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과 여성운동

Cefia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1과 여성운동

학습목표
- 여성운동의 배경은 무엇인가?
- 여성들은 지원을 확보하고 효과적인 변화를 일으키기 위해 어떻게 조직되었는가?
- 페미니즘의 영향은 무엇인가?
- 여성운동을 반대한 집단들은 무엇이며 그 이유는 무엇인가?

요점
여성운동은 성에 의한 차별을 끝내기 위해 헌신되었는데 민권운동과 다른 운동들의 대의에서 영감을 받았다.

핵심용어
- 페미니즘
- 전미여성연맹
- 로우 대 웨이드 판결
- 양성평등수정조항

학습주안점
- 원인과 결과를 찾아내기: 아래의 웹형 도표를 옮겨 그리시오. 본 과를 학습하면서 여성운동이 일어나게 된 조건들을 왼쪽 원에 적고 그 결과를 오른쪽 원에 적으시오.


배경
작사가 밥 딜런(Bob Dylan)의 1964년 히트곡 “시대는 변하는 거라네(The Times They are A-Changin)”는 60년대의 분위기를 반영했다. 50년대는 대부분 전례 없는 번영과 안정의 시기였지만 모든 집단들이 그 혜택을 동일하게 누린 것은 아니었다. 60년대에는 행동주의(activism) 시대의 막이 올랐는데 소외되었던 집단들과 그들의 지지자들이 그들의 목소리를 낼 기회를 얻었기 때문이다.
변화의 요구 중 하나는 여성들로부터 나왔는데 이들은 전통적인 아내와 어머니로서의 역할에 제한되기를 원하지 않았다. 이 여성들은 남성들과 같은 기회를 요구했다. 대중 가수 헬렌 레디(Helen Reddy)의 1971년 노래는 이 새로운 관점의 예를 보여준다.
“나는 여성이에요, 내가 외치는 소리를 들어주세요
무시당하기에는 너무 수가 많지요
그리고 나는 뒤로 물러나 모른척하고 있기엔 너무 많은 것을 알아요.....
그래요, 나는 대가를 치뤘죠
그런데 내가 뭘 얻었는지 보세요.
내가 해야 하는 것이 있다면 무엇이든 할 수 있어요.
나는 강해요, 나는 굴복되지 않아요.
나는 여성이에요.”
- 레이 버튼(Ray Burton)과 헬렌 레디(Helen Reddy)
이 가사는 자신감과 힘을 보여주는데 이 자신감과 힘은 새로운 여성운동이 1960년대에 시작되어 1970년대까지 계속해서 추진되도록 도왔다.


여성운동의 배경
여성들의 권리를 위한 운동은 1960년대에 새로 등장한 것이 아니었다. 특히 1800년대 말에 여성들은 투표할 권리와 교육과 일자리에서의 평등권을 얻기 위해 노력했다. 페미니즘(feminism)이라는 용어는 1960년대와 연관되게 되었지만 1895년에 남성과 여성의 정치적, 경제적, 사회적 평등에 대한 이론을 묘사하기 위해 처음으로 사용되었다. 페미니스트들이란 남성과 여성의 평등을 믿는 사람들, 또는 이 평등을 실현시키기 위한 활동을 하는 사람들이다.

  • 사진 [‘시위가 뜨겁게 진행될 때는 다림질을 하지 마시오(Don’t iron while the strike is hot)’라는 구호로 여성들의 시위 참여를 독려하는 포스터]1970년 8월 26일 여성에게 투표권을 부여한 헌법 수정안 통과 기념일에 수천 명의 여성들이 직장에서 월차를 내고 집안일을 미뤄두고 ‘여성평등의 날(Women’s Equlity Day)’을 지켰다.

1890년대 이래 많은 진전이 있었지만 페미니스트들이 추구하는 완전한 평등은 아직 성취되지 않았다. 1960년대의 여성운동은 수 십 년간 받아들여진 미국 생활의 여러 측면들을 변화시키고자 하였다. 1950년대의 전형적인 여성의 모습은 여전히 가정과 자신의 자리를 두고 결혼하여 아이를 기르는 것이었다. 많은 여성들에게 이 전형적인 모습은 현실과 필요를 반영하지 못했다. 더 이른 시기의 경우처럼 많은 여성들은 자기 자신을 위해 혹은 가정을 부양하는 것을 돕기 위해 일해야 했다. 게다가 제2차 세계대진은 여성들에게 많은 새로운 취업의 기회의 문을 열었다. 전쟁기간동안과 그 이후의 시기에 점점 더 많은 여성들이 노동계에 들어왔다. 1960년대가 시작될 무렵에 모든 여성들 중 약 38퍼센트가 일자리를 갖고 있었다. 또한 많은 여성들이 교육을 받았고 그들의 교육을 전문적인 경력을 쌓는데 사용하게 될 것을 기대했다.

