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K:3.5.1 각종 서비스업의 입지, 서비스업 정책

Cefia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한국의 지리: III. 생산과 소비의 공간 > 5. 서비스업과 관광 > 1) 각종 서비스업의 입지, 서비스업 정책


1) 각종 서비스업의 입지, 서비스업 정책

한국의 산업구조는 1960년대 이전 1차 산업의 비중이 매우 높았고 2차 산업은 미약했고, 3차 산업은 농업 중심 사회에서 단순한 재화와 용역을 공급하는 수준에 머물렀다. 1960년대 이후에는 2차 산업이 현저하게 성장했고 1차 산업의 비중은 급격히 감소했다. 3차 산업은 지속적으로 고급화, 전문화되었고, 서비스 공급 대상도 소비자를 넘어서 생산자에게까지 이르렀다.

그림 3-23. 서비스업 분야별 종사자수와 연도별 변화

서비스업 전체의 종사자 비율을 보면 1995년 58.6%에서 점차 증가하여 2010년 64.6%를 보이고 있다. 분야별로는 도매 및 소매업과 숙박 및 음식점업이 높은 비율을 보이는데 점차 줄어들고 있으며, 대신 사업서비스업과 교육서비스업이 비중을 늘리고 있다. 서비스업은 기본적으로 수요가 많은 지역에 분포하며 접근성을 높이고자 하는데, 기업 활동을 지원하는 생산자 서비스(금융업, 보험업, 부동산업)와 일반 소비자를 대상으로 하는 소비자 서비스(도·소매업, 음식업, 숙박업)로 부가가치 창출면에서 고부가, 저부가로 대별된다. 입지 특성으로 생산자 서비스는 기업의 입지와 관련이 높고 관련 정보 획득, 고급 노동력이 풍부한 대도시에서 높은 비율을 보이고, 소비자 서비스는 소비자의 이동 거리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분산 입지하려는 경향이 커, 한국의 경우 서비스 산업 전체적으로 수도권과 부산광역시에서 높게 나타나지만 생산자서비스업의 경우 서울, 대전과 부산 그리고 광역시에서 높은 비중을 보이고 있다.

그림 3-24. 서비스업의 시도별 분포

서비스업 종사자 다수가 분포하는 서울특별시의 분포를 세부적으로 보면, 생산자서비스는 중구, 강남구, 여의도, 그리고 구로디지털단지 등에서 높은 집중도를 보이고 있으며, 소비자 서비스는 유동인구가 많고 구매력이 높은 지역으로 주로 주거지의 분포와 밀접히 연관되어 있다.

그림 3-25. 서비스업의 서울 시내 분포
그림 3-25. 서비스업의 서울 시내 분포

한국의 서비스업은 도․소매, 숙박․음식점업과 같은 소비자 서비스 비중이 높으며, 생산자서비스의 역량은 취약한 편인데, 전문지식이 요구되는 지식기반 서비스업의 특성으로 인해 대부분 브랜드파워와 기술력을 앞세운 외국계 업체들이 금융․보험, 컨설팅업, 시장조사업 등을 상당수 점유하고 있어 이를 성장시킬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경제재구조화를 거치며 핵심적인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특히 생산자 서비스업은 제조업 등 기업활동을 보완하고 자체적으로 문화․관광 분야에서 부가가치와 일자리를 창출하는 활동으로 중요하다. 이는 지식정보 기반과 더불어 문화콘텐츠, 소프트웨어 등 창의성과 상상력이 성장동력으로 등장하고 있기에 최근 정부는 한국경제를 이끌어갈 패러다임으로 지식기반서비스에 더하여 창조산업을 강조하고 있다. 미래의 신성장동력으로 지식과 창의력의 강조는 정보통신기술이 보편화되며 지식, 정보, 콘텐츠가 세계적으로 확산되고, 여가활동에 대한 대중적 욕구가 증대하며 감성을 자극하는 여행, 예술과 같은 문화적 가치에 대한 관심이 확대되며 상품화가 가능해지는 환경이 조성된 것에 배경을 두고 있다.

영문

GK:3.5.1 각Location of Various Service Industries and Service Industry Polic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