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브루나이

CefiaWiki
Jyahn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6년 12월 9일 (금) 16:35 판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브루나이(Brunei Darussalam)
Brunei.jpg
인구 436,620명(2016년)
면적 5,765km²
언어 말레이어(공용어), 영어, 중국어, 기타 토속어
정부 이슬람 절대세습왕정제
통화 브루나이 링깃(BND)
GDP $321.06억(2014년)
국제전화 +673
도메인 .bn


이름 및 위치

브루나이 위치

정식 국가 명칭은 브루나이 다루살람(Brunei Darussalam)이다. 말레이어로는 느가라 브루네이 다루살람(Negara Brunei Darussalam)이라고 한다. 다루살람(Darussalam)은 ‘평화가 깃든 곳(Abode of Peace)’을 의미한다. 수도는 반다르스리브가완(Bandar Seri Begawan)으로 원래는 ‘브루나이 타운(Brunei Town)’이라고 불렀으나, 1970년 10월 선왕의 호칭 중 ‘스리브가완(Seri Begawan)’을 따서 개칭하였다. 반다르(Bandar)는 마을(Town)을 의미한다.

브루나이는 동남아시아 보르네오(Borneo) 섬 서북 연안에 위치하며 동부 말레이시아의 사라왁(Sarawak) 주에 의해 동서로 양분된다. 북위 4° 2′~5° 3′, 동경 114° 4′~115° 2′에 자리 잡고 있다. 면적은 5,765㎢로 경기도의 약 1/2, 한반도의 1/40 크기이다. 산림이 국토의 85%를 차지하며 경작지는 5%이고 목초지는 0.5%이다. 브루나이무아라(Brunei-Muara), 벨라잇(Belait), 투통(Tutong), 템부롱(Temburong)의 4개 지역으로 구분된다.




간략역사

1. 식민 시대 이전


중국의 역사 기록에 따르면 6세기~7세기에 현재의 브루나이 지역에 말레이 부족국가가 형성되었다. 1405년에는 브루나이 이슬람 왕국이 창설되었다. 이는 초대 모하마드(Mohammad) 국왕이 조호르(Johor) 공주와 결혼하여 이슬람 국가가 된 것으로, 이때 현재 동부 말레이시아에 속하는 섬 북부 연안 상당 부분을 영유하였다.

15세기~16세기에 왕국은 보르네오(Borneo) 섬 북반부 전체 및 필리핀 일부까지 세력을 확대하였다. 그러다 1578년 4월 6일 마닐라에 주재하는 스페인 총독이 브루나이를 점령하였다.


2. 식민시대


17세기에 접어들자 네덜란드가 보르네오 섬 동부 및 남부를 지배하였다. 18세기~19세기 전반에는 영국이 보르네오 남부를 지배하여, 1701년에는 반자르마신(Banjarmasin)에 영국의 무역소가 설치되었다. 1847년 브루나이는 영국과 우호조약을 체결하였고, 이때 현재 동부 말레이시아의 사바(Sabah) 주 및 사라왁(Sarawak) 주 등 영토의 대부분을 영국에 할양하여 소국(小國)으로 전락하였다. 1888년에는 영국과 보호조약을 체결하여 영국의 보호령이 되었고, 1906년에는 영국인 상주 총독(British Resident)이 부임하였다. 1929년 세리아(Seria) 지역에서 유전이 발견되어 1932년부터 원유 생산이 시작되었다. 1941년~1945년에는 일본군이 브루나이를 3년 반 동안 점령하였고, 1950년에 전 28대 국왕인 오마르 알리 사이푸딘(Omar Ali Saifuddin)이 즉위하였다. 오마르 알리 국왕은 현 국왕인 하사날 볼키아(Hassanal Bolkiah)의 선친이다. 1953년 브루나이는 제1차 국가개발 5개년 계획을 개시하였으며 1959년 9월 29일 자치정부가 헌법 제정을 공포하였다. 이 헌법에 따라 외교, 국방 및 안보는 영국이 관장하고 영국의 고등판무관(High Commissioner)이 파견되었다. 1962년 최초의 선거가 실시되어 브루나이 인민당1)이 승리하였다. 1962년 12월 8일에는 말레이시아 연방 가입을 반대하는 반란이 일어났으나 영국의 지원으로 진압되었고, 이때 정당이 해산되고 헌법이 정지되었다. 1967년 10월 4일 제28대 국왕이 퇴위하고 1968년 8월 1일 제29대 국왕인 하사날 볼키아가 즉위하였다. 1971년 11월 23일 브루나이는 영국과의 조약을 개정하여 내정을 완전 자치화하고 외교는 영국이 계속 관장하되 국방 및 안보는 상호 협의 아래 결정하기로 하였다. 1979년 1월 7일 브루나이는 영국과 우호 협력조약을 체결하였다.