교육과 고용
제2차 세계대전 후에 점점 더 많은 여성들이 대학에 가게 되었다. 1950년에는 학사 학위의 25퍼센트만이 여성에게 수여되었다. 20년 후인 1970년에 그 수는 43퍼센트였다. 더 많은 교육을 받은 여성들은 미래에 대한 높은 기대를 가졌지만 일자리를 구하거나 직장에서 진급을 할 때 받게 된 차별에 의해 낙심하게 되는 경우가 자주 있었다.
많은 경우에 고용주들은 여성들을 훈련시키는데 투자하기를 꺼려했는데 그들은 여성 직원들이 몇 년 후에 가정을 시작하게 되면 일자리를 떠나게 될 것이라고 예상했기 때문이다. 다른 고용주들은 자격을 갖춘 여성들을 고용하는 것을 단순히 거부했는데 집과 가정만이 여성들의 유일한 책임이라고 믿었기 때문이다.
노동계에 진입한 여성들은 일자리가 적고 능력에 비해 별 볼일 없는 일을 하고 적은 임금을 받는 다는 것을 알게 되는 경우가 자주 있었다. 일하는 여성 노동자들은 남성 노동자들과 유사하거나 심지어 같은 일을 하는 경우에도 더 적게 벌었다. 1963년에 평균적으로 여성들은 남성들이 1달러를 받을 때 단지 59센트밖에 받지 못했다. 1973년이 이 수치는 57센트로 떨어졌다. 이런 경제적 불평등은 여성들에게 점증하는 좌절감을 불러일으켰고 동일 노동에 대해 동일한 임금을 다시 요구하게 되었다.

민권운동의 영향
사회적, 교육적, 경제적 조건이 여성운동의 배경이 된 반면 민권운동은 어떻게 행동해야 하는지에 대한 모델을 제공해주었다. 민권운동은 또한 여성운동에 영감을 불어넣었다. 흑인과 백인 여성들은 민권을 위한 투쟁에 함께 참여하여 운동을 이끌어가는 소중한 기술을 배웠다. 동시에 그들은 민권운동 조직에서 열등한 지위로 인한 좌절감을 감내해야 했다. 그들은 인종적 차별을 종식시키기 위해 일했지만 여성들은 커피를 타고 서무일을 보도록 기대되었고 남성들이 대부분의 정책을 결정했다. 여성들에게 할당된 일에 실망하여 여성들은 민권운동에서 성공적으로 사용된 방법들을 그들 자신의 관심을 표현하는 새로운 운동에 적용하기 시작했다.
민권운동은 또한 여성들에게 차별에 맞서 싸울 법적인 도구들을 제공했다. 그러한 도구 중 하나가 1964년 민권법이었다. 원래 민권법의 제7장은 인종, 종교와 국적에 근거한 차별을 반대하는 것을 되어 있었다. 의회에서 이 법안에 대해 토론할 때 일부 민권법에 대한 반대자들은 성에 근거한 차별을 불법화하는 수정안을 추가했다. 이 발의는 전체 법안을 우스꽝스럽게 보이게 해서 최종 투표에서 패배하게 하기 위한 전략이었다. 반대자들의 기대와 달리 수정안과 법안이 모두 통과되었다. 새로운 민권법은 이제 여성들에게 차별에 도절할 법적인 근거가 되는 조항을 갖게 되었다.

  • 사진 [여성운동의 상징이 그려진 패치]새로운 여성운동은 힘의 상징을 통해 추구하는 대의를 표현했다.

- 그래프 이해하기: 여성의 소득은 계속해서 남성의 수입에 뒤쳐졌는데 부분적으로는 저임금의 일자리들이 전통적으로 “여성들의 일”이라고 여겨졌기 때문이다.
- 비교하기: 어떻게 이 격차는 1950년데서 1975년 사이에 변화했는가?

