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대만

CefiaWiki
Cefia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5년 8월 13일 (목) 18:04 판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중화민국(中華民國, Republic of China)
Taiwan.jpg
인구 2,693,672명(2014년)
면적 35,980 km²
언어 중국어
정부 이원집정부제 공화국
통화 타이완 달러 (TWD)
GDP $9,027억(2012년)
국제전화 +886
도메인 .tw


이름 및 위치

대만 지도

공식국호는 중화민국(Republic of China)이지만, 올림픽 대회 또는 국제기구에 참가할 때는 중화타이베이(Chinese Taipei)라고도 한다. 원래는 부속제도인 펑후제도[澎湖諸島], 훠사오섬[火燒島], 란위섬[蘭嶼] 등 79개 도서를 합하여 중국의 1개 성(省)인 타이완성을 이루었다. 그러나 1949년 이래 타이베이[臺北]를 임시수도로 정하고 있는 타이완 국민정부의 지배지역이 되었고 그 범위는 타이완 및 푸젠성에 속하는 진먼섬[金門島]과 마쭈섬[馬祖島]이다. 지방정부로서의 타이완성 정부는 타이중[臺中] 교외의 중싱신춘[中興新村]에 있다. 세계 각국이 '하나의 중국'을 지향하는 중화인민공화국과 국교를 수립하면서 단교하여 국제적 고립화가 진행되었으며, 중화인민공화국은 타이완섬과 그에 부속된 섬의 영유권을 주장하고 있다. 행정구역은 2개 직할시, 22개 현(縣)·시(市)로 구성된다.


간략역사

3세기 중엽 중국의 삼국시대 때 심형(沈瑩)이 저술한《임해수토지(臨海水土志)》에서는 타이완을 이주(夷州)로 기록하고 있는데, 중국문헌 기록으로 거의 초기의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이주라는 명칭을 두고 타이완 섬을 지칭한 것이 아니라는 이견도 있다. 7세기 초 수(隋)나라 때부터 한족(漢族)이 타이완을 정찰정략(偵察征略) 시도하였으며, 타이완을 유구(流求)라는 명칭으로 기록하고 있다. 하지만 유구는 현재의 오키나와를 가리키는 것으로도 알려져 있으며 당시에는 구분없이 사용한 것으로 추측된다. 원(元)은 1360년 펑후섬[澎湖島]에 처음으로 순검사(巡檢司)라는 행정기관을 설치하였지만 타이완은 관할에 두지 않았다. 명대(明代)에 이르자 해상무역과 해적활동을 하는 한족의 정착이 늘어났고 동시에 동방무역에 나선 서구의 열강도 타이완에 관심을 가지기 시작하였다. 하지만 여전히 명나라는 타이완을 행정 관할에 두지 않았고 원주민과 한족, 일본에서 건너온 사람들이 각자의 마을을 형성하고 살았으며 타이완을 통치하는 기구나 세력은 없었다.

1590년 동방무역을 위해 이곳 해역으로 진출한 포르투갈인이 타이완을 방문하여 ‘아름다운 섬’이라는 뜻의 포르모사(Formosa)라고 명명하였다. 1616년 일본인들이 대만을 점령하려다 풍랑으로 수천명이 사망하기도 하였다. 이후 네덜란드가 타이완 남부에 정착하였는데 그들의 목적은 동방무역을 위한 것이었다. 네덜란드인들은 앞서 정착한 한족을 누르고, 이곳에 무역기지를 건설하였다. 1624년 안핑[安平:臺南市]에 지란디아 성(Zeelandia castle)을 구축하였다. 타이완이 중국과 일본의 중계무역 거점으로 전력적 가치가 높아지자 에스파냐도 1626년 지룽[基隆] 지방의 서랴오섬[社寮島]에 산살바도르성을 쌓았다. 다시 3년 후에는 단수이항[淡水港]에 산토도밍고 성(Santo domingo castle)을 각각 축조하고 타이완에 진출하였다. 그러나 네덜란드는 1642년에 에스파냐를 타이완에서 격퇴하고 지배권을 확립하였다.

