대한 기술은 별로 없는데, 이 부분은 앞으로 많은 관심을 가지고 노력해야 할 부분이다.<br>한편, 교과서 내용 중에 일부 오류도 발견되었다. 그렇지만 전체적으로 교과서 내용 중 한국 관련 내용이 소략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오류도 적은 편이다. 그 오류는 다음과 같다.<br>첫째, ’동해’를 ‘일본해’로 표기한 사례가 있다.<br>둘째, 일제식민시기를 1905~1945년으로 표기한 경우가 있다.
 +
앞에서 언급한 한국관련 쉬콜라 교과서의 일반적 서술경향 및 오류의 해결은 단기간에 이루어 질 수 있는 일이 아니다. 러시아 및 중앙아시아의 한국학이 정착되고 체계화 되지 않는다면 쉽지 않은 일이다. 이 같은 문제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을 필요로 한다. 특히 현지 한국학 전문가를 육성하는 일은 매우 시급한 과제이다. 그리고 이와 더불어 현지의 한국관련 정보 및 도서를 확충하고, 세미나 및 언론매체 등을 통한 지속적인 국가 이미지 제고 방안을 마련해 나가야 한다. 또한 키르기스스탄 교과서 집필자들을 위한 국내 세미나 개최 및 한국 초청 교육도 좋은 방안이 될 것이다.
  
===역사===
+
==3. 한국 관련 기술 개선 과제==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 background:white;"
 +
|-
 +
!style="background-color:#EFF5FB;" | '''개선 과제 코드''' !! style="background-color:#EFF5FB;" | '''설명''' !! style="background-color:#EFF5FB;" | '''발견건수''' !! style="background-color:#EFF5FB;" | '''해당 교과서''' !! style="background-color:#EFF5FB;" |'''미션 코드'''
 +
|-
 +
| A1 || 동해 표기|| 2 || [[교과서:키르기스스탄:История Древного мира 5 (고대세계사 5)|История Древного мира 5 (고대세계사 5)]]<br>[[교과서:키르기스스탄:География 10 (지리 10)|География 10 (지리 10)]]<br>|| T02A05
 +
|-
 +
| B || 단순 표기 || 1 || [[교과서:키르기스스탄:Новейшая история зарубежных стран 9 класса (해외의 최신역사 9)|Новейшая история зарубежных стран 9 класса (해외의 최신역사 9)]]<br> || T02A05
 +
|-
 +
| C1 || 통계 || 1 || [[교과서:키르기스스탄:Новейшая история зарубежных стран 9 класса (해외의 최신역사 9)|Новейшая история зарубежных стран 9 класса (해외의 최신역사 9)]]<br> || T02A05
 +
|-
 +
| C2 || 과거 사실 || 1 || [[교과서:키르기스스탄:География, Кыргызской республики 8-9 (키르기스 공화국 지리 8-9)|География, Кыргызской республики 8-9 (키르기스 공화국 지리 8-9)]]<br> || T04A01
 +
|-
 +
| C3 || 객관적 기술 || 1 || [[교과서:키르기스스탄:Всеобщая история. Новейшая история 11 (최신역사 11)|Всеобщая история. Новейшая история 11 (최신역사 11)]]<br> || T04A01
 +
|-
 +
| D1 || 증설 필요|| 1 || [[교과서:키르기스스탄:География, Кыргызской республики 8-9 (키르기스 공화국 지리 8-9)|География, Кыргызской республики 8-9 (키르기스 공화국 지리 8-9)]]<br> || T04A01
 +
|-
 +
| D2 || 신설 필요|| 3 || [[교과서:키르기스스탄:История Древного мира 5 (고대세계사 5)|История Древного мира 5 (고대세계사 5)]]<br>[[교과서:키르기스스탄:История Средних веков 6 (중세사 6)|История Средних веков 6 (중세사 6)]]<br>[[교과서:키르기스스탄:География материков и океанов 7 (지리 : 대륙과 해양 7)|География материков и океанов 7 (지리 : 대륙과 해양 7)]]<br> || T04A01
 +
|-
 +
|}
  