새로 제정된 법의 추가된 조항으로 고무되기는 했지만 진보에는 시간이 걸렸다. 여성들은 곧 이 법안에 의해 설립된 평등고용기회위원회(Equal Employment Opportunity Commission, EEOC)가 여성 차별에 대한 고발을 진지하게 받아들이지 않는다는 것을 발견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민권법 제7장은 여성운동이 힘을 얻는데 대단히 중요하게 되었다.


여성단체가 조직되다
1960년대가 전개되면서 여성들은 집단으로 모여 서로의 경험을 비교하게 되었다. 민권운동에 적극적인 여성들은 이 투쟁에서 더 큰 역할을 맡을 수 있는 방법을 찾기 위해 모였다. 곧 그들은 정치를 넘어서 그들의 삶의 다른 측면들도 다루게 되었다. 민권운동의 성장에 따라 다른 형태의 저항과 개혁에 적극적이었던 여성들도 함께 모이게 되었다. 여기에는 급진적 학생운동, 베트남전쟁과 징병 반대자, 복지권리를 위한 운동가들과 기타 다른 사회적 문제들이 포함되었다. 다른 중요한 영향은 베티 프리단(Betty Friedan)이 1963년 출간한 “여성의 신비(The Feminine Mystique)”라는 책이었다. 프리단이 그녀의 책에서 묘사한 불만족스런 삶을 살던 가정주부들도 모이기 시작해서 그들의 삶과 사회에서 그들의 역할에 대해 토론하기 시작했다.

여성들을 지원하는 단체들
부엌과 거실에서 모여 여성들은 의식을 고취하는 모임이 시작되었는데 이런 단체들은 회원들이 사회 속에서 여성들이 처한 상황을 분명하게 인식하도록 하는데 기여하려고자 하였다. 이런 모임에 참가하였던 낸시 홀리(Nancy Hawley)는 매사추세츠 주 보스턴의 지역사회 운동가였는데 그녀가 일하면서 보았던 편견에 의해 어려움을 겪었다. 그녀는 이렇게 말했다. “우리들 대부분이 남성들보다 열심히 일했지만 우리의 의견은 받아들여지지 않고 자주 무시되었다.” 점점 더 많은 여성들이 그들을 향한 부정적인 태도와 성차별을 인식하게 되었다. 여성단체에 참여한다고 놀림을 받았다고 말하는 사람들도 많았다. 이렇게 여성 단체 밖으로부터 지지를 받지 못하는 것은 여성단체들 내의 연대성을 더 강화시켰다.

전미여성연맹의 조직
1966년, 베티 프리단을 포함한 28명의 전문직 여성들이 모여 전미여성연맹(National Organization for Women, NOW)을 창립했다. 이 여성들은 의식 있는 여성들의 단체가 존재하지만 평등고용기회위원회가 여성들의 고초를 더 진지하게 받아들이도록 압력을 행사하려 하지 않는다는데 낙심했다. 전미여성연맹의 목표는 “지금(now), 미국의 여성들이 주류 미국 사회에 완전하게 참여하도록 행동하는 것”이었다.
전미여성연맹은 공정한 임금과 평등한 취업기회를 추구했다. 이들은 미디어의 “잘못된 여성에 대한 이미지”를 공격했는데 성차별적인 표어나 사진을 사용하는 광고와 같은 것이었다. 전미여성연맹은 또한 결혼생활이 더 균형이 잡히기를 요구해서 보육과 가사에 대한 책임을 남성과 여성이 함께 나누고자 하였다. 전미여성연맹이 설립된 지 1년 후에 회원은 천명이었다. 불과 4년 후에 1만5천 명의 여성이 참여했다.
어떤 여성들에게 전미여성연맹은 너무 급진적으로 보였고 다른 여성들에게는 충분히 급진적이지 않았다. 어떤 사람들은 전미여성연맹은 물론 여성운동 모두가 주로 백인 중산층 여성들의 이익을 위한 것이라고 보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미여성연맹은 성차별을 종식시키고 모든 여성들을 위한 평등을 추구하려는 데 기여했다.