1661년 명나라가 청에 패망하자 유신 정성공(鄭成功)이 부하를 이끌고 타이난[臺南]에 상륙하여 지란디아성을 점령해서 네덜란드인을 항복시키고 타이완을 항청복명(抗淸復明)의 기지로 삼았다. 1662년 정성공이 죽고 이후 아들 정경(鄭經)이 대만을 통치하면서 독립된 국가로서 체제와 위상을 갖추게 되었다. 1673년 청나라에서 삼번의 난이 일어난 틈을 이용해서 대륙으로 진격하여 푸젠성 일대를 점령하기도 하였지만 1680년 하문에서 패하여 대만으로 다시 퇴각하였다. 정경이 중국 대륙 진출에 실패하고 실의에 빠져 사망하자 대만은 왕위를 차지하기 위한 내분으로 급격하게 쇠퇴하였다. 1683년 6월 청(淸)이 타이완으로 진격하자 3번째 정(鄭)씨 왕인 정극상이 청나라에서 요구한 변발을 받아들이고 항복하였다. 이로써 정(鄭)씨의 타이완 지배는 불과 3대, 22년으로 끝났다. 다음해인 1684년 청은 타이완을 푸젠성에 예속시키고 타이난에 타이완부(府)를 설치하였다.

청나라는 1884년 프랑스와 청불전쟁(淸佛戰爭)이 일어나자 열강의 침략을 막기 위해 이듬해 타이완을 하나의 성(省)으로 격상시키고 순무(巡撫)를 파견했다. 그러나 청일전쟁(淸日戰爭)에서 청나라가 일본에 패하면서 타이완은 1895년 시모노세키조약(下關條約)으로 일본의 식민지가 되었다. 타이완 주민들은 타이완 순무이던 탕징쑹(唐景崧, 1841~1903)을 총통으로 추대하고 타이완민주국(臺灣民主國)을 선포해 일본의 침략을 막으려 했다. 5개월 동안 각지에서 일본군에 맞서 무력항쟁을 벌였으나 패하면서 타이완민주국은 붕괴되었다. 타이완은 1945년 제2차 세계대전에서 일본이 패망할 때까지 일본의 식민지 지배를 받았다. 1945년 10월 25일 중국으로 반환되었으나 새로 이주해온 외성인(外省人)과 원주민인 본성인(本省人) 사이의 갈등이 촉발되어 1947년 2월 28일에는 ‘2·28 사건’이 벌어지기도 했다. 그 뒤 1949년에는 중국공산당과의 내전(內戰)에 패배한 국민당(國民黨)의 장제스(蔣介石) 정권이 난징(南京)에 있던 중화민국(中華民國) 정부를 타이완의 타이페이(臺北) 시로 옮기면서 오늘날까지 대륙의 중화인민공화국(中華人民共和國)과 구분되는 독자적인 정치체제를 유지하고 있다.

타이완은 최고기관인 국민대회 및 총통 아래 입법원(국회), 행정원(내각), 사법원, 고시원, 감찰원의 5권분립제를 택하고 있다. 국민당 1당지배정치를 펴온 타이완 정부는 1949년 이래 계속 실시된 계엄령을 1987년 7월 해제하였으며, 1988년 1월 13일 총통 장징궈[蔣經國]가 사망한 후 부총통 리덩후이[李登輝]가 총통으로 취임하였다. 1989년 1월에는 복수정당제를 도입하였으며, 같은해 12월의 입법원 선거에서 야당세력이 예상외의 의석수를 차지함으로써 집권 국민당에 타격을 주었다.