====한국의 분단과정====
 
1945년 이후의 세계사는 위의 교과서 목록의 4번 교과서인 7학년 <현대세계사 1841-2008>에서 다루어지고 있다.<ref>2013년에 수집하여 분석한 교과서임. К. Кожахметулы, А. Чупеков, М. Губайдуллина, 『Новейшая История Мира(1941-2008 гг)』, Мектеп, 2009. 카자흐스탄 교과서에서 한국관련 내용은 주로 한국전쟁부터 시작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분단의 시작과 그것으로 인한 한국전쟁의 발발, 전개 과정 등이 서술되어 있다. 그러나, 오히려 한구전쟁에 대한 논의보다는 전쟁이후의 경제발전 및 정치적 변화에 대한 서술이 분량면에서 훨씬 구체적이고 많은 것이 특징이라 할 수 있다.</ref> 미소공동위원회의 한국문제에 관한 교섭의 과정에 대해 비교적 상세하게 설명하고 1948년 공식적인 남북한 정부의 수립 이전에 이미 미국과 소련의 비호 아래 각각 국가 창설을 위한 준비가 진행되었음을 밝히고 있다. 또한 김일성이 소련군 대위였다는 사실 등의 과거 구소련 당시에 언급을 회피해 왔던 점에 대해 보다 명확하게 서술하고 있다. 또한 여느 교과서와는 달리 북한과 한국의 당시 상황을 객관적이고, 상세하게 비교 서술하여 각 국가의 역사적 상황을 서술하고 있다. 
 
그 내용을 살펴보면, 분단 한국의 운명은 비극적인 것으로 서술하고 있으며, 미국도 소련도 이 나라를 통일시키려는 바램을 내비치지 않았다고 쓰고 있다.
 
  
* p. 176-178
 
''1945년 8월에 동맹국들은 일본 정복자들을 강타하고 한국민족을 해방시켰다. 전후 한국(코레아)은 38선을 기준으로 두 국가로 나뉘었다.1945년에 모스크바 외교장관회의에서 한국문제를 논의하면서 소련, 미국과 영국은 한국(코레아)이 앞으로 단일민주주의국가가 될 것에 대해 합의했다. 소련과 미국 대표자들로 위원회가 구성되었고 이 위원회는 중앙정부 부처 조직을 위한 상세한 조치 마련이라는 과제를 부여 받았다. 1946-1947년 위원회는 업무에 돌입하였지만 미국과 소련 간에 이견이 많아 이 과제를 실행하지 못했다.1948년 8월 15일 미군이 차지한 남쪽에서 대한민국 수립이 선언되었다. 오랜 기간 동안 미국에서 생활했던 이승만은 행정부의 장이 되었다. 같은 해 북쪽에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형성되었다.''
 
 
위 서술에서 보듯이, 한반도 38선 분할, 분단 고착화 경위를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특이한 점은 한국전쟁의 발발이나 전개과정이 매우 짧게 서술되고 있다는 것이다. 다시말해, 이 글에서 분석하는 카자흐스탄 교과서들의 경우 대부분이 한국전쟁에 대해서는 매우 짧게 서술되고 있고, 오히려 한국전쟁 이후의 상황에 대해 비교적 자세히 서술하고 있다는 것이 특징적이고, 한반도에 대한 서술에서 북한 역시 남한과 비슷한 분량으로 서술되고 있다는 것도 특징적이다.
 
 
====한국전쟁====
 
카자흐스탄 교과서의 역사인식 전환을 보다 극적으로 보여주는 대목은 한국전쟁에 대한 서술이다. 90년대 이후 러시아측 문서들이 공개되면서 새로이 밝혀진 사실들을 과감하게 수용한 결과로 과거의 ‘북침설’은 페기되었고, 북한의 선제공격에 의해 한국전쟁이 발생했고 소련도 일부 부대가 참전했음을 명확히 밝히고 있다.
 