  • 심화학습: 문화

- 여성의 신비[베티 프리단의 “여성의 신비”에는 여성들이 바라는 모든 것이라고 사회에서 정의한 것을 다 갖춘 여성들이 등장한다. 좋은 수입을 가져다주는 남편, 건강한 아이들, 교회에 있는 집, 집안을 가꾸고 가정을 돌보기에 충분한 돈과 시간 모두를 가졌지만 자신의 잠재력을 실현하지 못한 여성들의 불만에 대해 이야기한다. 많은 여성들이 가정을 돌보며 그들 자신의 필요를 가정의 필요에 종속시키며 2류 시민으로 대우를 받으며 갖는 불만족을 지적하며 여성들에게 “이것이 다인가”라고 질문할 용기를 준다. 그리고 이것이 다가 아니라는 것을 깨우치도록 돕는다.]


페미니즘의 영향
여성운동은 1970년대 초에 이르며 성숙해졌다. 1970년 8월, 여성투표권 획득 50주년 기념으로 조직된 뉴욕시의 행진에는 수만 명의 시위대가 여성의 평등권을 지지하며 모여들었다.
더 많은 여성들이 자신들을 페미니스트라고 인식하게 되었다. 페미니스트 모임에 참여하지 않은 사람들도 이제 여성문제에 대한 새로운 종류의 정보와 견해를 접할 수 있게 되었다. 그중 새로운 정보원이 “우리의 몸, 우리 자신(Our Bodies, Ourselves)”이라는 책이었다. 이 소책자는 1970년에 보스턴의 한 여성건강공동체의 의해 출판되었는데 여성들이 그들 자신의 건강문제를 이해하도록 권장하는 책이었다. 이 책은 출간 후 처음 몇 년간 20만 부가 팔렸고 1990년까지 3백만 부가 팔렸다.
1972년 언론인 글로리아 스테이넘(Gloria Steinem)과 여러 여성들이 “미즈(Ms.)”라는 잡지를 창간했다. 페미니스트 주제를 다루는 미즈는 여성들에게 굿하우스키핑(Good Housekeeping)이나 레이디즈홈저널(Ladies’ Home Journal)같은 다른 당시의 여성잡지들과는 전혀 다른 관점을 제공했다. 30만부의 창간준비호가 8일 만에 매진되었다. 모든 독자들이 스스로 페미니스트라고 생각한 것은 아니지만 이 잡지는 독자들에게 여성운동과 관련된 주장과 주제들에 대해 친숙하게 만들었다.

태도의 전환
서서히 여성운동은 삶의 자세와 법에 대한 태도를 변화시켰다. 예를 들어 1972년 의회는 고등교육법(Higher Education Act)의 일부로 성차별에 대한 금지를 통과시켰다. 대학 1학년생들 대상의 한 조사는 사회경력과 기회에 대한 목표가 상당하게 변화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1970년에 남성들은 경업, 법조, 공학, 의료계에 대한 관심에서 여성들을 8대 1의 비율로 앞섰다. 5년 후 이 격차는 3대1로 줄어들었다. 더 많은 여성들이 법학대학원과 의학대학원에 입학했다. 여성들은 마침내 사관학교에도 입학이 허용되어 장교로 훈련받을 수 있게 되었다.

  • 학습이해도 확인: 여성운동이 끼친 영향에는 어떤 것들이 있었는가?
  • 1차자료 비교: 일하는 어머니들

[∙일하는 어머니에 대한지지: 어머니가 일하기 때문에 아녀들이 덜 행복하고 덜 건강하고 적응력이 떨어진다는 확실한 증거는 없다. 그리고 일하는 여성들이 더 행복하고 더 훌륭하고 더 성숙한 어머니가 될 수 있다는 연구는 일반인들에게 잘 알려져 있지 않다. (베티 프리단, 여성의 신비, 1963년)
∙일하는 어머니에 대한 반대: 생계를 위해 일해야 하는 어머니들이 있고 그들의 자녀들이 더 나은 여건 속에서 자랄 수도 있다. 그러나 또한 무시당하고 적응력이 떨어지기도 한다. 여성들이 공장에서, 사무직으로 일하면서 자신의 아이들을 기르는 힘겨운 일은 돈을 주고 다른 사람들에게 맡기는 것은 비상식적이다. (벤자민 스폭 박사, 육아전서, 1957년)]
1971년 여성정치연맹(National Women’s Political Caucus)이 여성의 정치참여를 확대하기 위해 조직되었다. 체제 내에서 활동하게 되어 여성들은 여성운동의 목표에 대한 더 광범위한 지지를 얻을 수 있게 되었다. 여성들은 또한 정치계에서도 더 큰 영향력을 얻게 되었다. 뉴욕시민 셜리 치숌(Shirley Chisholm)은 여성정치연맹의 창립자였는데 하원의원으로 1969년부터 1983년까지 일했다. 1972년에는 대통령후보경선에도 출마해서 민주당 전국대회에서 경선에서 사퇴하기 전까지 대의원 중 152표를 얻었다. 치숌의 출마는 아프리카계 미국인 여성도 국가적인 직책을 맡도록 지지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그리고 그녀는 제럴딘 페라로(Geraldine Ferraro)가 1984년 민주당 부통령 후보로 선출되는데 선구적인 역할을 했다.