1991년에는 타이완 수비사령부를 해체하고 진먼섬 계엄을 종식하였으며, 1992년에는 사상경찰제 및 타이완 경비사령부를 폐지하였다. 1993년 11월 최초의 지방선거를 실시, 1994년 7월 국민대회에서 선출되던 총통직선제 개헌안 승인을 거쳐, 1996년 3월 총통 리덩후이가 최초의 직선총통이자 제9대 총통으로 선출되었다. 2000년 3월 야당인 민진당(民進黨)의 후보 천수이볜[陳水扁]이 롄잔을 꺾고 총통으로 선출되어 50년 이상 계속되어온 국민당 체제가 중단되었다. 2001년 12월 1일 제5기 입법위원 선거 결과 민진당이 제1당으로 도약하였으며 그후 2004년 3월 20일 총통선거에서 천수이볜 총통이 50.12%의 지지를 얻어 연임에 성공하였다. 이때 야당은 3월 19일의 천수이볜 총통 피격 사건으로 국가안전체제가 발동되어 군인과 경찰의 투표권이 박탈당했다는 것을 이유로 당선 및 선거무효 소송을 제기하였으나, 최고법원에서 모두 기각 패소하였다.

2004년 12월 11일 실시된 제6대 입법위원 선거에서 야당(국민당, 신민당, 신당)이 입법원내 과반수(113석) 이상을 확보함으로써 여소야대 구도가 형성(民進黨 89석, 國民黨 79석, 親民黨 34석, 台聯 12석, 新黨 1석, 기타 10석)되고 이에 2005년 6월 7일 국민대회에서 헌법 개정안이 통과되어, 입법위원수 1/2 감축, 소선거구제 채택, 헌법 개정안의 국민투표 실시, 국민회의 해산 등 헌법 개정 내용이 확정되었다. 국민대회는 동대회를 마지막으로 해체되었다. 천수이볜 총통의 측근 비리혐의로 국민당, 친민당 주도 하에 타이완 정치사상 최초로 총통파면안이 입법원에 제출되었으나 2006년 6월 27일 부결되었다. 2008년 3월 마잉주[馬英九]가 제12대 총통에 당선되었다.


사회

인구

타이완의 주민은 17세기에 광동성, 복건성 등지에서 이주해 온 본성인(本城人)과 1949년 장제스를 따라온 외성인(外城人)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언론은 중앙통신의 통신사가 있다. 신문은 《연합보》, 《연합만보》, 《중국시보》, 《중시만보》, 《자립조보》, 《자립만보》, 《자유시보》 등이 있다. 영자신문으로는 《차이나뉴스》, 《차이나포스트》 등이 있다. TV방송국은 중국전시, 중화전시대, 타이완전시, 홍콩에 본부를 둔 위성사인 TVBS 등 12국이 있고(1997), 라디오방송국은 AM방송국 218국, FM방송국 333국, 단파방송국 50국이 있다(1999).

인구증가율은 0.81%, 출생률은 1,000명당 14.42명, 사망률은 5.91명, 영아사망률은 7.06명이다. 평균수명은 76.35세로 남자는 73.62세, 여자는 79.32세이다. 기대수명은 76.5세(2007년)이다. 초등학교와 중학교에서 6∼15세의 어린이를 위한 무상의무교육이 실시되고 있으며, 문맹률은 5%이다.


인종

타이완의 선주민족은 말레이-폴리네시아계에 속하며 일본 식민지시대에는 고사족(高砂族)이라고 불렀으나 오늘날은 고산족(高山族) 또는 산지동포(山地同胞)라고 부르고 있다. 고산족은 대부분이 산악지대에 살고 있으며 전 인구의 2%를 차지한다. 대륙에서 이주해온 한민족(漢民族)은 조기 이주자인 타이완인[臺灣省籍者]과 1949년 전후에 장제스[蔣介石]의 국민당 정권과 함께 건너온 외성인(外省人)으로 나뉜다. 타이완인의 주체는 푸젠성과 광둥성[廣東省]의 출신자이며, 푸라오라고 부르는 푸젠성 출신자가 평야지대에 많이 거주하는 데 견줘 커자[客家]라고 부르는 광둥성 출신자는 타오위안[桃園], 신주[新竹], 먀오리[苗栗] 등의 구릉지구에 많이 산다. 타이완인은 전인구의 85%, 외성인은 13%를 차지하고 있다.

이주민의 출신지에 따라서 푸라오어[福福建系], 커자어[客家語:廣東系] 등의 지방언어가 사용되고 있으나 공용어로는 베이징어[北京語]를 사용하고 있다.