 
* p. 82
 
''1950-1953년 한국전쟁. 한반도에서 두개의 국가가 설립되었다. 양국이 자신의 정부가 유일한 합법 정부라고 선언하고 한반도 전체 지역 확보를 원했다. 이 모든 것은 양국 간의 갈등의 원인을 만들었다. 양국은 무력 충돌을 준비하고 있었다.1950년 6월 25일 북한은 무력 행동을 시작하여 남한의 수도인 서울을 점령하고 남진하고 있었다. 그 결과로 북한이 남한을 공격했다는 혐의를 제기하는 UN 안보리 결의안을 통해 미국이 분쟁에 개입할 수 있게 되었다. 그 다음으로 안보리는 남한에 UN 회원국들의 군사적 지원에 대한 결의안을 채택했다. 결의안을 기반으로 한국전쟁 참전사령부가 구성되었다. 한국 분쟁이 국제적 성격을 띠게 되었다.전투 상황이 바뀌고 있었다. 처음에는 북한군이 성공을 거두고 있었지만 1950년 9월에 미국은 대규모 해병대를 상륙시켜 북한의 거의 전 지역을 점령하고 한중국경까지 북진했으며 상황을 반전시켰다. 그 결과로 전쟁에 중국이 개입했다. 또한 소련도 북한을 지원했다. 소련 항공모함들과 곡사포는 미국 공군의 지배를 제거했다.1950년 말 미국과 남한 군은 38선 밑으로 후퇴했다. 그 다음 군사 충돌은 아무에게도 승리를 가져오지 못했다. 1953년 7월 27일 한반도의 휴전에 대한 협정이 체결됐다. 정치적인 목표를 달성하는 데 있어 남북한 모두가 성과를 얻지 못했다.''<ref>2013년에 수집하여 분석한 교과서임, Т. С. Садыков, Р. Р. Каирбекова, С. В. Тимченко, 『Всемирная История(세계사)』, Мектеп, 2007. 이 교과서는 한국전쟁에 대해 비교적 자세하게 서술하고 있는 유일한 교과서이다.</ref>
 
 
앞서 말한 바와 같이, 카자흐스탄 교과서의 한국전쟁 관련 서술은 매우 사실적이고, 연대기적으로 서술되고 있다. 특히 ‘한국전쟁’ 항목에서는 한국전쟁의 발발 원인, 전쟁의 전개과정, 결과에 대해보다 상세하게 서술하고 있다. 저자는 한국전쟁이 ‘양대 진영’의 충돌이며 한국전쟁은 국제적 전쟁으로 확대되었으며, 그 결과는 남북한 모두에게 아무런 성과를 주지 못함을 강조함으로써 한국전쟁의 원인을 사상적 측면보다는 지역적 갈등으로부터 시작된 것이라고 서술하고 있다.
 
그러나 예년의 카자흐스탄 교과서에서는 암묵적으로 유엔에서 남한을 원조하여 유엔군을 조직하는 결정이 채택된 것에 대해 ‘가혹한 결정’이라고 언급하여 유엔군의 북진이 전쟁확대의 주요한 원인이었으며, 또한 유엔군이 ‘인력과 장비의 90%가 미군’이라고 하여 사실상 미군이었음을 암시하는 서술이 자주 보였다.
 
 
====남북한의 정치 경제 체제 서술====
 
 
카자흐스탄 교과서의 특징 중에 하나가 남북한의 정체제제에 대해 매우 자세히 서술하고 있다는 것이 특징적이다. 북한의 김일성 독재체제의 시작과 한계를 연대기적으로 사실에 입각하여 서술하고 있으며, 남한에 대한 서술은 주로 경제발전의 원동력으로서의 정치체제의 변화에 대한 언급하고 있다.
 
남한이 해방 이후 미국의 지원 아래 이승만, 박정희, 전두환, 노태우로 계승되는 독재체제를 유지해온 것으로 평가하고 있으며, 이에 반해 김영삼 정부를 계기로 기본적으로 절차적 민주주의가 확대되고 있는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특히 김영삼 정부 당시 전두환, 노태우 두 전직대통령에 대한 사법처리의 의미를 강조하고 한국의 정치체제가 질적인 변화 단계에 들어서고 있으며 ‘부르주아 헌법체제’가 성립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하였다.
 