많은 여성들이 여성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거니 지지하는 것은 아니었다. 그러나 대부분은 전미여성연맹의 목표인 여성들에게 더 나은 일자리를 제공하려는 것에 동의했다. 많은 사람들은 또한 여성운동이 여성들에게 중요한 문제들에 대한 더 큰 인식을 가져 온 것에 대해 기쁘게 생각했다. 이런 문제들에는 자녀양육시설에 대한 필요, 노숙하는 여성들을 위한 보호소, 여성의 건강문제 대한 더 많은 관심과 성희롱에 대핸 인식의 확대 등이 포함되었다.
공통의 관심사가 많았지만 여성운동은 목표와 전략에 있어서 계속해서 분열되었다. 급진적인 페미니스트들은 남성우월주의를 종식시킬 필요를 강조했고 때로는 심지어 남성과 결혼과 자녀양육을 거부하기도 했다. 다른 여성들은 극단주의자들의 강력한 견해를 거부했는데 그들이 여성운동에 분열을 가져올 것을 염려했기 때문이다. 이 여성들은 그들이 남성과의 평등을 추구하는 것이지 남성들을 거부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강조했다.

로우 대 웨이드 사건(Roe v. Wade)
여성운동을 분열시키는 잠재력을 가진 문제 중 하나가 낙태였다. 전미여성연맹과 다른 몇 개의 단체들은 원하지 않는 임신을 지속하는 것 대신 낙태를 선택할 수 있는 여성의 결정권을 규제하는 법에 대한 개혁을 위해 활동했다. 많은 주에서 낙태에 대해 불법화하거나 엄격하게 제한했다. 다른 주나 해외로 여행할 여유가 있는 여성들은 합법적인 의료지원을 받을 수 있었지만 더 가난한 여성들은 낙태를 위해 불법적이 뿐만 아니라 위험한 방법들에 의존할 수밖에 없었다.
기념비적인 사회적, 법적 변화가 1973년 이루어졌는데 대법원이 논란이 많았단 로우 대 웨이드 사건에 대한 판결에서 낙태를 합법화했기 때문이다. 법관들은 그들의 판결의 근거를 헌법의 개인의 사생활에 대한 권리에서 찾았고 임신 초기 3개월 내의 낙태를 규제하는 주 법을 무효화했다. 그러나 이 판결은 여전히 각 주에서 임신 초기 이후의 낙태를 제한하는 것을 허용했다. 이 판결은 당시는 물론 지금까지도 양측의 급진적인 사상가들 사이에 극심한 논란의 대상이 되어왔다.

양성평등 헌법수정안
많은 여성들이 헌법을 수정해서 성에 근거한 차별을 불법화하는 운동에 참여했다. 1972년 의회는 헌법의 양성평등 헌법수정안(Equal Rights Amendment)을 통과시켰다.
“법 앞에서의 권리의 평등은 성별로 인해 미합중국이나 주에 의해 거부되거나 제한되지 않는다.” - 양성평등 헌법수정안, 1972년
법이 발효되기 위해서 수정안은 38개주에서 비준되어야 했다. 30개주가 즉시 비준했다. 추가로 몇 개의 주에서 비준했기 때문에 승인은 확실해 보였다. 1977년까지 35개주가 비준했지만 반대세력들이 힘을 얻어가고 있었다. 양성평등수정조항을 헌법에 추가하려는 노력은 비준 기한인 1982년까지 지체되어서 결국은 철회되었다.