종교

종교는 불교·도교·유교를 믿는 주민이 대부분(93%)이고 그리스도교(4.5%), 이슬람교 등 기타 종교(2.5%)를 믿는다.


정치

타이완은 최고기관인 국민대회 및 총통 아래 입법원(국회), 행정원(내각), 사법원, 고시원, 감찰원의 5권분립제를 택하고 있다. 1947년 1월 1일 헌법이 제정되고 2005년 6월 7일 국민대회에서 개정된 헌법에 따르면 타이완은 입헌민주제 공화국이다. 총통이 국가를 대표하고 행정부의 수장이다. 행정, 입법, 사법, 고시, 감찰의 5권 분립체제 상 총통이 이를 관할한다. 국민당 1당지배정치를 펴온 타이완 정부는 1949년 이래 계속 실시된 계엄령을 1987년 7월 해제하였으며, 1988년 1월 13일 총통 장징궈[蔣經國]가 사망한 후 부총통 리덩후이[李登輝]가 총통으로 취임하였다. 1989년 1월에는 복수정당제를 도입하였으며, 같은해 12월의 입법원 선거에서 야당세력이 예상외의 의석수를 차지함으로써 집권 국민당에 타격을 주었다.

1991년에는 타이완 수비사령부를 해체하고 진먼섬 계엄을 종식하였으며, 1992년에는 사상경찰제 및 타이완 경비사령부를 폐지하였다. 1993년 11월 최초의 지방선거를 실시, 1994년 7월 국민대회에서 선출되던 총통직선제 개헌안 승인을 거쳐, 1996년 3월 총통 리덩후이가 최초의 직선총통이자 제9대 총통으로 선출되었다. 2000년 3월 야당인 민진당(民進黨)의 후보 천수이볜[陳水扁]이 롄잔을 꺾고 총통으로 선출되어 50년 이상 계속되어온 국민당 체제가 중단되었다. 2001년 12월 1일 제5기 입법위원 선거 결과 민진당이 제1당으로 도약하였으며 그후 2004년 3월 20일 총통선거에서 천수이볜 총통이 50.12%의 지지를 얻어 연임에 성공하였다. 이때 야당은 3월 19일의 천수이볜 총통 피격 사건으로 국가안전체제가 발동되어 군인과 경찰의 투표권이 박탈당했다는 것을 이유로 당선 및 선거무효 소송을 제기하였으나, 최고법원에서 모두 기각 패소하였다.

2004년 12월 11일 실시된 제6대 입법위원 선거에서 야당(국민당, 신민당, 신당)이 입법원내 과반수(113석) 이상을 확보함으로써 여소야대 구도가 형성(民進黨 89석, 國民黨 79석, 親民黨 34석, 台聯 12석, 新黨 1석, 기타 10석)되고 이에 2005년 6월 7일 국민대회에서 헌법 개정안이 통과되어, 입법위원수 1/2 감축, 소선거구제 채택, 헌법 개정안의 국민투표 실시, 국민회의 해산 등 헌법 개정 내용이 확정되었다. 국민대회는 동대회를 마지막으로 해체되었다. 천수이볜 총통의 측근 비리혐의로 국민당, 친민당 주도 하에 타이완 정치사상 최초로 총통파면안이 입법원에 제출되었으나 2006년 6월 27일 부결되었다. 2008년 1월 12일 제7대 입법위원 선거 결과에 따르면 정당별 의석 분포는 국민당 81석, 민진당 27석, 기타 5석 등이다. 2008년 3월 마잉주[馬英九]가 제12대 총통에 당선되었다.


문화

타이완은 오랫동안 아시아의 대륙문화와 태평양의 해양문화가 교차하는 지점에 위치하여 대륙과 해양의 문화 유산이 다양하다. 중국의 한(漢)시대부터 사람이 살기 시작하였고 한때는 일본의 식민통치를 받기도 했으며 서유럽의 영향을 일찍부터 받아왔기 때문에 문화유산이 중첩되어 있다.