3. 독립 이후


브루나이는 1984년 1월 1일 영국으로부터 완전 독립하였다. 1984년 1월 7일에는 동남아시아국가연합(ASEAN, Association of Southeast Asian Nations, 이하 약어)에 가입하였다. 1984년 1월 16일 이슬람회의기구(OIC, Organization of the Islamic Conference)에 가입하였고, 같은 해 9월 21일 국제연합(UN, United Nations)에 가입하여 제159번째 회원국이 되었다. 1986년 9월 7일 오마르 알리 사이푸딘(Omar Ali Saifuddin) 선왕이 사망하였다. 1989년 11월 브루나이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Asia Pacific Economic Cooperation, 이하 약어)에 가입하였고 1996년 3월에는 아시아유럽정상회의(ASEM, Asia-Europe Meeting)에 가입하였다. 2000년 11월 브루나이에서 APEC 정상회의가 개최되었으며 2001년 11월에는 ASEAN / ASEAN+32) 정상회의를 개최하였다.

사회

브루나이는 정치, 경제, 사회 등 제 분야에서 왕실의 권한이 절대적이다. 정부의 고급 관리들을 주로 영국, 오스트레일리아 등에서 학위를 받은 젊은 엘리트로 기용하고 있으며, 군인을 포함한 공무원들을 우대함으로써 국왕 통치 체제의 지지 기반으로 활용하고 있다. 브루나이는 전체 인구의 약 15%를 차지하는 중국계가 사실상 상권을 장악하고 있으나, 정부가 부미푸트라(Bumi Putra) 정책을 계속 유지함으로써 말레이계의 경제적 지위를 향상시키려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부미푸트라 정책이란 브루나이 정부가 말레이계(부미푸트라) 국민들의 경제적 지위 향상과 경제활동의 주도권 확보를 위해 말레이계를 우대하고 배려하는 정책을 말한다. 이는 타민족, 특히 중국계가 경제적인 실권을 장악하는 것을 견제하고 자국민을 보호하는 측면에서 실시하는 것이다. 1982년 9월, 브루나이 국왕은 브루나이 상권의 대부분을 쥐고 있는 중국인들에게 앞으로 말레이인들에게 상업을 지도하여 브루나이 전체의 경제발전에 기여해줄 것을 당부하고 브루나이에 대한 충성의 표시로 말레이어를 배워 사용할 것을 권장하였다.

인구

2016년 CIA The World Factbook 기준 추정 인구는 436,620명이이다. 인구성장률은 1.8%이며, 유아사망률은 1000명당 13명이다. 주민의 평균수명은 75.3세로 남자는 73.12세, 여자는 77.59세이다. 국민들은 대부분 가정을 중시하며, 독실한 종교생활 및 스포츠 등 가족중심의 여가생활을 영위하고 있다. 브루나이는 금주령을 유지하고 있으며, 이슬람교 교육 강화 등 이슬람 교리의 생활화를 지향하고 있다.

인종

브루나이의 인구는 브루나이의 인종구성은 말레이계(系)가 67%, 중국계가 15%, 토착인종이 6%, 기타 외국인이 12%를 차지한다. 언어는 말레이어(공용어), 영어, 중국어를 주로 사용하며 기타 토속어도 사용한다.

종교

종교는 국교인 이슬람교가 67%, 불교 13%, 그리스도교 10%, 토착신앙 및 기타가 10%이다.

정치

브루나이의 정치체계는 현실 정치 및 정부 이념을 지배하고 있는 헌법과 말레이계이슬람식군주제를 두 축으로 삼아 영국의 관습법(English Common Law)과 사법부 독립원칙에 기반을 둔 법치주의를 바탕으로 운영되고 있다. 브루나이에서 최초 성문법 형태의 헌법은 1959년에 발효되어 이후 1971년과 1984년에 두 차례의 개정을 거쳤다. 이 헌법에 따라 국가수반인 술탄은 행정권을 완전히 장악하며 5개 위원회 즉, 종교평의회(Religious Council), 추밀원(Privy Council), 각료회의(Council of Cabinet Ministers), 입법의회(Legislative Council), 왕위계승평의회(Council of Succession) 등 총 5개 기구로부터 자문을 받는다. 이와 함께 1959년 헌법에서는 이슬람교와 말레이 관습에 관련된 사항을 제외하고 정부의 조언자로서 영국최고책임자(British High Commissioner)가 각료 의장에 임명될 것을 명시했다. 하지만 사실상 대부분의 재정과 내무 업무는 자치정부에 위임되었다.