80년대에는 학생들의 동요가 강화되었으며, 청년단체들은 전두환 군사독재에 공공연하게 반대하였다고 서술하고 있다. 이같은 민중의 진출은 정치체제의 약화와 부르주아적 헌법체제 성립을 촉진시켰다고 표현하고 있다.
 
남한의 사회계층, 특히 학생 청년들은 군사독재체제에 반대하였으며 민주주의 사회의 확립에 기여하였다.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남한의 정치는 군사독재체제에 기초하고 있다. 여기에는 내부적인 원인들이 있다. 남한에는 공산주의 사상의 확산 가능성이 매우 적었다. 이 지역에서는 사실상 소련이 참여하지 못하여 국제 공산주의 및 사회주의 운동으로부터 고립되었다. 다년간의 일본의 점령 및 뒤이은 미국의 점령이 군사독재 체제 형성을 촉진시켰으며 점령 체제가 군부의 입지를 강화하였다고 서술하고 있다. 이러한 서술은 남한이 여전히 군사독재체제에 기초하고 있다는 점, 그러한 이유는 남한이 소련과 국제 공산주의 운동으로부터 고립되었기 때문이라는 점, 미일의 점령이 군사독체체제 형성을 촉진시키고 군부의 입지를 강화했다는 점을 강조함으로써 한국의 정치 졍제 발전에 대한 어두운 측면에 집중하고 있어 아쉬운 부분이다.
 
 
===경제===
 
 
카자흐스탄 지리 교과서의 한국은 아시아 지역의 신흥공업국가로 서술하고 있다. 즉, “아시아의 산업구조에서 특별한 위치를 가지고 있는 나라들은 이른바 ‘아시아의 호랑이들’인데 바로 대한민국, 싱가포르, 타이완, 홍콩이다”라고 기술하고 있다. “신흥공업국가들”의 “아시아의 신흥공업국가들”에는 한국에 관한 보다 상세한 정보가 수록되어 있다.
 
 
* p.100
 
''동아시아와 중앙아시아 국가들은 경제의 복잡한 구조가 특징이다. 지역의 지리적 위치는 대외경제관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일본, 중국, 대한민국 및 태평양 아시아 지역에 위치한 동남아시아 다른 국가는 많은 가능성과 발전의 잠재력을 지닌 세계 중심이 되어가고 있다.''
 
 
''신흥공업국: 국제 경제 및 제정 기구들은 대한민국, 대만, 싱가포르, 말레이시아와 공식적으로 중국 영토에 포함되었지만 개별 국가 시스템을 유지하고 있는 홍콩을 이 그룹에 분류한다.''<ref> 3번 교과서, А. С. Бейсенова, К. Д. Каймулдинова, С. А. Абилмажинова, Ж. А. Достай, 『География : Региональный обзор мира (지리 : 세계지역개관)』,Мектеп, 2011</ref>
 
 
카지흐스탄 지리 교과서에서의 한국관련 내용 중에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것이 한국경제 대한 서술이다. 한국의 자연조건 및 일반지리에 대한 상세한 설명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한국경제의 발전상에 대해서도 많은 부분을 할애하여 설명하고 있다. 특히 카자흐스탄의 경우 한국의 공장들이 많이 들어와 있다는 것을 상기할 때, 한국 기업에 대한 자세한 설명도 이루어지고 있다는 것이 특징적이다. 금융위기 시절의 위기를 이겨내고 그 위기의 원인에 대한 분석도 함께 이루어지고 있어 한국경제에 대한 지대한 관심을 엿볼 수 있는 지점이라 할 수 있다.
 
또한 한국의 경제 발전의 원동력에 대해 매우 다양한 차원에서 접근하고 있는 것도 주목할 점이다. 즉, 지리적 위치, 인구밀도, 노동력 등을 함께 고려하고 있으며, 카자흐스탄과의 직접적인 관계와 상호 협력 방안 등에 대한 질문을 하고 있는 것 또한 매우 고무적 현상이라 할 수 있다. 
 
