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 자원과 에너지

Cefia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한국의 지리: III. 생산과 소비의 공간 > 1. 자원과 에너지


1. 자원과 에너지 - 자원이 부족해 수입 의존도가 높은 나라

그림 3-1. 지하자원 분포




자원은 국가의 경제 발전에 가장 기초 요소로 중요하다. 한국은 국토 면적이 좁아 자원이 풍부하지는 않지만, 오랜 지질 시대를 거쳐 형성되어 다양한 광물자원이 매장되어 있다. 그러나 주요 광물 자원은 북한에 분포해 철광석, 구리 등의 주요 금속 광물은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데, 철광석은 제철 공업의 핵심 원료로 국내에서는 소량만이 생산되어 대다수 오스트레일리아, 브라질, 인도 등에서 수입하고 있다. 비금속 광물인 석회석, 고령토 등은 비교적 풍부하게 매장되어 있는데, 석회석은 시멘트 공업의 원료로 강원도와 충청북도에 대다수 분포하고 있으며, 고령토의 경우 도자기 및 내화 벽돌, 종이, 화장품 등의 원료로 경상남도 서부 지역의 하동 산청 등에 분포하고 있다.





그림 3-2. 에너지 소비 변화

에너지 자원은 석유, 석탄, 천연가스, 그리고 최근 들어 신재생 에너지가 새로이 등장해 조금씩 비중을 높이고 있다. 석유는 현재 한국에서 소비 비중이 가장 큰 에너지 자원으로 서남아시아 국가에서 수입하고 있으며, 석탄은 석유 다음으로 비중이 높은데, 석탄은 가장 오래된 에너지 자원으로 1970년대 석유가 본격적으로 이용되기 이전까지는 가장 중요한 에너지원이었으며, 1980년대 석유위기 당시 잠시 중요하게 등장하였으나 이후 점진적으로 새로이 등장한 천연가스와 석유에 밀려 비중이 감소하고 있다. 현재도 석유 다음으로 높은 소비가 이루어지는 석탄은 화력 발전에 이용되는 역청탄으로 국내에서 생산되지 않아 수입하고 있으며, 무연탄은 국내 가정용 연료로 이용되던 과거 생산이 활발했으나 연탄 수요가 줄고, 심부 채굴과 임금 상승에 따라 채산성이 악화되어 정부는 1980년대 후반 경제성이 떨어지는 탄광의 정리하고 경제성이 높은 탄광의 집중 육성을 골자로 하는 정부의 석탄 산업 조정 정책을 시행하기에 이른다.

천연 가스는 냉동 액화 기술과 수송 수단의 발달, 그리고 사용의 편리함과 저렴한 가격의 이점, 여기에 다른 화석 연료에 비해 대기 오염 물질의 배출량이 적어 소비량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울산 앞바다 동해-1 가스전에서 소량 생산되지만,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고 있고 사용량이 증가하며 파이프라인을 통해 러시아 등지에서 직접 공급받으려는 노력이 기울여 지고 있다. 다음으로는 원자력과 신·재생에너지가 전력 생산의 자원으로 이용되고 있다.

그림 3-3. 발전의 양식별 구성





전력 생산은 대부분 화력과 원자력이 차지하고, 다음으로 수력 그리고 신·재생 에너지가 새로이 미약하나마 일부를 차지하고 있다. 화력은 수요에 시기와 장소에 근접하여 생산이 가능한 이점, 원자력은 대용량의 발전이 가능하고, 온실가스의 배출이 적은 이점으로 증가하는 수요에 부응하여 점차 생산량을 늘리고 있으나, 각각 화석연료 사용에 따른 대기 오염과 온실 가스 배출 그리고 방사능 폐기물 처리와 방사능 유출의 위험을 안고 있어 신·재생 에너지로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그림 3-4. 신재생 에너지원별 공급과 공급량 변화


신·재생 에너지는 현재 전체 발전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낮지만 점차 비중을 높이고 있는데, 태양광, 풍력 등은 화석 에너지에 비해 아직 경제적 효율성은 낮지만 환경오염에 대한 부담이 작고 공급이 무한해 관심과 투자가 증가하고 있다. 신·재생 에너지 공급 비중을 보면 폐기물이 가장 높은 약 75%를 차지하고, 다음으로 소수력이 약 10%, 바이오가 약 9.5%를 차지하고 있다. 풍력과 태양광은 전체에서 약 2%전후의 비중을 보이고 있다.

한국은 부존자원이 빈약하여 에너지 자원의 해외 의존도가 매우 높으며, 경제와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자원 소비량이 증가하고 있다. 전력 소비의 유형을 보면 산업용이 50.2퍼센트로 반 이상을 차지하며 다음으로 가정과 상업이 42.8퍼센트를 차지하고 있다. 따라서 해외 자원 확보를 위한 투자를 늘리고 있으며 더불어 자원의 수입처 다변화를 통해 안정적인 공급을 도모하고 있다.

그림 3-4. 신재생 에너지원별 공급과 공급량 변화

한국은 자원의 종류는 다양하지만 매장량이 적고 품질이 낮아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산업 발달로 인한 생산 증대, 생활수준 향상 등으로 에너지 소비량이 급속히 증가하며 에너지 자급률은 3%에 불과할 정도로 에너지의 해외 의존도가 매우 높다.

그림 3-5. 해외 자원 개발 현황

국내 기업의 해외 자원 개발 노력은 국제적인 자원의 수급 불안정으로 인한 자원 가격의 폭등과 특정 자원을 보유한 국가에서 자원 민족주의를 드러내는 경향이 뚜렷해지며 자원의 안정적 확보를 위해 늘리고 있다. 여기에는 에너지 자원뿐 아니라 최근 휴대폰, 충전용 전지의 원료가 되는 리튬과 같은 광물 개발을 위해 남미의 소금 사막 개발권을 확보 하는 등 그 영역을 희소 광물 자원으로까지 점차 확대해 나가고 있다.

그림 3-6. 해외 자원 개발 투자규모




영문

3.1 Energy and Natural Resour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