경극(京劇)은 중국 무대예술 중 가장 잘 알려진 연극 분야이지만 타이완의 오페라는 경극의 지역적 변형으로 표준어 대신에 푸젠 방언을 사용한다. 중국대륙의 창초우 지역 민요로부터 근원을 찾을 수 있으며, 일부 레퍼토리는 남부 푸젠성 민요와 타이완 원주민 민요에서 따온 것으로 전해진다. 퉁소의 역할, 배우들의 훨씬 자유로운 움직임이 타이완식 경극과 베이징식 경극의 차이점이라고 할 수 있다.

여름에는 가장 오래된 민속놀이 중의 하나로서, 푸젠성 남부 방언으로 공연되는 꼭두각시놀음이 공연되는데, 능란한 손놀림, 목소리, 흉내, 재미있는 사설들이 볼만한 장면들을 연출한다. 경극과 마찬가지로 이는 북과 징의 반주로 시작되는데 오늘날에는 중국식 악기와 서구 악기가 함께 연주하는 음악이 배경 음악으로 깔린다. 손으로 조종하는 꼭두각시놀음은 과거의 종교적 의미를 아직도 갖고 있지만 풍성한 농산물 수학을 축하하기 위해 보통 여름에 무대에 올려지며 마리오넷 꼭두각시놀음은 신의 가호를 기원하거나 악귀를 몰아내기 위해 공연한다.

타이완의 주요 도시들은 전통적인 중국식 건축물과 20세기 초의 일본식 건축물 및 근대 서구식 건축물 등 어떤 형태라고 규정하기 어려운 혼합양식의 건축물들이 많다. 타이난이나 루캉곽 같은 타이완의 오래된 도시에서는 중국의 전통적 건축들을 많이 볼 수 있다. 중국의 건축은 유럽의 고딕식 사원이나 일본의 정원양식과는 차이를 보인다. 건물의 기본구조가 전형적인 U자형으로 구성되어 있고 1층 또는 2층의 건물로 처마가 매우 가파른 기와지붕의 중국 고대양식 건축물들이 지방에 산재되어 있다. 타이완에는 또 주로 청대(淸代: 1644~1911)에 건축된 사원의 건축양식을 볼 수 있는 절들이 많이 남아 있다.


한국과의 관계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이 수립되자 국민정부는 대만으로 옮겨갔다. 1948년 8월 13일, 한국은 대만과 단독수교를 맺고 상호 상주공관을 설치하였다. 이후 양국은 항공협정(1952. 3), 무역협정(1961. 3), 문화협정(1965. 5), 해운협정(1983. 9), 항공운수협정(1986. 11) 등을 체결하며 긴밀한 관계를 유지해왔다. 당시 한국과 대만은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반공국가로서 서로의 입장을 지지해왔으며, 모두 아시아의 신흥공업국가로서 경제협력 규모를 지속적으로 늘려왔다. 그러나 1992년 한국이 중국과 정식으로 외교 관계를 체결하면서 한국은 대만과 외교 관계를 단절하게 된다. 1992년 단교 이후 비록 정부 차원의 공식적 정치‧외교 관계는 단절되었지만, 경제‧통상 등 비정치 분야의 민간 차원의 교류는 계속 유지되어 양자 간의 교류는 꾸준한 성장세를 보여 왔다. 한국과 대만 간의 분야별 교류 현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양자 간 교역규모를 살펴보면, 아래 <표 1>에서도 나타나듯이 양자 간의 공식 외교관계의 단절에도 불구하고 꾸준히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2012년 무역협회 기준, 양국의 무역총액은 288억 2,700만 달러이다. 그 중 한국의 대만 수출액이 14,815백만 달러, 대만으로부터의 수입액은 14,012백만 불로 803억 달러의 흑자를 기록했다. 현재 한국과 대만은 서로에게 4~8대 교역대상국이면서, 우리 측이 지속적으로 흑자 기조를 유지하고 있다.

바깥고리

연계 정보

관계 대상 문서 설명
uses 교육제도:대만 대만 교육과정, 2014년 조사 보고
uses 교과서목록:대만 대만 사회과 교과서 총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