 
-----
 
-----
 +
 
==연계 정보 ==
 
==연계 정보 ==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76번째 줄: 67번째 줄:
 
! 설명
 
! 설명
 
|-
 
|-
| ?
+
| style="text-align:center;" | isRelatedTo
|[[교육제도:카자흐스탄]]
+
|[[교육제도:키르기스스탄]]
|카자흐스탄 교육과정, 2014년 조사 보고  
+
|키르기스스탄 교육과정, 2014년 조사 보고  
 
|-
 
|-
| ?
+
| style="text-align:center;" | isReviewOf
|[[교과서목록:카자흐스탄]]
+
|[[교과서목록:키르기스스탄]]
|카자흐스탄 사회과 교과서 목록  
+
|키르기스스탄 사회과 교과서 목록  
 +
|-
 +
| style="text-align:center;" | Draws
 +
|[[미션:키르기스스탄]]
 +
|한국바로알리기 미션
 
|-
 
|-
 
|}
 
|}
 +
 
[[분류:국가]]
 
[[분류:국가]]
[[분류:카자흐스탄]]
+
[[분류:키르기스스탄]]
 
[[분류:2014년]]
 
[[분류:2014년]]

2015년 7월 27일 (월) 14:25 기준 최신판

1. 분석 대상 교과서 목록

교과서명 교과목명 출판년도 출판사 사용학년 수집연도 분석연도 번역문
& 검토의견
1 История Древного мира 5 (고대세계사 5) 역사 2006 Просвещение 5학년 2014 보기
2 История Средних веков 6 (중세사 6) 역사 2012 Просвещение 6학년 2014 보기
3 Начальный курс географии 6 (기초 지리 6) 지리 2006 ДРОФА 6학년 2014 보기
4 География материков и океанов 7 (지리 : 대륙과 해양 7) 지리 2013 ДРОФА 7학년 2014 보기
5 География, Кыргызской республики 8-9 (키르기스 공화국 지리 8-9) 지리 2002 Мектеп 8-9학년 2014 보기
6 Новейшая история зарубежных стран 9 класса (해외의 최신역사 9) 역사 2006 Центр гуманитарного образования 9학년 2014 보기
7 География 10 (지리 10) 지리 2012 Просвещение 10학년 2014 보기
8 История Кыргызстана ХХ-ХХІ вв. 9 класса (20-21세기 키르기스스탄 역사 9) 역사 2006 Китеп компани 9학년 2014 보기
9 История : С дровнейших времён до конца XIX века (역사 : 고대부터 19세기 말까지) 역사 2012 Инсанат 10학년 2014 보기
10 История Кыргызстана 11 : основные вехи (키르기스스탄 역사 중요시기 11) 역사 2012 Инсанат 11학년 2014 보기
11 Всеобщая история. Новейшая история 11 (최신역사 11) 역사 2010 Просвещение 11학년 2014 보기
12 Литература часть 1 (문학 1권) 기타 2012 Просвещение 10학년 2014 보기
13 Литература часть 2 (문학 2권) 기타 2012 Просвещение 10학년 2014 보기