1984년 국왕은 총리, 재무장관, 내무장관에 임명되었고, 1986년 10월 재무장관과 내무장관에서 물러난 후 전 국왕이 수행하던 국방장관의 지위를 계승하였다. 아울러 국왕은 브루나이군부(Royal Brunei Armed Forces)의 최고통수권자이며 13명의 장관으로 구성된 각 내각의 최고 지도자이기도 하다. 국왕 직속으로 종교평의회가 설치된 것과 함께 헌법 제 2장에는 이슬람을 국교(國敎)로 정하였고, 그 중심축은 국왕에 의해 보장된다.

브루나이의 국가수반은 절대군주인 국왕이다. 실제로 브루나이에서 국왕을 견제할 수 있는 법과 제도적 장치는 전무하다. 브루나이의 국왕은 퇴직한 고위 관료들과 11명의 각료, 그리고 왕이 지명한 인물을 중심으로 추밀원의 보조를 받아 왕가의 현안을 결정하고 내각과 관료제의 도움으로 면책 특권과 실행, 헌법 조항의 개정 및 폐기 등 국정 전반을 직접 관할한다. 또한 1959년부터 왕위계승평의회를 두어 술탄 하심(Sultan Hashim, 재임 1885~1906)의 혈통을 받은 장자(長子)가 왕위를 계승하는 제도를 확립하였다.

브루나이 행정부의 수반은 총리이다. 행정부는 1959년 헌법에서 행정평의회(Executive Council)로 정식 출범하였고, 1984년까지 국무회의(Council of Ministers)로 불리다가 1984년 이후 현재의 각료회의(Council of Cabinet Ministers)로 변경되었다. 1987년 독립기념일(National Day) 연설에서 국왕은 근대적 행정 체계를 발전시키기 위하여 구조 개혁을 단행하였으나 국왕의 권한과 권위를 침해할 수 있는 소지의 개혁은 애초부터 봉쇄되었다. 각 부서를 구성하고 있는 장관과 차관은 행정부의 수반인 총리가 임명하는데, 여기서 총리는 단순히 행정부의 수반으로서가 아니라 국왕의 신분이다.

1959년 헌법에 따라 입법의회(Legislative Council)는 입법에 필요한 제반 사항을 면밀히 검토해야하지만 국내 사정에 따라 본 의회는 소집된 적이 거의 없으며, 단지 국왕의 서명에 의해 입법이 처리되고 있다. 최근 들어 브루나이의 입법부는 태동의 움직임을 보였다. 2004년 9월 25일, 술탄에 의해 21명의 입법부의원이 임명되었고, 15명의 선출위원을 포함한 45명의 입법회의 구성원을 요구하는 헌법개정을 통과시켰다. 국왕은 2005년 9월 1일 기존 입법회의를 해산하고 29명의 새로운 위원을 임명했다.

국방장관과 경찰의 최고 통치자는 군 최고통수권자인 술탄이 맡고 있으며, 현재 브루나이 군부는 크게 네 개의 조직, 즉 로열브루나이군(Royal Brunei Armed Forces), 브루나이고용구르카예비군(Brunei-employed Gurkha Reserve Unit), 세리아에 주둔하고 있는 영국군구르카(British Army Grukhas at Seria), 그리고 준 군사조직인 브루나이경찰(Royal Brunei Police)이 있다. 로열브루나이군은 1961년 3월 창설되었고, 1991년 10월 1일 편제개편으로 육군(4,550명), 해군(1,020명), 공군(620명)으로 분리되었으며 이외에 훈련반과 지원반이 추가로 창설되었고, 여군도 1982년에 창설되어 현재 580여 명의 병력을 소유하고 있다. 2004년도 국방부 예산안은 국가 총 예산의 10%인 5억 3백만 브루나이 달러였다. 복무제도는 징병제가 아니라 5년 기간의 지원병 제도이다.

법과 질서를 유지하는 고유 권한의 경찰은 1906년 영국의 해협식민지(Straits Settlement)로부터 소수의 경찰이 파견된 것을 그 기원으로 하고 있다. 1921년 식민정부에 의해 브루나이경찰법(Brunei Police Force Enactment)이 통과되어 공식적으로 경찰이 출범하였고, 1923년부터 범죄, 이민, 운전면허증 등록과 같은 운송수단 등록 관련 업무, 외국인 등록, 소방 등의 광활한 업무를 관할하였다. 1975년 최초의 현지인 경찰국장이 임명되었다.

