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E:2.4 이승만 정부 경제정책의 성과

Cefia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휴전 이후 1954~1961년 사이 연평균 GDP성장율은 4.1%로 국민생활을 눈에 띄게 향상시킬 정도가 되지 못했고, 달러 표시 1인당 GNP도 1953년의 67달러에서 1961년 82달러로 증가하는 선에서 그쳤습니다. 1960년 한국은 여전히 전체 노동가능인구 다섯명 중 한명이 실업상태였고, 국민대다수가 빈곤을 벗어나지 못함에 따라 ‘저소득 -> 저저축 및 저투자 -> 저소득의 지속’이라는 악순환이 지속되었습니다. 총저축율은 1953년에서 1961년 사이에 13.1%에서 11.7%로 하락하였으며, 국내총투자율 역시 이 기간에 14.7%에서 12.0%로 하락했습니다. ‘Thus, by the early 1960s, U.S. officials had become extremely gloomy about the prospects of Korean development” (Mason et al, 1980, p. 195)

이승만정부의 정책이 그다지 성공적이지 못했던 이유는 여러가지를 지적할 수 있습니다. 우선 자금측면에서 제약이 있었고 기술분야의 전문지식이 부족했던 점, 정책 담당자들이 후발 경제를 어떻게 운용해야 하는지에 관한 전략이나 전문지식이 부족했다는 점 등을 들 수 있습니다. 또 한가지 지적되어야 할 점은 적산불하와 원조가 정부와 긴밀한 정치적 관계를 맺은 일부 기업가들에게 집중되었을 뿐만 아니라 이들 기업들이 자산을 불하받고 관세와 낮은 금리의 은행대부 등 특혜적인 조건에서 사업을 했음에도 불구하고 이들 기업들의 성과를 객관적으로 평가하고 합당한 성과를 내지 못한 기업들을 규율할 수 있는 방식이 존재하지 않았다는 점입니다. 따라서 당시 상당수 기업들은 생산적 활동을 통해 국부를 창조하기 보다는 외국원조, 은행대부, 정부자산에 대한 배타적 접근과 같은 비생산적인 사업활동을 통한 지대추구(rent-seeking)에 몰두하는 "투기적이고, 저속하고, 상업적이며, 종속적” (Sin, 1984: 76; Kang, et al, 1991: 128)인 기업들이었고 생산을 통해 파이를 키우기보다는 다른 사람들의 기회를 뺏는데 주력했다는 점에서“제로섬적인 기업가 정신” (Jones and Sakong, 1980: 278)을 보였다고 비판받기도 합니다. [1]

이처럼 해방 후 좌우대립, 오랜 기간 지속된 한국전쟁과 그 후유증, 정권에 기생하는 세력들의 고질적인 부정부패 등으로 악전고투하던 이승만 정부는 정권유지를 위해 자행했던 1960년 3.15 부정선거에 대한 국민의 저항이 시민혁명으로 폭발하면서 그 막을 내리게 됩니다.


  1. 이승만 정권 하에서 자본주의가 얼마나 발달했는지는 한국 경제의 여러 다른 주제와 마찬가지로 많은 논쟁이 있습니다. 당시 자본주의 발전 정도와 자본가들의 후진성을 지적하는 주장들은 분명히 사실에 근거한 부분이 많지만 동시에 박정희 정권을 위시한 이후 군부정권들의 성과를 두드러지게 하기 위해 이승만 정권의 성과들이 폄하되었다는 주장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