여성운동에 대한 반대
여성 보수주의 정치활동가인 필리스 슐래플리(Phyllis Schlafly)는 양성평등수정조항의 비준을 막는 전국적인 운동을 이끌었다. 그녀는 이 수정조항에 대해 다음과 같이 말했다.
“이것은 여성들을 돕기 위해 아무것도 할 수 없고 여성들이 이미 가진 권리를 빼앗아갈 뿐입니다. 남편에 의해 부양되는 아내가 될 권리, 군사적 전투로부터 면제될 권리, 여자대학에 진학할 권리 같은 것 말입니다.” - 필리스 슐래플리
슐래플리는 여성들이 이미 그들의 권리를 법적으로 인정받고 있다고 주장했다. 양성평등수정조항의 지지자들은 양성평등수정조항의 비준으로 예상되는 결과에 대한 슐래플리의 주장에 이의를 제기했는데 그녀의 주장에는 남녀공용화장실의 설치와 결혼 위자료의 폐지 등이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슐래플리와 같은 사람들의 주장은 양성평등수정조항이 기한 전에 비준되는 것을 막는데 도움이 되었다.
슐래플리만이 양성평등수정조항과 더 나아가 여성운동 전체에 대해 반대한 것은 아니었다. 많은 남성들은 페미니스트운동에 적대적이었는데 그들은 경멸하는 투로 여성해방운동(women’s liberation, 또는 women’s lib)이라고 불렀다.
모든 여성돌이 다 여성운동의 목표에 공감했던 것도 아니다. 어떤 여성들은 가정에 머무르고 자녀를 양육하고 싶은 그들의 소망을 강조함으로 응답했다. 그들은 여성의 전통적인 역할에 행복을 느끼고 있었고 그들이 불만을 가져야 한다고 말하는 것에 대해 분노했다. 이 여성들은 아내로서, 특히 어머니로서의 역할이 여성운동에 의해 평가절하되고 있다고 느꼈다. 그 결과로 이 여성들이 보기에, 여성에 대해 그리고 다음 세대를 양육하는 중요한 과업에 대해 더 존경받기 보다는 덜 존경받게 되었다.
다른 영역에서도 반대가 제기되었다. 어떤 아프리카계 미국인 여성들은 인종차별에 맞서 싸우는 것이 성차별보다 더 중요하다고 느꼈다. 1974년에 전미여성연맹의 아프리카계 미국인 의장인 에일린 헤르난데즈(Aileen Hernandez)는 “일부 흑인 자매들은 페미니스트 운동이 그들의 현재의 필요를 채워주는지에 대해 확신하지 목하고 있다”고 인정했다. 많은 노동계급의 여성들도 이 운동이 그들과 동떨어진 이야기라고 느꼈다. 그들은 가정을 가꾸는 일을 포기하고 원하는 만큼 보수를 받을 수 없는 노동에 참여하라고 부추긴다고 생각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성운동은 계속해서 여성들을 위해서 권리를 얻어내고 사고를 바꾸고 기회를 확대했다. 그렇게 하는 가운데 행동주의 시대의 개혁의 중요한 흐름 중 하나가 되었다.

  • 사진 [필리스 슐래플 리가 확성기를 들고 연설하는 모습]

역사 속의 한 장면: 필리스 슐래플리가 양성평등수정조항에 반대하며 외치고 있다.
- 적절성을 결정하기: 슐래플리가 여성이라는 사실이 그녀의 관점을 주장하는데 더 효과적이었겠는가 덜 효과적이었겠는가? 당시의 대답에 대해 설명하시오.


1과 평가
단원 이해도 평가
1. 페미니즘은 무엇인가?
2. (a) 전미여성연맹은 언제 창설되었는가? (b) 이 단체의 목적은 무엇인가?
3. 셜리 치숌은 누구인가?
4. 로우 대 웨이드 판결에 대해 설명하시오.
5. (a) 양성평등수정조항은 무엇인가? (b) 결국 비준한 주는 모두 몇 개 주인가?

비판적인 사고와 글쓰기
6. 가정을 찾아내기: (a) 많은 여성들이 여성운동을 지지하는 근거가 된 신념은 어떤 것인가? (b) 다른 사람들이 여기에 반대하는 근거가 된 신념은 어떤 것인가?
7. 의견을 작성하기: 민권운동의 사례가 없었다면 성공적인 여성운동이 있을 수 있었겠는가? 당신의 의견을 지지하는 글을 한 문단으로 작성하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