현재 브루나이 정부는 1988년 이래로 정당 활동을 금지하고 있다. 그러나 영국의 식민지 시기 자치정부가 조직된 1959년부터 정당이 출현했다. 1962년 실시된 총선에서 브루나이 인민당이 의회 의석의 98%를 획득했을 때 술탄은 국가 비상사태를 선포하고 정당을 불법화 시켰다. 그러다가 1980년대 들어 정당이 재출현하게 되었지만 1988년 대부분의 정당 당수들이 체포되는 사태가 발생했다. 이 시기의 정당들은 1985년 창당된 브루나이국민민주당(Brunei National Democratic Party), 1986년 브루나이국민민주당으로 분파되어 창당된 브루나이국민연합당(Brunei National United Party)이 있다.

문화

브루나이는 말레이 문화권으로 이웃한 말레이시아와 유사한 문화이다. 그러나 이슬람교의 생활 양식이 강한 이슬람국가를 표방하고 있기 때문에 이슬람 미술과 문학을 제외한 공연예술은 정착되지 못한 편이며, 외국과의 문화교류 또한 미미한 실정이다. 정부기관 중에 언어·문학을 관장하는 부처가 문화활동을 장려한다. 스포츠는 배드민턴·볼링 등 실내경기를 중심으로 즐기는 편이며, 축구 열기도 대단히 높은 편에 속한다. 1999년 8월 동남아연합체육대회를 개최하였다. 신문은 말레이어(語) 일간지 《Media Permata》와 영어 일간지 《Borneo Bulletin》 2종류가 있고, 방송국은 4개(2006)이다. 브루나이박물관에는 도서관과 미술·수공예 센터가 있다.

한국과의 관계

한국과 브루나이 독립 직전 연도인 1983년 9월에 상주 총영사관을 설치하였으며 독립 선포일인 1984년 1월 1일 외교관계를 수립하고 총영사관을 대사관으로 승격했다. 브루나이는 모든 나라와의 선린관계 유지라는 외교기조를 견지하면서도 한국에 대해서는 매우 우호적인 국가로 알려져 있다. 또한 브루나이는 우리나라의 주요 에너지공급원중의 하나이다. 한국은 브루나이 제2위 LNG 수입국, 제3위 원유 수입국이며, LNG의 경우 브루나이 전체 수출물량의 10%를 수입 (일본이 90%)하고 있으며, 1994년부터 우리 한국가스공사가 매년 약70만톤 수입 (97-2013간 장기구매계약 체결)했고, 원유의 경우 연간 약 천만배럴 수입하고 있어 2009년 기준, 인도네시아(23.5%), 호주(17.4%)가 브루나이 원유의 1, 2위 수입국이고, 한국은 3위(16.4%)이다. 그러나 원유/천연가스 수출입 관계외에 한-브루나이간 교역은 크지 않은 규모 (원유/천연가스 수입이 전체 교역액의 94% 차지)이다. 브루나이는 기술력이 우수한 한국기업의 통상․투자 진출 확대를 기대하고 있으나 인구 40만의 협소한 시장규모 때문에 우리 기업들 진출은 간헐적일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1980년대와 1990년대 초중반까지는 독립(1984년) 및 독립이후 경제발전을 위한 인프라 수요로 우리 기업들이 많은 대형 프로젝트 시행했다. 그러나 재정적자 누적과 97년 아시아금융위기를 겪으면서 브루나이 왕실은 투자 프로젝트 시행에 매우 보수적이 되었고 이에 따라 한국 기업들의 브루나이에 대한 관심도 저하되었다. 2000년대 중반 들어 브루나이가 1990년대 경제위기에서 벗어나고 최근 몇 년간 유가상승에 따른 국부가 확충됨에 따라 주요 인프라 프로젝트들을 내놓고 있어 한국 기업들도 브루나이 시장에 다시 관심을 갖기 시작하고 있다. 한국에 힘입어 브루나이 내 한국에 대한 호감도는 매우 높은 상황이다. 한국을 성공적 경제 발전국으로 뿐 아니라 문화 선진국으로 인식하고 있고, 젊은 층을 중심으로 한국 배우기, 한국 문화 체험에 대한 강한 욕구 존재한다. 현재 브루나이 내 한국 교민 현황은 1960년대 초반 농업 및 기술 이민 일환으로 정착을 시작하여 1980년대 중반에는 500여명에 이르렀으나 귀국 또는 제3국 이주 등으로 지속 감소하여 현재는 40세대 90여명이다.

바깥고리

연계 정보

관계 대상 문서 설명
uses 교육제도:브루나이 브루나이 교육과정, 2016년 조사 보고
uses 교과서목록:브루나이 브루나이 사회과 교과서 총목록