2. 한국 관련 내용 분석

키르기스스탄의 인문사회계통 쉬콜라 교과서에 나타나는 한국관련 정보는 상당히 제한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것은 키르기스스탄 역사 및 지리학 교과서를 제외한 대부분의 교과서는 구소련 시기의 교과서와 그 맥을 그대로 잇고 있는 것과도 관계가 있다. 따라서 일반적인 인문사회계통 교과서의 동아시아 지역에 대한 내용은 구소련의 ‘동아시아학’의 수준을 반영하고 있는 편이다. 이로 인해 현재 각 쉬콜라에서 사용하고 있는 교과서 내의 ‘동아시아학’ 내용 중, ‘중국학’과 ‘일본학’에 비해 상당한 열세에 놓여 있던 ‘한국학’의 현실이 인문사회계통 여러 종류의 교과서를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렇지만 비교적 최근에 기술된 교과서에는 한국의 정치, 사회경제적 위상 및 그 관련 내용이 비교적 잘 소개되고 있어, 그나마 다행이라는 생각이 든다.
살펴본 쉬콜라 교과서 내의 전체적인 한국관련 역사, 정치, 경제, 사회 및 문화상에 대한 서술 내용은 대략 다음의 같이 파악이 된다.
첫째, 한국 고대사나 중세사에 대한 내용은 거의 전무한 편이다.
둘째, 한국의 근대화 과정에 대한 내용도 아주 소략한 편이다.
셋째, 한국의 경제발전상, 민주화 등에 대한 내용은 다소 소개되어 있지만 충분치는 않다.
넷째, 한국의 전통문화 및 현대 문화에 대한 소개는 거의 없다.
다섯째, ’한국전쟁’에 대한 기술 및 이해도는 높은 편이지만, 이것은 상대적으로 이 문제에 집중하여 한국을 너무 각인 시켜가는 경향이 있다.
여섯째, 남북 분단상황에 대한 기술은 부족하다. 그리고 통일에 대한 전망이나 관련 내용은 전혀 없다.
일곱째, 북한의 실상에 대한 기술 및 이해도는 아주 낮은 편이다.
여덟째, 키르기스스탄의 역사, 지리학 내용 중에 이 지역에 거주 하고 있는 ‘고려인’에 대한 기술은 별로 없는데, 이 부분은 앞으로 많은 관심을 가지고 노력해야 할 부분이다.
한편, 교과서 내용 중에 일부 오류도 발견되었다. 그렇지만 전체적으로 교과서 내용 중 한국 관련 내용이 소략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오류도 적은 편이다. 그 오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동해’를 ‘일본해’로 표기한 사례가 있다.
둘째, 일제식민시기를 1905~1945년으로 표기한 경우가 있다. 앞에서 언급한 한국관련 쉬콜라 교과서의 일반적 서술경향 및 오류의 해결은 단기간에 이루어 질 수 있는 일이 아니다. 러시아 및 중앙아시아의 한국학이 정착되고 체계화 되지 않는다면 쉽지 않은 일이다. 이 같은 문제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을 필요로 한다. 특히 현지 한국학 전문가를 육성하는 일은 매우 시급한 과제이다. 그리고 이와 더불어 현지의 한국관련 정보 및 도서를 확충하고, 세미나 및 언론매체 등을 통한 지속적인 국가 이미지 제고 방안을 마련해 나가야 한다. 또한 키르기스스탄 교과서 집필자들을 위한 국내 세미나 개최 및 한국 초청 교육도 좋은 방안이 될 것이다.

3. 한국 관련 기술 개선 과제

개선 과제 코드 설명 발견건수 해당 교과서 미션 코드
A1 동해 표기 2 История Древного мира 5 (고대세계사 5)
География 10 (지리 10)
T02A05
B 단순 표기 1 Новейшая история зарубежных стран 9 класса (해외의 최신역사 9)
T02A05
C1 통계 1 Новейшая история зарубежных стран 9 класса (해외의 최신역사 9)
T02A05
C2 과거 사실 1 География, Кыргызской республики 8-9 (키르기스 공화국 지리 8-9)
T04A01
C3 객관적 기술 1 Всеобщая история. Новейшая история 11 (최신역사 11)
T04A01
D1 증설 필요 1 География, Кыргызской республики 8-9 (키르기스 공화국 지리 8-9)
T04A01
D2 신설 필요 3 История Древного мира 5 (고대세계사 5)
История Средних веков 6 (중세사 6)
География материков и океанов 7 (지리 : 대륙과 해양 7)
T04A01



연계 정보

관계 대상 문서 설명
isRelatedTo 교육제도:키르기스스탄 키르기스스탄 교육과정, 2014년 조사 보고
isReviewOf 교과서목록:키르기스스탄 키르기스스탄 사회과 교과서 목록
Draws 미션:키르기스스탄 한국바로알리기 미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